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buttals in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in Lesson Plan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지구과학 예비교사가 설계한 수업내용의 논증구조에 나타난 반박 분석

  • Received : 2020.11.29
  • Accepted : 2020.12.21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ypes of rebuttals in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in lesson plans constructed by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then we explored examples of how they responded to resolving the rebuttal. As a result of analyzing preservice teachers' assignments, discussions, and interviews collected during a total of 20 hours of classes and group discussions for 5 weeks, all 5 types of rebuttals suggested by Verheij (2005) were identified. Through the data analysis, a total of 18 rebuttal cases derived, and these cas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how preservice teachers solve the rebuttals in clas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data that the thinking process of validating core elements of argumentation and processes of argumentation is actively taking place in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ning using the argument structure, and expan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Second,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should be used to help teachers to come up with strategies to induce students' curiosity and devotion to learn science contents. Third,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nature of science, including the variability and un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when they discover rebuttals and develop solutions to them. Based on these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 설계과정에서 구성한 학습 내용 논증구조에서 반박의 대상이 되는 요소에 따라 반박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반박을 해결하기 위한 예비교사의 대응 방법에 따라 사례를 분류하고 탐색하였다. 5주간 총 20시간의 강의 및 모둠 토론 과정에서 수집한 예비교사들의 수업 결과물과 토론 및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한 결과, Verheij (2005)가 이론적으로 도출한 5가지 반박유형이 모두 확인되었다. 분석을 통해 추출한 총 18건의 반박 사례를 질적으로 해석하였고, 예비교사들이 반박을 수업에서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 반박 사례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동안 논증의 핵심 요소와 논증 과정의 과학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사고 과정을 활발히 진행한다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과학교육 연구에서 논증활동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예비)교사가 학생들의 궁금증을 유발하여 수업에 몰입(참여)시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어 수업내용 논증구조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반박을 생성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는 과학지식의 가변성이나 불확정성을 비롯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하여 생각해 볼 기회를 얻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2018).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생물교육(구생물교육학회지), 46(1), 55-62.
  2. 강순민, 곽경화, 남정희(2006). 논의과정을 강조한 교수, 학습 전략이 중학생들의 인지발달, 과학개념 이해, 과학관련 태도 및 논의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50-461.
  3. 고연주, 최윤희, 이현주(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509-52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09
  4. 김범준, 김형범, 조정은, 배성희(2015). 상호작용에 따른 논증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09-31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09
  5. 김선아, 이신영, 김희백(2015).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 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1019-1030.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1019
  6. 김선영(2015). 예비 생물교사들의 생명윤리 논쟁거리에 대한 논증 활동의 효과.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3(1), 27-36.
  7. 김영대(2017).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61-172.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61
  8.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Hand, B.(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9. 박영신(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401-415.
  10. 박정은,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2009).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24-847.
  11. 박지연, 남정희(2019). 논의기반 탐구 (ABI)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론적 사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37-34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337
  12. 신호심, 김현주(2011).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에서 나타난 영재학생들의 논의 양상 및 논의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567-586.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567
  13. 신호심, 김현주(2012). 원운동 학습 상황에서 Toulmin의 논의 구조(TAP)와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대화적 논의과정 분석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1007-1026.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1007
  14. 양일호, 김기영, 임성만, 김은애, 김성운(2015).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자료와 감정이입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66-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66
  15. 오준영, 김유신(2009). Toulmin의 논증의 옹호와 교육적 적용에 대한 탐색. 범한철학, 55, 379-425.
  16. 위수민, 윤지영, 임성만(2014). 지구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를 통해 알아본 예비교사들의 논증구조 발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2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11
  17. 윤선미, 김희백(2011). 소집단의 논변활동을 위한 과학 탐구 과제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694-708.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5.694
  18. 이고은, 최승언, 김찬종(2010). 인터넷 메신저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활동의 특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사과정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31(6), 625-636. https://doi.org/10.5467/JKESS.2010.31.6.625
  19. 이봉우, 임명선(2010).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39-751.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6.739
  20. 이선영, 최지선(2013). 국어.수학 통합 교과 원리로서 '정당화'에 대한 탐구-툴민의 논증 구조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6(3), 1-25.
  21. 이지영, 김희백(2011). 갈등 상황에서 구성된 중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유형.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39(2), 235-247.
  22. 이효녕, 손정주, 조현준(2009). 학교과학교육에서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66-679.
  23. 이효녕, 조현준(2012).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적 논증활동을 위한 탐구학습 지도방법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75-188.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2.175
  24. 하희수, 이영미, 김희백(2018).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11-26.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11
  25. 한신(2020).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된 논증적 글쓰기에 나타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논증 구조 유형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 61-71.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1.61
  26. 한혜진, 이태훈, 고현지, 이선경, 김은숙, 최승언, 김찬종 (2012). 과학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나타나는 반박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17-72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17
  27. 홍정환, 원효헌(2017).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평가 방안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306-314.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306
  28. Bell, P., & Linn, M. C. (2000). Scientific arguments as learning artifacts: Designing for learning for the web with KI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8), 797-817. https://doi.org/10.1080/095006900412284
  29. Brockriede, W., & Ehninger, D. (1960). Toulmin on argument: A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Quarterly Journal of Speech, 46(1), 44-53. https://doi.org/10.1080/00335636009382390
  30.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https://doi.org/10.1002/tea.20385
  31.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32. Duschl, R. A. (2008). Quality argumentation and epistemic criteria. In S. Erduran, & M. P. Jimenez-Aleiz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159-175). Springer.
  33.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1), 39-72. https://doi.org/10.1080/03057260208560187
  34. Erduran, S. (2008).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In S. Erduran, & M. P. Jimenez 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47-69). UK: Springer.
  35. Erduran, S., & Jimenez-Aleizandre, M. P.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S. Erduran, & M. P. Jimenez 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3-27). Springer.
  36. Kelly, G. J., Regev, J., & Prothero, W. (2008). Analysis of lines of reasoning in written argumentation. In S. Erduran, & M. P. Jimenez 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71-88). Springer.
  37. Lawson, A. (2003).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hypothetico-predictive argumentation with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1), 1387-1408.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52117
  38. Mathison, S. (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 17(2), 13-17. https://doi.org/10.2307/1174583
  39. McNeill, K. L. (2009). Teachers' use of curriculum to support students in writing scientific arguments to explain phenomena. Science Education, 93(2), 233-268. https://doi.org/10.1002/sce.20294
  40.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https://doi.org/10.1002/tea.20035
  41. Sandoval, W. A. (2003). Conceptual and epistemic aspect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2(1), 5-51.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1201_2
  42. Sandoval, W. A., & Millwood, K. A. (2008). What can argumentation tell us about epistemology? In S. Erduran, & M. P. Jimenez 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71-88). Springer.
  43. Shrout, P. E., & Fleiss, J. L. (1979). Intraclass correlations: Uses in assessing rater reliability. Psychological Bulletin, 86(2), 420-428. https://doi.org/10.1037/0033-2909.86.2.420
  44. Toulmin, S. E. (2003).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7-134.
  45. Toulmin, S. E. (2006). 논변의 사용 (고현범, 임건태 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원전은 2003년에 출판), pp. 157-234.
  46. Verheij, B. (2005). Evaluating arguments based on Toulmin's scheme. Argumentation, 19(3), 347-371. https://doi.org/10.1007/s10503-005-4421-z
  47. Walton, D. N. (1996). Argumentation schemes for presumptive reasoning. Psychology Press, pp. 46-110.
  48. Walton, D. N. (2008). Argumentation schem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17-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