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ctive Battery Charge Management Scheme with Predicting Power Generation in ESS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발전량 예측을 통한 능동적 배터리 충전 관리 방안

  • Received : 2019.12.11
  • Accepted : 2020.02.20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Along with increasing the renewable energy utilization, many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on the utilization and efficiency of energy storage systems. Especially, it is required an operational model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with each system's failure of sub-systems in the solar energy storage system. This paper proposes an energy management scheme by estimating the newly generated power based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samples. With comparing the estimated battery charging power in real time and the total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rack, a charge model is applied to adjust the charging power,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energy storage system would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battery heat while maintaining battery C-Rate.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이 높아지면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활용과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에서 이상 징후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운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예측 발전량을 추정하여 에너지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예측된 배터리 충전 전력과 배터리 랙 총 충전 전력을 비교하여 충전 전력을 조절하는 모형을 적용한다. 그 결과로 배터리의 발열 억제 및 충방전율을 유지시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을 안정적으로 높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재형, 나인호,"신재생에너지 연계형 에너지관리장치의 운영 사례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2호, 71-77쪽, 2018년 6월 https://doi.org/10.30693/SMJ.2018.7.2.71
  2. 홍종석, 채희석, 문종필, "경제성 분석을 통한 산업 용 수용가의 ESS 설치 용량 산정," 대한전기학회논문지, 제64권, 제4호, 273-276쪽, 2015년 12월
  3. 정승국, 이진주, "태양광 발전량 실측 분석에 의한 최적의 ESS 설치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648-649쪽, 2018년 6월
  4. 정윤이, 정한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의 운전조건에 따른 성능저하 및 태양광 연계형 ESS 모니터링 연구,"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제25권, 제3호, 311-318쪽, 2014년 6월
  5. 차인수, 박종복, "PV System기반 ESS의 최적운전을 위한 설계 및 제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36권, 제5호, 19-30쪽, 2016년 10월 https://doi.org/10.7836/kses.2016.36.5.019
  6. 윤금란, "100kW 태양광발전소의 에너지저장장치 (ESS) 연계에 따른 충.방전 효율 분석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년
  7. W. C. Cha, J. H. .Park, U. R. Cho, and J. C. Kim, "Design of Generation Efficiency Fuzzy Prediction Model using Solar Power Element Data,"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ing, vol. 63, no. 10, pp. 1423-1427, 2014. https://doi.org/10.5370/KIEE.2014.63.10.1423
  8. J. G. Kim, D. H Kim, W. S Yoo, J. Y Lee and Y. B Kim, "Daily predict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based o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in Korea,"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ET) Renewable Power Generation, vol. 11, no. 10, pp. 1268-1273, 2017. https://doi.org/10.1049/iet-rpg.2016.0698
  9. D. K. Jo, C. Y. Yun, K. D. Kim, and Y. H. Kang, "A Study on the Estimating Solar Radiation in Korea Using Cloud Cover and Hours of Bright Sunshine,"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KSES), vol. 32, no. 2, pp. 28-34, 2012. https://doi.org/10.7836/kses.2012.32.2.028
  10. J. J. Song, Y. S. Jeong, and S. H. Lee, "Analysis of Prediction Model for Sol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3, pp. 243-248,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3.243
  11. K. D. Kim, "The Development of the Short-Term Predict Model for Sol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KSES), vol.33, no. 6, pp. 62-60, 2013. https://doi.org/10.7836/kses.2013.33.6.062
  12. 김상원, "PV intensity를 반영한 태양광 발전량 단기예측 알고리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25쪽, 2013
  13. 이강혁, 김우제, "서포트 벡터 회귀를 이용한 24시간 앞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175-183쪽, 2016년 3월 https://doi.org/10.14801/jkiit.2016.14.3.175
  14. Yona A, Senjyu T, Saber A.Y, Funabashi T, Sekine H, and Chul-Hwan Kim,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 to One-Day-Ahead 24 hours Generating Power Forecasting for Photovoltaic System," Proc. of IEEE : ISAP , pp. 1-6, 2007.
  15. A. Chaouachi, R. M. Kamel, R. Ichikawa, H. Hayashi, and K. Nagasaka, "Neural Network Ensemble based Solar Power Generation Short-Term Foreca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WASET, vol. 3, no. 6, pp. 1258-1263, 2009.
  16. 김정준,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의 발전량 예측을 통한 능동적 에너지 저장 관리 방안",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0
  17. 이동현, 정아현, 김진형, 김창기, 김현구, 이영섭, "SARIMA모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량 예보 모형 구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제39권, 제3호, 59-66쪽, 2019년 6월 https://doi.org/10.7836/KSES.2019.39.3.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