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Landscape Design by Flexibly Using Resilient Theory - Focused On 'New York High Line Park'-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The High Line' 를 중심으로 -

  • 천원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교수)
  • Received : 2019.10.08
  • Accepted : 2019.12.02
  • Published : 2020.01.28

Abstract

As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has cause some environmental problems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natural earthquakes and floods have brought about impact, designe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independent prevention ability of urban ecosystems in fa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atural disasters, as well as its ability to adapt to the future. This study introduces 'elasticity theory'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lasticity design in landscape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lasticity in space, which can provide more scientific reference meaning to creat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values for space. After selecting 'The High Line' as the obje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evious theories and practical cases, and infers ecology, sustainability, diversity, and adaptability. And then this paper applies five components and analyzes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se five components of the landscape spatial elasticity strategy, and summarizes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asticity design in 'The High Line' landscape planning. It can be known from the research that elasticity strategy which is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i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landscape space. Elasticity design itself can strengthen environment quality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environment to defense external shocks so as to adapt to environment changes. Therefore, the elasticity design can strength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establish a periodic recycle system.

도시화 발전이 초래한 환경 문제와 자연의 지진 및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의 영향으로 인해 디자이너들은 환경오염과 자연 재해 앞에서 도시 생태 시스템의 예방능력과 미래 적응 능력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본연구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도입하여 경관 환경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체적인 실제 응용 및 공간의 리질리언트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연구하여, 공간이 경제, 문화, 사회 등 가치를 지니게 하여 보다 과학적인 참고 의미를 제공하고자한다. 'The High Line'을 대상으로 선정한 선행 이론과 실천 사례 고찰에서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성 등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또 사례의 경관 공간 리질리언트 전략의 이들 5개의 구성 요소의 구체적 응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The High Line' 경관 계획에서의 응용 특징 및 영향 요인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리질리언트 전략은 디자인 과정 및 경관 공간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나타내고,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그 자체만으로 환경의 품질을 강화하며 환경이 외부 충격을 방어하는 수요를 만족시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도시의 지속적 발전을 강화하고 주기적 순환계통을 구축할 수 있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지진과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리질리언트 이론1)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리질리언트 이론은 위기가 닥쳤을 때 자신의 상태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 것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이는 오늘날 도시 디자인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디자이너는 도시 생태 체계의 자율적 회복능력과 미래적응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도시의 지속발전의 형식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사상이 일반대증에게도 인식되면서, ‘리질리언트 디자인'2) 이론은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과 인간성과 융합하여, 단순한 건축학의 범주에서 환경 및 사회라는 전체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이로써 리질리언트 이론은 경관 디자인의 실천에까지 응용되었다. 현재의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구체적인 경관 계획 디자인의 방법론적인 탐구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사실 미래 사람들의 각종 수요변화를 대응하는 한 가지의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시간적 측면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바라볼 때 이는 계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역사적 요소를 융합하여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또한 공간적 측면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경관이 한정된 공간에서 미래 수요에 적합한 공간적 변화와 각종 감각적 효과를 보이게 끔 하는 것이다[1]. The High Line은 역사적 요소를 이 안에 융합하여 향후 사람들 활동의 가능성과 기호 변화 수요를 고려하며 디자인한 경관 시스템이다. 본 경관 시스템에서 디자인이너들은 전 과정에서 살아남는 자생능력을 지닌 식생을 고려하고 이 식생 조직들로 리질리언트 개념이 강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은 식생 생태 시스템을 디자인 및 구축하였다. 이것이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전략이다.

21세기 들어 관찰되는 불확실성, 불안정성, 다양한 위협의 등장 등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그 중 하나의 해결책으로 리질리언트 개념이 등장하였다[2].

경관 계획 분야에서 발표된 기존 연구는 주로 기술과 정책 측면에 집중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주로 경관 공간의 리질리언트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The High Line 경관 디자인 과정에서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또다른 실제 적용사례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어떻게 조정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은 리질리언트 이론의 관점을 통해 The High Line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리질리언트 이론이 구체적 실천 사례의 활용으로 발전시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리질리언트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 참고 가치를 제공한다. 운영 이후 발생하는 경제적 가치, 공원관리와 보수, 사회적 가치, 문화적 가치의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뒤 이를 기초로 경관 공간 디자인에서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가 사례에서의 표현 특징을 제기하였다. 이는 리질리언트 구성 요소의 심층적 발전과 연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개념 및 리질리언트 디자인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발전에서부터 계획 영역, 경관 디자인 영역까지 정리한다. 이를 통해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방향을 분석한다.

둘째, 관련 논문과 역사적 자료를 수집하여 The High Line의 발전 과정과 디자인, 리더십에 대해 상세하게 조사한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 고찰을 이용하여 5개의 실천사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본 연구에 부합하는 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그리고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의 5가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 및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The High Line 공간에서 5개 요소의 개념이 발생한 변화를 정리한다.

