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과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실태 및 활성화 방안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Collabora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Family Companies in Korea

  • 이종호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산학협력정책연구소) ;
  • 장후은 (경상대학교 LINC+사업단 및 산학협력정책연구소)
  • Lee, J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ang, Hoo-Eun (LINC+ Project Organization and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0.03.28
  • 발행 : 2020.03.31

초록

가족회사는 대학이 기업들과 다양한 형태의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국 대학들만의 고유한 산학협력 관련 제도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되어 온 산학협력 사업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족 회사에 대한 현황과 실태 파악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대학의 입장에서만 접근하고 있어서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국의 가족회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회사 제도의 현황과 산학협력 실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2004년에 도입된 가족회사 제도는 산학협력 관련 대학재정지원 사업의 성과 지표 등으로 활용되면서 급속하게 확대되어, 2017년 현재 174,425개 기업이 가족회사로 등록되어 있다. 연구 결과, 복수의 대학들과 가족회사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산학협력 수요와 만족도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회사들은 공용장비 이용이나 공동연구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인력양성 및 재교육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산학협력을 통해 제품 품질 향상 효과가 높다고 평가한 반면, 매출액 증대 효과 및 생산비 절감 효과는 낮게 평가하고 있다. 또한 산학협력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확충 및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Family companies are the uniqu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related systems of Korean universities created by universities to promote various form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ith companies.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compan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hievements of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actively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A lot of studies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have focused mainly on the university's position. On the contrary,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family company system and the statu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troduced in 2004, the Family Company System expanded rapidly as it was us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for college financial support projects related to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ith 174,425 companies registered as family companies as of 2017. A survey of family companies registered in universities carrying out the LINC+ project shows that companies registered in multiple universities are increasing, with relatively high demand and satisfaction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mong companies. Family compan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atisfied in terms of the use of R&D equipment or joint research, while they were relatively less satisfied in terms of workforce training and retraining. While companies have assessed product quality improvements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hey have underestimated the effect of increasing sales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Further, it was found that it was urgent to expand incentive systems and improv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to boost corporate particip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 2012, 2010 대학산학협력백서.
  2. 교육과학기술부.한국연구재단, 2013, 2011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3.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4, 2012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4.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5, 2013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5.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6, 2014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6.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6, 2015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7.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7, 2016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8.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8, 2017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9. 김숙자, 2019, 기술경영가족회사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사례,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부, 2017, "기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기업의 기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7), pp.175-183.
  11. 양종곤, 2016, "기업 구성원의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LINC)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7(1), pp.605-614.
  12. 여석호, 2016, "LINC사업의 기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한 융.복합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1), pp.13-2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3
  13. 이상천.배성문.박종훈, 2015,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를 통한 성과 지향적 융복합 산학협력지원 프로그램 모형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5), pp.9-19. https://doi.org/10.14400/JDC.2015.13.5.9
  14. 이종호.장후은, 2019, "대학-지역 연계형 산학협력 사업의 발전단계와 특성: LINC+사업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96-109.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96
  15. 장후은.이종호, 2017,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할 제고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pp.459-469.
  16. 장후은.허선영.이종호, 2017, "대학의 현장실습 운영 실태 및 정책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8(2), pp.493-500.
  17. 전국대학연구.산학협력관리자협의회, 2015, 산학협력 길라잡이 I(산학협력 업무매뉴얼), 교육부.한국연구재단.
  18. 정성훈, 2012, "정부 주도형 지역 산학연 협력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4), pp.65-74.
  19. 정윤경, 2017, 산학협력 정부지원사업이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산권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학위논문.
  20. 한국산업기술재단, 2008,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을 위한 산학협력중심대학 모델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21.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2006 대학산학협력백서.
  22. Link, A. N. and Sarala, R. M., 2019, "Advancing conceptualisa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cosystems: The role of knowledge-intensive entrepreneurial firm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7(3), pp.289-310. https://doi.org/10.1177/0266242618821720
  23. Schiuma, G. and Carlucci, D., 2018, "Managing strategic partnerships with universities in innovation ecosystem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4(3), pp.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