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Review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Related Studies

공과대학 여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Hwang, Soonhe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Science, Hongik University)
  • 황순희 (홍익대학교(세종) 교양과)
  • Received : 2020.02.03
  • Accepted : 2020.03.04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focused on domestic resear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67 domestic researches (academic articles & graduate thes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1996 were collected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earch service. All of these 67 researches have been review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analytical criteria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journal's research field and research subjects.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related research o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has been growing since 1996. Secondly, there were more researches of both academic journals and graduate theses, using quantitative method compared to those with the other research methods. Thirdly, the research themes could be classified as follows: gender-awareness, female engineering students'(hereafter, FES) psychological variables, customized education for FES, career related variables, FES's properties and counselling for them. Fourth, regarding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search topic, 41.79% of the researches were related to FES's 'career' related factors as well as diverse correlat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tudying on FE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as well as adopting different research perspectives. Also, practical and educational treatments for FES are require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박상완(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2.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2019). 2017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3. 황순희.윤경미(2019).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창의성교육의 방향. 공학교육연구, 22(6), 40-50. https://doi.org/10.18108/jeer.2019.22.6.40
  4. Amon, M. J.(2017). Looking through the glass ceiling: A qualitative study of STEM women's career narratives. Frontiers in psychology, 8, 236.
  5. Clark, G., et al.(2015). 'It's everything else you do…': Alumni view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mployability.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6(2), 133-147. https://doi.org/10.1177/1469787415574050
  6. Crowl, T. K.(1996). Fundamentals of educational research. McGraw-Hill Humanities, Social Sciences & World Languages.
  7. Heeks, R., & Bailur, S.(2007). Analyzing e-government research: Perspectives, philosoph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4(2), 243-265. https://doi.org/10.1016/j.giq.2006.06.005
  8. Hsieh, H. F., & Shannon, S. E.(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9. Malicky, D.(2003). A literature review on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Ability self-efficacy and the 'chilly climate'. age, 8, 1. https://doi.org/10.1007/BF02431934
  10. Murphy, M. C., Steele, C. M., & Gross, J. J.(2007). Signaling threat: How situational cues affect women in math, science, and engineering settings. Psychological science, 18(10), 879-885. https://doi.org/10.1111/j.1467-9280.2007.01995.x
  11.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CA: Sage Publications, Inc.
  12. Rosenbloom, J. L., et al.(2008). Why are there so few women in information technology? Assess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career choice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9(4), 543-554. https://doi.org/10.1016/j.joep.2007.09.005
  13. Sallee, M. W.(2011). Performing masculinity: Considering gender in doctoral student socializa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82(2), 187-216. https://doi.org/10.1353/jhe.2011.0007
  14. Wasburn, M. H., & Miller, S. G.(2006). Still a chilly climate for women students in technology: A case study. Women, gender, and technology, 60-79.
  15. 강승희(2010).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 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4), 60-69.
  16. 곽은주.배상훈(2019).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995-1022.
  17. 구수연.김동익(2014).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 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6), 3-11.
  18. 김동익.이영화(2009).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WIE 프로그램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2(4), 46-55.
  19. 김동익.이영화(2013). 여성공학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과대학 교육환경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6(2), 69-77.
  20. 김민선.서영석(2009). 공과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맥락적 지지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대처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4(1), 1-22.
  21. 김세영 외(2017). IPA 기법을 활용한 공학계열 여대생의 기업가정신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20(6), 43-51.
  22. 김연미(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의 수학성취도와의 관계와 문제해결 전략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3), 553-571.
  23. 김연미(2017).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수학성취도와 언어 성취도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인지과학, 28(3), 149-171. https://doi.org/10.19066/COGSCI.2017.28.3.002
  24. 김영은.한지영.오명숙(2013). 성별에 따른 공과대학 졸업생의 취업 및 진로개발 단계의 특징 분석. 공학교육연구, 16(6), 19-28.
  25. 김원정.오명숙(2013). 공학계열 남녀 졸업생의 조사를 통해 본 교과과정 내의 활동의 취업 기여. 공학교육연구, 16(3), 69-78.
  26. 김원정.정유진.오명숙(2015). 여학생의 젠더 실천을 통해 본 공학교육 공동체의 젠더, H대 공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1(3), 139-178.
  27. 김지심 외(2017). 공과대학 여대생을 위한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7(3), 259-266.
  28. 김지심 외(2018). 공과대학 여대생의 진로지도를 위한 교수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7(10), 243-250.
  29. 김지현.정윤경.오명숙(2011). 공대 여학생 진로장벽과 관련된 공대 교수의 성인지적 태도 탐색. 공학교육연구, 14(1), 49-57.
  30. 김현주.박성신(2018). 이공계 여대생과 기업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인식 및 평가에 의한 R-WeSET 프로그램운영의 시사점. 공학교육연구, 21(1), 27-36. https://doi.org/10.18108/JEER.2018.21.1.27
  31. 김효민 외(2014) 기술과 사회에 관한 융합교육이 남녀학생의 공학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17(6), 69-76.
  32. 도승이(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33. 도승이(2009 a). 공과대학 남녀 학생의 전공 수업관련 심리변인을 예측하는 역할모델 변인 탐구. 아시아교육연구, 10(4), 177-194.
  34. 도승이(2009 b). 공대 남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여자 공대생의 전공수업 및 진로관련 심리적 요인 예측변인 탐구. 교육학연구, 47(3), 23-48.
  35. 도승이(2009 c). 여성공학도의 역할모델과 성역할기대, 학업동기, 진로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3(4), 769-785.
  36. 류지은.정진철(2016). 4년제 이공계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타협 유형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29(2), 145-166.