넷째, The High Line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고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경관 계획 영역에서의 응용 특징 및 영향의 중요 요소를 추출한다. 리질리언트 이론은 1999년 이후 기획 연구에 심화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The High Line은 1999년 ‘friends of the high line’이라는 조직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처음으로 대중에게 개방되었다. 리질리언트 이론은 기획과 경관 분야에서 발전했으며, 이는 The High Line과 같은 시간축(时间轴)에서 발전하였다. 따라서 하이라인파크의 경관 공간을 선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물리적 범위가 1.6킬로미터에 달하는 The High Line 구간의 물리적 공간 디자인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리질리언트 이론

1.1 ‘리질리언트 (Resilient)’의 개념

리질리언트는 ‘To jump back’, ‘To Rebound’, ‘To Recoil’을 의미하는 라틴어 ‘Resilio’가 기원으로, 국내에서는 탄력성, 복원성, 복원력, 탄력복원성, 회복탄력성, 회복력으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경우 리질리언트 본래의 함축된 의미를 표현하는데 한계성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번역하지 않고 리질리언트라는 용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 그 학술적 배경은 1973년 생태학자 C.S.Holling이 발표한 논문에 기반한다. Holling은 주로 예기치 못한 외부의 변화와 방해에 노출된 시스템의 동작을 정량적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해 리질리언트 개념을 사용하였으며[4], 리질리언스를 ‘변화와 방해를 흡수하고, 인구나 상태변수 간의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5].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 개념을 정의하고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고, 도시계획분야에서도 ‘리질리언트시티(Resilient city)’ 또는 ‘도시 리질리언스(Urban resilience)’로 개념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기본적으로는 스스로 방해에 대처하는 능력,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외부 충격을 견디고 흡수하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이전보다 더 나은 수준으로 회복하는 능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리질리언트 시티는 도시발전에 실제적으로 녹아들었다[6].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은 계속 발전하여 생태, 사회, 경제, 기술 등 각종 과학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게 되었다[7]. 리질리언트 시티 이론의 변화과정을 다룬 문헌연구에 따르면, 이 발전 과정은 공학 리질리언트(1973년 이전), 생태 리질리언트(1973-1988), 사회-생태 리질리언트(1998년 이후) 이렇게 3단계로 나눌 수 있고, 다시 범주, 핵심 속성, 핵심지표 등 3개의 내적 특징으로 이 단계들의 차이를 명확하게 연구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리질리언트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8].

1.2 연구영역별 리질리언트 정의

1)도시생태학 분야

Wu J.(2014)에 따르면, 도시생태학 자체가 9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태학, 지리학, 계획학, 사회학 등을 통합하는 초학문적 분야로 진화되어 왔다고 한다. 그 중 하나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다루려는 시도가 지속가능성의 등장과 함께 리질리언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 생태시스템(자연)과 사회시스템(인간)을 연계하여 리질리언트를 이해 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9].

2)도시계획 분야

리질리언트에 대한 인식이 계속해서 심화되고, 도시발전이 마주한 위험이 나날이 커지면서, 유연하면서 친화적이고, 또 즐거운 도시 회복력 체계의 구축 역시 나날이 도시계획의 기본 사항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도시계획학자들도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Goldstein (2009)은 기후변화의 각도에서 접근해, 리질리언트 이론이 사회학습의 촉진, 창의성 형성, 공정협의 등 방면의 소통 계획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 White(2010)는 위험과 회복력 개념을 종합하여 공간계획이 어떻게 매순간 다변화하는지 세계 속에서 도시의 물 사용 문제를 해결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10].

1.3 리질리언트 경관의 개념

리질리언트 경관은 미국 하버드대학의 Niall G. Kirkwood교수가 처음 제시하였다. 그는 오늘날 세계는 이미 환경·경관의 시대에 돌입하였으며, 풍경 뿐 만 아니라 환경, 생태, 경제, 문화, 예술, 나아가서는 정신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종합적인 체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회복력과 생태체계를 통한 강한 생명력과 미래에 적응하는 능력을 Niall G. Kirkwood는 리질리언트 경관이라 이름지었다[11].

‘리질리언트’를 경관 디자인의 영역에 끌어들이면 시간적·공간적 방면에서 그 모습이 나타난다. 시간적으로 회복력을 추구하는 목적은 경관 디자인의 영역에서 사전에 인식한 역사적 요소, 미래의 불확정 요소를 디자인 체계에 적용하여 경관이 역사를 수용함과 동시에 사회와 인간의 다변하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있다. 즉, 회복력의 사고를 도시계획 디자인, 건축 시공, 운영 유지, 미래의 재활용 등 경관발전의 각 단계에 일괄로 적용하는 것이다. 한편 공간적으로 리질리언트를 추구하는 목적은 경관의 구성요소가 제한된 공간 속에서 유연하게 크기를 조정해 무한한 시각효과와 기능의 변환을 나타내는 데 있다[12]. ‘리질리언트’가 존재하는 도시환경은 또한 많은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문화전통, 사회 습관,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공업, 상업 등이 그것이다.

