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osteoporosis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Lentinula edodes in Ovariectomized Rats

향심 주정추출물의 난소적출 랫드에서 항골다공증 효과

  • Lee, Hyun-Joo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Nho, Jong-Hyu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Yang, Beo-Deul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Woo, Kyeong-Wa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Song, Yong-Ji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Lee, E-Na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Lee, Yoong-Jae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Hwang, Tae-Yeo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Kim, Sun-Ra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Cho, Hyun-Woo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Chung, Yong-Hyu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 Lee, Mu-Jin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NIKOM))
  • Received : 2020.11.11
  • Accepted : 2020.12.1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Lentinus edodes (LE) is the first medicinal macrofungus to enter the realm of modern biotechnology. Lentinus edodes is well-known to have anti-tumor,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In this study, osteoporosis was induced by ovariectomy in female rats,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efficacy of the climacteric disease the postmenopausal type I pattern was examined using the experimental substance. Female rats were either sham-operated (sham; n = 5) or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five animals per group) and then administered to OVX control, raloxifene hydrochloride 1 mg/kg/day, or LE (20 and 200 mg/kg/day) for 12 weeks. LE treatment suppressed the ovariectomy-induced reduction of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ntire tibia as well as its metaphysis with a decrease of serum osteocalcin and interleukin-6 levels. In addition, LE is suggested to elevate the serum levels of progesterone hormones and prevent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In conclusion, LE 200 mg/kg/day may have inhibitory effects on osteoporosis in OVX rats.

Keywords

세계보건기구(WHO)는 골다공증을 골량의 감소와 미세 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질환으로, 결과적으로 뼈가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1)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람의 평균 수명도 길어져 사회적으로 갱년기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여성의 갱년기는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한 안면홍조,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 장애, 수면 장애, 질 건조감, calcitonin 기능 억제에 의하여 골교체율 (bone turnover)증가에 따른 골다공증 등이 대표적인 증상이다.2, 3)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estrogen이나 progestin을 섭취하는 호르몬보충요법이 많이 사용되며 이는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결장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관상동맥질환, 중풍, 혈전 색전증, 담낭염,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다.4-6)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골다공증 치료제의 한계점이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생체이용률이 높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골다공증 치료에서 충분한 칼슘과 비타민 D의 섭취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칼슘과 비타민 D의 보충은 노인 환자의 골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버섯에는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비타민 D2(ergocalciferol)가 있으며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콜레스테롤 소화 흡수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1)

조선왕조실록(1454)에 표고(標高), 신증동국여지승람(1528- 1532) 및 동의보감(1613)에는 향심(香蕈), 조선산야생식용식물(1942)에 마고(蘑菇)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12)향심(Lentinula edodes)은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낙엽버섯과(Marasmiaceae) 표고속(Lentinula)에 속하며 봄, 가을에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서 발생하는 백색부 후균이다.13) 향심에는 당질, 단백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칼슘과 인, 철분 등 무기질, ergosterin, eritadenine과 β-gluca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14)향심의 방향성 성분은 고리형 유기 황화합물인 lenthionine 등이 있으며, 비타민 D의 전구체인 provitamin D, ergosterol 등의 성분이 풍부해 자외선에 노출되면 비타민 D2인 ergocalciferol로 전환된 후 신장에서 비타민 D의 활성형인 1, 25-dihydroxyvitamin D로 전환되어 칼슘 대사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었다.15)향심에 함유된 β-1, 3glucan은 lentinan이라 부르며, 보조 T 세포 1형(Th 1)을 활성화시켜 바이러스, 세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 또한, 면역세포 수용체와 결합하여 종양 세포, 돌연변이 세포를 제거하며, natural killer cell(NK cell),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보체계(complement system) 조절을 통한 항암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16-18)