  37. 모혜정.이재경(1996). 여성공학교육과 가부장적 문화. 한국여성학, 12(1), 112-137.
  38. 민무숙.이정희(2005). 공학 분야 전공 여성들의 교육과 직업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65-93.
  39. 박민정(2019). 공과대학 여학생들의 공학도로서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분석. 사회과학연구, 26(1), 145-168.
  40. 박선희.김형수(2008). 삼각측정법을 적용한 여성공학도 인식에 관한 기초 조사. 공학교육연구, 11(2), 79-89. https://doi.org/10.18108/JEER.2008.11.2.79
  41. 박선희.최금진.신동은(2010).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 인식 비교. 공학교육연구, 13(4), 77-86.
  42. 박지은 외(2009). 해외 여성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9-95.
  43. 백란(2017).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과대 여학생 역량분석을 반영한 교수법 모델. 공학교육연구, 20(2), 57-62. https://doi.org/10.18108/JEER.2017.20.2.57
  44. 백성혜.조수선.김정희(2013). 여성 취업과 직장 내 성공 요인에 대한 공대학생, 교수 및 기업체 대표 간의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16(6), 58-64.
  45. 백성혜 외(2015). 공학 교과목의 성인지 교육 효과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공학교육연구, 18(2), 52-64.
  46. 변수연(2016). 이공계 대학생의 이공계 진로 진출 의사에 영향을 끼치는 대학의 구성적 환경 요인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1), 375-399.
  47. 손소영.이지수.장인상(2004). 공대 여학생 사이버 멘터링을 위한 시스템 설계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7(1), 40-50.
  48. 손애라.유순화.윤경미(2015). 사회인지적 진로집단상담이 공과대학 여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직업교육연구, 34(3), 151-170.
  49. 송효진.신동주(2014). 여성기술인력과 공학교육,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교수전략, 학습자 참여, 그리고 문화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86(1), 103-136. https://doi.org/10.33949/TWS.2014..1.004
  50. 신동주.황지원.송오성(2019).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K-CESA) 결과에 따른 차이분석, 계열, 인증여부, 성별,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4), 50-60. https://doi.org/10.18108/jeer.2019.22.4.50
  51. 신선미(2004). 여학생의 이공계 진로선택과 직업세계 이행 성과. 교육학연구, 42(3), 205-226.
  52. 오재림.안재희.유숙란(2006). 한국과 스웨덴의 과학, 기술, 공학교육분야에서의 젠더 문제와 성평등정책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16(4), 373-15.
  53. 유영란.강명희(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54. 윤덕.탁진국.이상희(2009). 공학계 여대생과 인문계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성,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4(4), 497-514.
  55. 윤성혜.김세영(2019).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38(3), 55-75.
  56. 이나라.이항심(2019). 이공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공학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8), 231-258.
  57. 이영민.이수영(2010). 대학 이공계열 전공 여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취업 후 고용형태와 근무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6(2), 77-98.
  58. 이용길.강경희(2013). 전공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분석, 공학 및 사회과학 계열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6(1), 27-34.
  59. 이준기 외(2017 a).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13-12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13
  60. 이준기 외(2017 b).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공학인증제 프로그램 선택에 따른 공학 창의성 유형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1(1), 16-35. https://doi.org/10.21796/jse.2017.41.1.16
  61. 임정연.이영민(2008). 4년제 대학 이공계 전공 여학생의 직업준비과정이 이행결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5-47. https://doi.org/10.36907/KRIVET.2008.11.2.25
  62. 임춘희.김동익(2011). 공대 여학생의 남자교수 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공학교육연구, 14(6), 3-15.
  63. 정윤경.오명숙.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관련 심리적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https://doi.org/10.18108/JEER.2008.11.4.34
  64. 조경호(2013). 공학 분야 여성인재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2(3), 187-212.
  65. 조미경.김세영(2019). 대학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교수전략 개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419-439.
  66. 조정래.임숙자(2015). 컴퓨터공학 교육에서 젠더 다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13-20.
  67. 주혜진(2008). 공대 여학생 사례를 통해 본 소수자의 사회심리학적 경험. 담론201, 11(3), 117-150.
  68. 최금진.박선희(2009). 여성공학도의 동기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3-13.
  69. 최승배 외(2003). 이공계 여학생 지원율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5(4), 993-1004.
  70. 한경희.박준홍.강호정(2010). 공학과 젠더, 공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WIE) 사업분석과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1), 38-51.
  71. 한지영.한승우.김영석(2010). 공과대학 여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공학교육연구, 13(4), 130-142.
  72. 허균.원효헌.이운식(2007).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한 여성 공학교육 방향 탐색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0(3), 21-37.
  73. 홍경선 외(2010).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활용한 수업실태 분석 및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13(3), 34-52.
  74. 홍경선 외(2011). 성인지적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한 수업 성찰과 멘토링 효과. 공학교육연구, 14(2), 40-50. https://doi.org/10.18108/JEER.2011.14.2.40
  75. 김효진(2018). 이공계 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 노은송(2019). 공과대학 여학생들의 직업흥미 유형에 따른 갈등해결전략.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심재영(2017). 공학계열 여학생의 취업장벽과 취업성공요인, C대학교 사례연구. 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윤덕(2008). 공학계와 인문계 여대생의 개인 특성 및 환경 변인에 따른 진로결정수준에서의 차이.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전복희(2007). 중등학교에서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로선택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연구, 영재와 성적우수자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최보라(2010). 여성 공학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황정일(2006). 중등학교에서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로 선택을 위한 정의적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공과대학 여학생의 전공만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탐색 vol.24, pp.2,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