리질리언트 경관 자체만으로 다양한 기능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또 공간 변화를 위한 가능성을 제공하여 기능의 변화에 적응한다. 따라서 리질리언트 경관 이론은 공간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질리언트 경관은 훌륭한 적응성을 갖고 있다. 다양한 기능이 한 공간 내에서 동시에 또는 이어져 생성되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역시 자원을 절약하는 방식이자 환경보호의 원칙에 들어맞는다. 리질리언트 경관은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공간에서 발생하도록 하며, 기능 간의 관계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간 흡입력을 높여준다. 기능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은 바로 인간과 인간과의 교류를 의미한다. 따라서 리질리언트 경관은 인간 간의 교류도 촉진시킨다[13].

1.4 ‘리질리언트 경관’의 의의

환경 디자인 영역에서 확장한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디자인 과정에서 미래의 불확실성 요소를 디자인의 체계에 삽입하여, 다양한 변화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지속발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향후 환경의 발전에 여지를 남기도록 하는, 공간을 측정하고 디자인하는 비(非)일회성 디자인이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일반적인 디자인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존재하는 방법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욕구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일반적인 디자인 과정 전체에 적용되며, 디자인의 리질리언트 사고를 강조한다. 공간 디자인의 이론을 공간 구축, 사용, 나아가 미래 개조와 재활용의 모든 수명 과정에까지 확장시키며, 실천요소를 공간 디자인에 삽입한 형태로 존재한다[14].

일부 공간 디자인은 초기에 리질리언트 방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용 후에도 여전히 사용자의 손에 상당히 강한 기능과 공간상의 적응성이 남아 있었다. 반대로, 일부 공간은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출발점으로 삼았으나,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그가 말한 리질리언트에까지 확장되지는 못하였다[15]. 따라서, 리질리언트 디자인 자체는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과정을 통해 그 디자인과 원칙과 방법, 응용 정도, 범주 등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5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의 중요성

경관은 도시의 중요한 부분으로 언제든지 도시의 영향을 받는다. 현대 도시의 빠른 발전, 인구 증가, 문화의 번영, 경제의 빠른 성장 및 불확실한 정치 요인 등은 모두 도시 경관을 변화시킨다. 특히 계속되는 환경 악화에 따라 생태 사상이 더욱 중시되고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경 설계 체계는 자기 조절, 리질리언트, 적응성 등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미래의 발전에 대한 예측과 판단을 해 지역의 리질리언트를 확보해야 한다. 자이쥔(翟俊) 연구원은 ‘순수한 기능 조합 설계에서 최종 제품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지향하는 개방적인 동태적 디자인’라고 리질리언트 디자인를 요약했다. 도시 경관 발전은 완전한 발전 과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단편적인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서는 안된다. 사람의 지식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과정을 완벽하게 예측하거나 완전히 컨트롤할 수 없다. 경관의 계획 디자인이 미래의 변화에 더 잘 적응하게 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가 계획 디자인 과정에서 지역 발전의 리질리언트와 다양성을 반복적으로 고려하고 설계의 틀이 유도성을 가지게 해야 하며 제한적이게 해서는 안 된다[16].

다시 말해 경관 계획 디자인은 하나의 과정이다. 디자인이 경관의 모든 진행 과정에서 효율적이고, 실행가능하며, 적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리질리언트 디자인 개념을 차용해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개념을 공간의 입장에서 보면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제한적인 공간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 감각을 찾아내는 것이고, 시간의 입장에서 보면 역사적인 요소를 융합해 미래 발전의 가능성을 통합해 이런 요소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이다[17].

Ⅲ. 선행연구 분석

1. 기존 관련연구 분석

리질리언트 이론은 물리, 사회, 경제,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외부의 충격과 훼손을 받았을 때 도시시스템을 그 전의 상태로 유지하거나 회복할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미래의 수요변화를 대응하는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디자인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역사 요소와 불확정 요소를 고려하여 경관이 유한한 공간에서 적응 및 변환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진단 및 평가하기 위해서 국내외의 연구에서는 이하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 디자이너도 실천과정에서 현재의 상황에 부합하는 리질리언트 요소를 활용한다. 다음의 [표 1]은 관련이론과 사례실천의 분석을 통하여 본문 연구에 적절한 요소에 대해 사례분석을 하고 정리한 것이다.