골다공증 환자들의 혈액에서는 혈중 비타민 C와 E,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등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 골격은 골흡수세포 즉 파골세포(osteoclast)에 의해서 무기질화된(mineralized) 골의 재흡수가 일어나고 새로운 골이 골생성세포 즉 조골세포에 의해서 형성되는 과정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동적기관인데 이러한 재형성과정은 정상골량 유지를 위하여 조절되고 있다. 이러한 재형성과정의 조절인자로서 cytokine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20) 파골세포의 전구세포 동원(recruitment)과 그 분화를 유도하기도 하며 골세포에 작용하여 다른 cytokine인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을 분비하고,21)인터루킨-6 혈중 농도는 폐경 후 골소실의 예측 표지자로 보고되었다.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심 주정 추출물의 항골다공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서 IL-6와 골밀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여성의 폐경 후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제 1형 골다공증23) 모델은 랫드의 난소를 적출하여 폐경을 유도하고 성호르몬 결핍 상태인 랫드에 골대사 약화 상태를 유도하였고, 향심 주정추출물과 젖산칼슘을 병용투여하여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골다공증 치료제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랄록시펜(raloxifene, RLX)과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물질 조제

본 실험에 사용된 향심(Lentinula edodes)은 전라남도 장흥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여 한국한의약진흥원 조현우 및 이무진 박사가 감별하였다. 볶음 처리된 향심을 수세, 건조한 후 40mesh로 분쇄한 시료 1kg에 50% 주정 용액 10L를 가하여 온도 50oC에서 7일간 침지하고 95oC에서 4시간씩 2회 추출한 후 filter paper(Whatman No. 2,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하였고, 얻어진 여액은 감압농축기(EYELA, N-1100 series, Tokyo, Japan)에서 농축하여 주정을 기화시켜 농축액을 얻었다. 농축이 완료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Lyoph-pride 20R, Ilshin, Yangju, Korea)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383g(수율: 19.2%)의 시료를 얻었다.

실험동물 및 사육환경

본 시험에서는 ㈜샘타코바이오 코리아(Osan, Korea)로부터 입수한 6주령 암컷 특정병원체 부재(specific-pathogen free) Sprague-Dawley 랫드를 사용하였다. 1주일간의 검역 및 순화를 거친 뒤 건강하다고 판정된 것을 선발하여 시험에 제공하였다. 동물실의 사육환경은 온도 22±3oC, 상대습도 50±15%, 환기횟수 10~15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07:00 점등~19:00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된 사육환경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 (260W×420L×180H mm)에 수용하였으며, 실험식이와 (Altromin 1314 feed, Lage, Germany)와 식수를 자유급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모든 동물은 미국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의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에 따라 유지하였으며, 동물실험은 한국한의약진흥원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 하에 수행되었다.

난소적출 및 투여

7주령 암컷 랫드를 2, 2, 2-Tribromo- ethanol(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과 2- methyl-2-butanol(Sigma)을 혼합한 avertin stock solution를 PBS로 125mg/kg되게 희석한 주사액을 복강 주사 하여 전신마취 후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좌우 난소위치의 피부, 근육, 복막을 절개한 후 5호 실크 봉합사로 난소를 결 찰 한 후 난소를 적출(ovariectomized; OVX)하고 복막과 근육, 피부를 각각 5호 실크 봉합사로 봉합한 후 5주간 골다 공증을 유발시켰다. 수술 후 1주간 매일 diclofenac sodium (Sigma) 5mg/kg/day를 경구 투여하고 포비돈을 이용하여 수술 부위를 소독하였다. 군분리는 일반증상 및 체중증가에 이상이 없는 동물 중에서 난소적출 후 5주간의 회복기간 종료일에 실시하였다. 5주째 1주간의 성주기검사 결과 Sham (복막만 절개)군은 정상적인 발정주기(estrous cyclicity)를 보이는 동물을 선발하였으며, OVX군은 정상적인 발정주기를 보이지 않는 동물을 선발하였다. 또한, 군분리 전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에스라디올(estradiol), 알칼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칼슘 측정치 및 군분리일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암컷 각 25마리를 선발하였다(data not shown). 선발한 동물을 각 군에 효소면역측정, 혈액생화학적 측정치 및 평균체중이 균등하도록 무작위로 군분리하 였다. RLX 투여용량은 Black 등24)의 결과에 근거하여 1mg/kg/day로 설정하였으며, 향심은 예비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200mg/kg/day 설정하고 최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비 10를 적용하여 20 mg/kg/day을 저용량으로 설정하였다. 군 구성은 Sham+칼슘20mg/kg/day(calcium lactate; Sigma), OVX+칼슘, OVX+칼슘+RLX 1mg/kg/day, OVX+칼슘+향심 20 및 200mg/kg/day 투여군으로 하였다. 투여액량은 5mL/kg으로 하고, 개체별 투여액량은 최근의 측정체중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용 존데를 부착한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12주간 1일 1회 위내에 강제 투여하였다.

