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시 초등학교 학생수 변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change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 투고 : 2020.11.26
  • 심사 : 2020.12.23
  • 발행 : 2020.12.31

초록

서울특별시는 우리나라의 수도로써 서울시 지역별 학생수 증감추세 특성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서울시 지역별 특성에 맞는 학교수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35가지 유형에 서울시 조사분석을 통하여 22가지 유형을 추가 발굴하여 총 57개 유형으로 세분류 할 수 있었다. 둘째, 서울시 조사 분석결과 이미 전국적으로는 나타났지만, 서울시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14개 유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서울시 43개 유형별 빈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장기하락형 중 가장 많은 유형은 A6형>A8형>A17형>A2형>A1형>A18형 등의 순으로 71.3%를 차지하고 있다. 신설학교 장기형은 Nl4형이 가장 많다. 넷째, 장기하락형 중 강남8학군에는 A2형, A3형, A13형, A15형 등의 학생수 감소를 막아주는 유형이 많은데 반하여, 비강남지역에서는 이와 다른 전형적인 학생수 감소 유형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지역 간 유형 분포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지역이 대부분인 서울시는 11개 지원청별로 지역적 특성에 맞는 학교수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서울시 각 지역별 특성을 면밀하게 조사 분석하여 학교 신설, 이전, 통폐합, 통학구역 재조정, 리모델링, 적정화정책 등 종합적인 서울시 학교수용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subdivide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of regional student numbers in Seoul into a total of 57 types by discovering additional 22 types through the Seoul City survey analysis of the 35 existing typ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4 types that had not appeared in Seoul contrary to the nationwide appearance. Second, among the 43 types in Seoul, the most long-term decline types accounted for 71.3% in the order of A6 type> A8 type> A17 type> A2 type> A1 type> A18 type. The most long-term type of a new school was Nl4 type. Third, among the long-term decline types, there were many types that prevente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such as the type A2, type A3, type A13, and type A15, in Gangnam School District 8, whereas in the non-Gangnam area, there were many other types of student decrease.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s of types among regions was clearly seen. Therefore, in Seoul, which is mostly an urban area,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11 Education Support Offices and to establish a school accommodation policy that reflects these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시(1989-2018). 서울시 교육통계연보.
  2. 윤용기(2019). 우리나라 적정규모 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서울시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 18(1), 27-36.
  3. 윤용기(2016).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수 증감 추세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5(3), 26-35.
  4. 윤용기(2016). 중소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5(1), 30-39.
  5. 윤용기(2015). 1기 신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4(3), 8-37.
  6. 이상민.조창민(2016). 지역특성을 고려한 학교규모 적정화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5(1), 40-49.
  7. 이화룡.동재욱(2010). 공동주택 세대당 학생유발비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계획계 26(1), 105-112.

피인용 문헌

  1. 경기도 초등학교 학생수 변화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vol.20, pp.1, 2020, https://doi.org/10.7743/kisee.2021.20.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