표 1. 관련연구 리질리언트 이론의 구성요소

CCTHCV_2020_v20n1_644_t0001.png 이미지

*표희진(2014), 김정곤 외(2016)를 참고하여 저자 재작성

진정은(2014)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재난의 적응방안에 영향을 미치는 목적, 방법, 범위, 비용적측면의 요소들을 선정하였다[18]. 김정곤 외(2016)는 리질리언트개념과의 중복성, 도시계획분야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4개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있다[19].

2. 선행 사례 분석

2.1 사례 선정 기준

본문연구에서는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을 전제조건으로 청계천, Houtan Park(上海后滩公园), JinhuaYanweizhou Park(金华燕尾洲公园), Russia Kazan City Kabin Lake Group Waterfront, Long Dock 5개의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의 사례는 많다고 볼 수 없지만 선정한 5개의 사례는 모두 버려진 공간을 생태 경관의 목적으로 복원한 공공 공간이다.

청계천 Chongae River Restoration Projects은 2009년 ASLA3)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Honor Awards’을 수상하였고,Houtan Park(后滩公园)은 2010년 ASLA ASLA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award of excellence’을 수상하였고, Jinhua Yanweizhou Park(金华燕尾洲公园)은 2015년 WAF 세계 건축제 ‘landscape of the year’을 수상하였고, Long Dock는 2015년 ASLA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category award of excellence’을 수상하였다.

2.2 사례실천 구성요소 분석

선행연구는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의 연구자가 제기한 구성 요소[표 1]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후, [표 2]를 통해 실제 디자인 사례에 대해 고찰을 하였고, [표 3]를 종합 이론과 실천으로 요소 도출을 진행했다. [표 1]과 [표 2]의 구성요소가 언급된 횟수를 정리하고 구성요소의 특성빈도수가 높은 5게를 선정하였다. 구성요소는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에서의 비중이 보다 높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5가지 구성요소를 분석요소로 선택하였다.

표 2. 관련 사례의 리질리언트 구성요소

CCTHCV_2020_v20n1_644_t0002.png 이미지

표 3. 기존 연구에서 도출한 리질리언트 구성요소

CCTHCV_2020_v20n1_644_t0003.png 이미지

설명:1.구성요소의 귀납 과정에서 의미가 같지만 명칭이 다른 요소를 하나의 단 어로 통일했다.(혜:회복력 → 회복성, 생태성 디자인 → 생태성) 2. 구성요소의 빈도수 통계과정에서 많은 빈도수 중 ‘1’만 있는 요소를 제거했다.

3. The High Line

3.1 The High Line의 선정 기준 및 개요

The High Line을 본문 연구의 중심으로 선정하게 된 기준은 아래와 같다.

첫째,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미래 사람들의 각종 수요변화를 대응하는 한 가지의 사고방식과 전략이다. 현재 The High Line응 경제, 문화, 지속가능한 발전 방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옛 산업유산의 재활용의 연구 측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을 중점으로 연구한 논문은 소수에 그쳤다. 따라서 The High Line은 지속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으며, 또한 경관 디자인과 생태 형태에 더욱 집중한 사례이기에 본 논문과 연관된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 ASLA는 리질리언트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는데 그중 한 가지 리질리언트 디자인 전략이 바로 ‘생물 다양성의 소실’이다. 여기서 생물 다양성의 소실이 생태계 서비스와 운행에 매우 큰 영향을 일으켰고 장기적 리질리언트 발전 및 인류의 복지를 교란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때문에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인류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고, 생물 다양성은 시스템 복구와 운행의 핵심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성 소실에 대한 리질리언트 계획의 실행 방식과 야생 동물 및 토종 식물이 커뮤니티에서 없어서는 안될 구성 요소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여 우선 먼저 생태 건강과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20].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전략 ‘종의 다양성’은 ASLA와 부합된다. The High Line에서 풍부한 야생 식물 경관을 표현하기 위해 디자이너들이 선택한 식물에는 여러해살이 식물, 초본, 관목 및 나무의 53개과의 139속 263가지를 포함하였다.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응용한 형식이 새롭다. 각종 식물마다 내한성(耐寒性), 적응성, 다양성이 있고 계절 변화의 색깔과 결에 대한 고려와 선택도 있다[21].

셋째, The High Line은 경관계의 권위가 놓은 ASLA에서 두 개의 대상을 받았다. The High Line는 제13회 Veronica Rudge 도시 디자인 녹색상을 수상하였다. 그 중 Section1의 도시계획 항목은 2010년 ASLA에서 명예상을 수상했고, Section2의 도시계획항목은 2013년 ASLA PROFESSIONAL AWARD에서 명예상을 수상했다.