효소면역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약 18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마취하여 복대정맥으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혈청분리 튜브(BD, Franklin Lakes, NJ, USA)에 넣고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취하여 이용하였다. 혈청에 대한 효소면역측정은 osteocalcin(Shanghai Yehua Biological Technology, Shanghai, China), progesterone(Enzo Life Sciences, Farmingdale, NY, USA) 및 interleukin-6 (Abcam, Cambridge, UK)에 대하여 각 회사에서 제공한 측정방법에 따라서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간 및 신장 조직을 취하여 각 조직 100mg당 1mL의 PBS buffer를 가하여 4oC 온도 이하에서 homogenizer로 분쇄하고, 이때 얻은 균질액을 6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이용하였다. 조직액에 대한 효소면역측정은 malondialdehyde (Shanghai Yehua Biological Technology, Shanghai, China) 및 superoxide dismutase(Cusabio Life Sciences, Hubei, China)에 대하여 각 회사에서 제공한 측정방법에 따라서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는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pro, TECAN, Grödig, Austria)를 이용하여 각 회사에서 제공한 조건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장기중량 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자궁(uterus) 및 대퇴골(femur, Lt)에 대한 습중량을 측정하고, 절식체중에 대한 상대장기중량비를 산출하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부검을 실시한 모든 동물에 대하여 대퇴골을 적출하여 10% 중성완충 포르말린용액(Sigma)에 2주간 고정하고, 골조직을 calci-clear-rapidTM액(National diagnostics, Hackensack, NJ, USA)을 사용하여 탈회하였다. 탈회한 골조직은 삭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 등의 일반적인 조직처리과정을 거쳐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박절한 후, hematoxylin-eosin(Sigma)염색을 실시하였다. 잔여 골조직은 10% 중성완충 포르말린용액에 보존하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검체 제작된 모든 동물의 대퇴골조직에 대하여 검경 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 프로그램인 PASW statistics 18(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각 실험결과들로부터 ANOVA (analysis of variance)를 적용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을 경우, Scheffe’s multiple test(체중; P<0.05) 또는 Duncan’s multiple test(효소면역측정, 장기중량 및 조직병리; P<0.05) 를 이용하여 각 군의 평균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효소면역 측정

혈청 중 효소면역측정에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나, 향심 200 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Fig. 1A). 인터루킨-6(IL-6)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향심 200 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Fig. 1B).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RLX 1 mg/kg 및 향심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가 관찰되었다(Fig. 1C). 조직액 중 효소면역측정 검사에서 신장 조직의 지질과산화물(malondialdehyde)은 Sham 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RLX 1 mg/kg은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향심 20 및 200 mg/kg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가 관찰되었다(Fig. 1D). 간장 조직의 과산화물제거효소 (superoxide dismutase)는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향심 200 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Fig. 1E).

HKSOBF_2020_v51n4_332_f0001.png 이미지

Fig. 1. Enzyme immunoassay in ovariectomized rats.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five ovariectomized (OVX) rats. RLX: Raloxifene, LE: Lentinula edodes, test material (mg/kg/da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장기중량 측정

절대 장기중량에서 대퇴골 중량이 Sham 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자궁 중량이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투여군에서 증가가 관찰되었다. 상대 장기중량에서 대퇴골 중량이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및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자궁 중량이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투여군에서 증가가 관찰되었다(Table I).

Table I. Absolute and relative organ weights in ovariectomized rats

HKSOBF_2020_v51n4_332_t0001.png 이미지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five ovariectomized (OVX) rats. RLX: Raloxifene, LE: Lentinula edodes, test material (mg/kg/day). a-b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NSNon-significant.

조직병리학적 검사

대퇴골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의 관찰된 해면골 감소(reduction of trabecular bone)가 Sham군에 비하여 OVX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RLX 1mg/kg 및 향심 200mg/kg에서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해면골 감소가 관찰되었다(Fig. 2, Table II).

HKSOBF_2020_v51n4_332_f0002.png 이미지

Fig. 2.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femur in ovariectomized rats. OVX: Ovariectomy, RLX: Raloxifene, LE: Lentinula edodes, test material (mg/kg/day). Representative photomicrograph of H&E stained trabecular bone. Scale bars, 200μm.