The High Line은 1934년부터 1980년까지 맨하튼의 물류 운송 기능을 담당했다. 철도는 뉴욕시의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20개의 도시블록을 가로지르며 각각의 지구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2.3km의 고가 화물철도로서 근대 산업혁명의 시기가 지나자, 그 기능을 다한 고가철도가 폐쇄되었다[22]. 철로가 폐쇄되면서 이곳은 잡초가 우거지고 쓰레기가 난무한 우범지역이 되었고,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철도폐선부지는 지역의 단절을 야기하였다. 토지 소유자들은 철도의 철거와 건축을 요구하였으며, 운행을 멈춘 폐선에 대해 뉴욕시민은 개발론자와 보존론자로 양분되었다. 수년을 걸친 소송 끝에 시민들의 큰 지지를 얻은 보존론자의 승소로 개발 위기에 처했던 하이라인은 친환경 개발을 원칙으로 하여 어떻게 보존할 것인지 다양한 계획을 모색하기 시작했다[23]. [표 4]는 The High Line의 역사적 배경을 정리한 것이다.

표 4. The High Line의 역사적 과정

CCTHCV_2020_v20n1_644_t0004.png 이미지

*이혜주, 서리인 외(2014)를 참고

3.2 The High Line의 디자인

The High Line의 디자인팀은 ames Corner Field Operations디자인사무소와 Diller Scoidio+Renfro 디자인사무소가 포함되었고 식물의 디자인은 네덜란드 식물 경관 디자인회사인 Piet Oudolf가 맡았다. The High Line의 건설은 총 세 부분으로 나눠지며 이하[표 5]는 이에 대한 정리를 하였다. 세 단계의 전체적인 디자인 이념은 기본적으로 일치하므로, 이를 전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표 5. The High Line의 구역 개요

CCTHCV_2020_v20n1_644_t0005.png 이미지

The High Line의 디자인적 요구는 조경 재료적 특성 측면에서 환경보호 재료와 기술을 첨가하여 공원의 단기 및 장기 보수와 운영을 보장하는 것이다. 원래 산업 철도였던 곳을 휴양공원으로 개조한 것인데, 이는 하나의 공원이자 공공공간으로 야생식물의 재배, 친밀한 교류와 사회 활동의 필요에 부응한다[24]. 동시에 The High Line의 자연적 특징을 보존하여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선사하였다. The High Line은 각 구역을 연결하여 도시 녹화의 새로운 모범사례를 구축하였으며, 도시를 자세히 살펴보는 새로운 시각을 만들고 창의적인 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리질리언트 경관의 대표적인 아이콘이 되었다. 이는 다른 도시 경관 디자인에 계발적 의의를 갖는다. 이는 사람들에게 경관이 도시 생활의 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25].

3.3 The High Line의 리더십

The High Line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비영리성 조직 ‘friends of the high line’이 운영하고 있다. ‘friends of the high line’의 추진 아래 점차 많은 사람들이 The High Line을 보호하는 일에 참여하였다. 프로젝트 초기부터 The High Line의 보호를 추진하였는데, 프로젝트 중반에는 여러 개의 디자인 방안을 공시를 통해 공개하여 많은 시민들에게 선택권을 주어 디자인 방안이 공공의 지지를 받게끔 함으로써 시민의 공공 이익에 균형을 이뤘다. 프로젝트 후반에는 공공의 예술행사, 학교 교육, 과학 보급 행사, 개인적인 활동 등을 계획하여 공원의 사용빈도를 높였다. 동시에 High Line Art Commissions을 조직하여 정기적으로 The High Line에서 노천 음악회, 미술 전시회, 공연 등과 같은 각종 유형의 공공 예술 행사를 주최하였다.

4. 연구적 차별성

리질리언트 이론 부분에 관한 논문에서 생태학, 도시계획, 도시 방재, 지속 가능한 도시 등 여러 측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논문은 거의 없다. 연구도 주로 이론적 측면에 집중되어있고 구체적 이론 실천과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다. 때문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논문과 선행 사례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 프레임의 리질리언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경관디자인의 관련 연구에 활용한 시작이다. The High Line에 관한 관련 연구 논문에서 주로 폐기와 개조, 재활용 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본문은 리질리언트 디자인 사고의 각도에서 The High Line 사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 공간 형태의 탄성 구축을 탐구하였으며 구체적 사례에서 구성 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이론이 환경디자인에 적용되어 진다면 외부의 충격에 훼손되어진 환경이 스스로 일정부분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할 수 있는데에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Ⅳ.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 구성요소

1.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

본 장은 문헌 고찰을 통해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 요소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The High Line의 디자인 과정에서 5가지 요소의 표현 특징과 적응을 분석해 각 요소 별 차이 및 내용을 요약한다.

표 6.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

CCTHCV_2020_v20n1_644_t0006.png 이미지

2. The High Line의 5가지 구성요소 특징 분석

2.1 생태성

생태성 디자인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생태성은 시민의 입장에서만 고려되야 할 문제는 아니다. 리질리언트 경관의 생태성은 보편적인 생태관이며, 생태는 일종의 녹지를 보충하는 것이다. 하이라인파크의 리질리언트생태 디자인은 하이라인파크라는 버려진 지역을 재생시켰으며, 오랜 시간을 거쳐 변화했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 속에서 나타날 생태전략은 도시형태에 대한 주목이며 시간의 작용으로 다양성, 유동성 및 안정성을 나타낸다. 생태는 도시기초시설 회복의 주요 수단이며 다른 학문과 결합하여 폐기된 도시기초시설이 점차적으로 생명력을 지닌 탈산업화시대의 도시기초시설로 성장해야 한다.

2.2 지속가능성

The High Line의 디자인팀은 인위적인 디자인과 변화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의 생각을 가져야 The High Line를 디자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 사고방식은 ‘지속가능한 발전’은 자연을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는 이 도시의 인문경관과 역사문화를 기초에서 설립되며 발전해야 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2.3 다양성

미국경관디자이너협회(ASLA)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지침서에는 생물다양성의 상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다. 생물다양성의 상실은 생태시스템 서비스와 운영에 큰 영향을 끼치며 장기적인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발전과 인류의 복지에 방해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스템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은 인류생존에 관하여 매우 중요하다. 생물다양성은 시스템 회복과 운영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야생동물과 본토식물은 도시구역에서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다. The High Line의 디자인은 시간변화에 따라 공원 생태환경과 생물다양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타났다. [그림 1][28]은 생동적으로 우리에게 군락의 안정성이 년 단위로 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The High Line의 건설이 긴 시간 동안 그 지역 환경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CTHCV_2020_v20n1_64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군락의 안정성 변화

2.4 적응성

경관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공간 디자인과정의 각 다른 단계에 적응해야 하며. 디자인, 시공, 사용, 개선 등 각 단계에서도 적응능력을 지녀야 한다.

디자인과 시공단계에서도 개발자와 사용자의 각기 다른 수요에 따라 비교적 강한 조절능력을 지닌 디자인방안을 확정해야 하고, 디자인이 어느 정도 수요변화의 필요에 적응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The High Line 디자인의 초기에 자연요소, 공간요소, 문화요소 및 시민의 활동요소에 대하여 전면적인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여러 방안의 구상과 디자인을 제안했으며 장단점을 파악해 가장 나은 방안을 확정하였다.

사용단계에서 장소환경은 공간, 기능의 변화 및 발전의 수요에 적응해야 한다. 하이라인파크의 풍부한 참여성 활동의 운형관리는 공공예술 활동, 학교교육 과학보급 활동, 개인 활동 등을 배치하여 공원의 사용빈도를 높였다. 공공사용 및 참여는 공원에 보호와 이용을 촉진하였다.

개선단계에서 본래 환경과 결합하고 새로운 수요, 기술조건에 대해 상응하는 조정을 해야 한다. The High Line의 지면배치 및 녹화 디자인의 모습은 규칙적으로 변화가 있어야 했다. [그림 2][29]은 사용률을 보이는 구역(100%경질배치)와 재배환경구역(100% 녹화구역)이 있다.

CCTHCV_2020_v20n1_64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하이라인파크 녹화 디자인

2.5 재활용

The High Line의 재활용은 공동체를 기초로 한 비영리성 조직 ‘Friend so the high line’를 먼저 설립하여 고가철도에 대한 보호를 촉진하였다. 이를 설립한 사람은 2명의 현지주민 Joshua David과 Robert Hammond이다. 조사연구를 진행한 후 The High Line 건설에는 경제적인 실행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철도를 폐기한 후 사용기능은 상실했지만 주변 주민들한테는 고가철도의 형태는 이미 그들의 생활과 기억의 일부분이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어떠한 수단을 통해 폐기된 고가철도를 보호하며 이용하길 바랐다. 리질리언트 개념 속의 재활용 및 개선방침에는 도시계획의 통제, 상태의 융합, 생태과 예술의 결합 및 다학제의 업무 틀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기타 폐기경관의 처리이용에 대해 중요한 참고가치를 지니고 있다.

3. The High Line의 5가지 구성요소 적용 분석

리질리언트 경관 디자인이 강조하는 점은 리질리언트 경관 개념이자, 경관이 빠르게 회복하여 다시 되살아나게 한다는 것이다. 리질리언트를 구성하는 요소는 공간을 이끄는 리질리언트 디자인 방법과 그 이론 배경이다. 따라서, 아래의 [표 7]에서는 다섯 가지 요소의 개념분석을 통해 분석 틀을 구축하여, The High Line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7. The High Line 사례 분석

CCTHCV_2020_v20n1_644_t0007.png 이미지

4. 소결

해당 부분의 내용은 우선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기본적인 개념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The High Line 사례 중 5가지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여 응용 방식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5가지 구성요소의 기본 개념에 대한 비교를 진행하며 [표8]과 같은 소결 내용을 얻게 되었다.

표 8. 구성요소 종합 분석의 소결

CCTHCV_2020_v20n1_644_t0008.png 이미지

5. 하이라인파크의 위한 리질리언트 도시의 역할

평가를 통해 알 수 있듯, The High Line은 리질리언트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곳으로, 버려진 철로를 물리적·사회적으로 체계화한 능력이 발현된 사례이다. The High Line은 비록 가장 최근의 사례는 아니지만,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접목된 공간이 구축되었을 때의 실효성과 작용에 뚜렷한 결과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다. 따라서 The High Line이 리질리언트 도시에서 맡은 역할을 간단하게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The High Line는 경제성장을 이끌어갈 능력이 있다. 공원의 관리와 유지의 차원에서 보면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계속해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 보면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켜 거주민들을 The High Line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문화적 차원에서 보면 다양한 예술활동을 개최하여 다양한 기능을 늘릴 수 있다.

표 9. 리질리언트 디자인 후의 역할 분석

CCTHCV_2020_v20n1_644_t0009.png 이미지

Ⅴ. 결론 및 제언

현재 도시는 더 많은 환경문제와 경제문제를 마주하고 있고, 이는 생태환경, 사회구조, 생활방식 등의 방면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나 도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나라에서는 도시공공공간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는 주로 공간의 단일화, 기능의 경직화, 적응성의 상실에서 엿볼 수 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전통적인 디자인 방식이 변화하는 상태, 외래변화요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발전변화에 여지를 남겨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 방식은 효과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는 ‘전면적 디자인’과 ‘무(無)디자인’ 사이를 고려하는 사고방식이다. 공간의 리질리언트능력을 부여하고 장기적인 생명력을 실현해야 한다.

본 연구의 취지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결합하여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실천공간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종 문제와 압력 하에서 하이라인파크 자체의 리질리언트 능력을 판단하고 디자인 속의 생태성, 지속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 등의 5가지 리질리언트 디자인요소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공간에 리질리언트를 부여하였으며,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 구역, 사람에게 모두 발전가치를 지니게 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The High Line의 역사, 디자인 및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과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High Line’은 방치된 지 2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철거 논란이 일어났고 심지어 몇 차례 완전 철거될 위기에 몰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와중에 1999년 결성된 ‘friends of the high line’이라는 조직의 적극적인 보호로 최근 대중에게 개방되는 공원으로 개발되었다.

리질리언트 관련 이론을 기반으로 The High Line의 리질리언트 디자인 과정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버려진 The High Line은 긍정적인 효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리질리언트를 보유한 공공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아래 몇 가지 요소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다양성과 생태성은 상호 작용하고 있다. The High Line은 고가 도로 위의 공원으로 지면과 맞닿아있지 않다. 그러므로 다양성을 갖고 있는 야생동물과 현지 식물을 선별하여 이러한 동식물을 기존의 자발적으로 조성된 경관 위에 이식한다. 그리고 이를 관개를 줄이고 리사이클이 가능한 식생과 궤도로 디자인한다. 이를 통해 시간에 따라 점차 유지 보수 투자를 줄일 수 있고 유연하면서도 안정적인 생태 시스템으로 형성될 것이다.

둘째, 지속 가능성 디자인 측면에서 The High Line은 역사 문화 및 인문경관에 착안하여 23개의 구역을 가진 철로 노선 구조를 보존하고 이를 보행 공간으로 디자인하여 23개의 구역을 연결하였다. The HighLine은 공공 공간에서 당대 예술의 역할을 확장하였는데, 여기서 정기적으로 공연활동 및 예술 프로젝트가 개최되었다. 이는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건강하고 편안한 공공 생활을 창출하였다. 동시에 정치 경제적 측면에서 공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시켰다.

셋째, The High Line 건설 초기 및 건설 과정에서 공공의 참여는 큰 역할을 하였다. The High Line 건설 초기의 공공 참여로 인해 경쟁을 통한 계획 디자인 방안은 더욱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바뀌었다. 후반에는 The High Line을 관리하던 ‘friends of the high line’이 다채로운 활동을 주최하여 공원의 이용 빈도를 높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The High Line의 성공을 촉진하였다. The High Line을 본보기로 삼아 현재 한국의 도시 건설 및 경관 발전을 비교하면 비록 문화적 배경, 사회적 인식 등은 차이가 있지만 여전히 중요한 참고적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간의 리질리언트를 강화하여 미래의 충격을 대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래 몇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성 요소는 공간과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하지만 다른 공간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 요소의 구성은 변화할 수 있으며 구성 요소의 개념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리질리언트 경관 영역 요소의 개념 변화는 다른 영역과 구별되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 요소는 경관 디자인의 디테일과 리질리언트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다. 이러한 경관디자인의 강화와 경관에 대한 유기적 시스템 관리는 단기적으로는 일정한 경제적 투자를 증가시키지만, 이러한 지속가능한 경관은 장기적으로는 공원 자체 또는 주변 환경 발전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리질리언트 경관디자인의 본질은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속하며 주기적 순환성을 보인다. 디자인에서 장소기능 디자인의 확장성 탐구, 재생가능 자원 에너지원의 재이용과 재개발, 공공기초설비시설의 내구성 및 현지 식물의 회복과 보호 등을 중요시해야 한다.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 외에 흔히 일반적인 디자인 방법과 어우러져 보다 디자인의 리질리언트 사고를 강조하고, 디자인 과정 및 디자인 완성 후 해당 환경의 변화 추세에 더욱 주목한다. 서로 다른 공간에 대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적용 범위도 다소 차이가 있고, 디자인 초기에 환경의 각 구성 요소가 나타낸 특징이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응용 여건과 사회 여건을 만족시키는 여부를 고찰해야 한다. 이를 통해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프로젝트에서의 적용 범위와 관리제도를 수립하는 배치를 명확히 하여 인문이 환경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확보하고, 자연 자신의 순환 복원 능력을 강화하며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작용을 끊임없이 보완해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도시 리질리언트를 강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경관 설계 측면에서 공간의 적응형 사이클 (The adaptive cycle) 문제를 이해하고 버려진 역사 공간의 리질리언트 건설에 대한 구체적 방향성을 제기할하고자 한다.

References

  1. 段亚丽,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郑州市树木园景观规划, 河南农业大学, p.9, 2014.
  2. 표희진, 도시의 리질리언스(Resilience) 강화를 위한 전략과 도시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 2017.
  3. 김정곤, 임주호, 이성희, 리질리언스(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p.15, p.17, 2016. 재인용
  4. 김정곤, 임주호, 이성희, 리질리언스(Resilience) 도시재생 모델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p.6, 2016.
  5. C. S. Holling,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J],"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Vol.4, pp,1-23, 1973. https://doi.org/10.1146/annurev.es.04.110173.000245
  6. R. J. T. Klein, R. J. Nicholls, and F. Thomalla, "Resilience to natu- ral hazards: How useful is this concept?," Environmental Hazards, Vol.5, Issues.1-2, pp,35-45, 2003. https://doi.org/10.1016/j.hazards.2004.02.001
  7. B. WALKER, C. S. HILLING, S. R. CARPENTER, and Ann Kinzig,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J]," Ecology and Society, Vol.9, No.2, pp,25-27, 2004.
  8. J. Wu, "Urban ecology and sustainability: The state-of-the-science and future direction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25, pp.209-221, 201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4.01.018
  9. Niall G. Kirkwood, "Resilient Landscapes-Dimensions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al Pract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106, No.3, pp,221-229, 201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12.03.014
  10. P. Olsson, C. Folke, and F. Berkes, "Adaptive comanagement for building resilience in social-ecological systems [J]," Environmental management, Vol.34, pp,75-90, 2004. https://doi.org/10.1007/s00267-003-0101-7
  11. 袁磊, 基于弹性思维视角的城市滨水景观设计策略研究, 华中科技大学, p.25, 2016.
  12.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 艺术与设计(理论), 2010.
  13. 田雪, 可变性景观空间设计研究, 大连工业大学, p.6, 2016.
  14. 翟俊, 基于景观都市主义的景观城市, 建筑学报, 2010.
  15. 段亚丽, 弹性设计理念指导下的郑州市树木园景观规划, 河南农业大学, p.12, 2014.
  16. 진정은, 연안도시의 홍수적응방안의 탄력성 평가-뉴욕, 로테르담,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7. O' Rourke,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Bridge-Washington-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Vol.37, No.1, pp.23-29, 2007.
  18. https://www.asla.org/biodiversityloss.aspx, 2011.02.
  19. 唐桂兰, 李小茹, 派特.欧多夫及其生态智慧视角下的高 线公园植物造景, 南京林业大学学报(人文社会科学版), p.87, 2015.
  20. 구본섭, 도시재생을 위한 산업유산 활용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4, 2008.
  21. 강성중, "도시재생을 위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의 산업유산 활용 사례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12, 2011
  22. https://baijiahao.baidu.com/s?id=1628810620357358395, 2019.03.
  23. https://www.asla.org/2013awards/524.html, 2013.
  24. 지속가능 발전법 제2조 1항
  25. 赵晨鹿, 弹性空间设计探究, 艺术与设计(理论), pp.81-82, 2010.
  26. 胡中慧, 基于弹性理念的苏南乡村景观规划策略研究, 苏州科技大学, p.15, 2017.
  27. 倪文岩, 广州旧城历史建筑再利用的策略研究, 华南理工大学, p.8, 2009.
  28. https://backspace.com/notes/topic/high%20line, 2002.05.
  29. https://www.pinterest.co.kr/pin/26810560270004401/, 2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