Table II.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femur in ovariectomized rats

HKSOBF_2020_v51n4_332_t0002.png 이미지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five ovariectomized (OVX) rats. RLX: Raloxifene, LE: Lentinula edodes, test material (mg/kg/day). Grade 0: No abnormalities detected, Grade 1: Minimal, Grade 2: mild, Grade 3: Moderate, Grade 4: Severe. a-c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고찰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사회에서 주의해야 할 질환 중 하나가 골다공증이다. 뼈는 일생 동안 재형성을 반복하며 1년마다 10%의 뼈가 교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골다공증은 폐경 여성에서 폐경 후 급격한 골 소실로 인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골소실은 피질골이 많은 장골보다는 척추, 골반, 손목 말단 부위 등 해면골이 많은 뼈에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폐경초기에는 급격한 골소실이 나타나고 폐경 후 4-8년이 지나고 나면 폐경 초기에 비하여 보다 완만하고 지속적인 골소실이 일어나는데, 이 단계에서 골소실은 고령 남성에서 보이는 골소실과 유사한 양상으로 진행된다.26)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치료제는 장기 투여 시 턱뼈 괴사, 27) 대퇴골의 비정형 골절과도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28) 그러나 향심에 함유된 비타민 D는 골격 성장 및 칼슘 항상성 유지와 영양 불균형 시 나타날 수 있는 암, 염증 관련 질병, 심혈관계 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9)또한, 향심에 들어있는 β-glucan은 강한 항종양활성과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어 항암주사약제로 이용되고 있다.30)

향심과 파골세포 및 골다공증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향심 물추출 분획물이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31)향심와 함께 칼슘 및 비타민 D2 보충은 골다공증 유사한 증상을 개선한다고 보고되었으나, 32) 에탄올추출물이 아닌 물분획물을 사용하였으며, 1형 골다공증 모델이 아닌 단순히 4주령 동물을 이용하여 저칼슘 및 비타민 결핍식 이 모델에서 실험한 연구결과였다. 그래서 비타민 D 및 생리활성이 물추출물보다 높은 향심 주정추출물에 대한 여성 갱년기 및 골다공증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향심에는 식물성 식품에 존재하는 비타민 D2(ergocalciferol)가 있으며 함량은 76.12±2.53 μg/g 보고되었다.33)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은 황체와 자궁에서 생산, 분비되는 임신지속 호르몬으로, 임신 지속을 위해서 필수적인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34) 난소절제에 의해 유발된 골다공증은 프로게스테론 투여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고 하였다.35) 인터루킨-6 혈중 농도는 폐경 후 골소실의 예측 표지자로, 파골세포가 유래되는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progenitor)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한다.36)오스테오칼신 (osteocalcin)은 뼈에 매우 특이한 단백질로써 조골세포의 활동성을 평가하는 골 형성 정도를 반영하는 가장 좋은 단일 지표로, 37) 폐경기 여성은 골 교체율이 증가하여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8)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 증가는 젊은 연령층에서는 골 형성의 증가를 의미하는 긍정적인 면으로 해석되지만 폐경 후에는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골 교체율의 증가를 의미한다.39)

혈청의 프로게스테론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고, 인터루킨-6는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향심 200mg/kg 투여군에 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고, 오스테오칼신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어 향심이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퇴행성 질환의 주요 원인 중 세포의 산화적 손상은 신체내의 유산소적인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해 발생한다.40) 지질과산화 반응은 생체 조직막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유리기에 의해 산화적 분해를 일으키는 지표로 지질과산화물(malondialdehyde)을 확인하였으며 이의 증가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를 나타낸다.41)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활성 증가는 free radical 생성을 감소시켜 세포막의 다가불포화지방산으로부터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2)

신장 조직의 지질과산화물은 Sham군에 비하여 OVX 대 조군에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향심 20 및 200mg/kg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간장조직액의 과산화물제거효소는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난소절제 대사성 모델에서 향심 투여에 의한 지질과산화물의 감소 및 과산화물제거효소 활성의 증가시킨 결과는 신장 및 간장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으로 기대된다.

난소적출 모델에서 골감소는 대부분 해면골에서 일어나 골다공증이 발생한다고 하였다.43) 대퇴골 중량이 Sham군에 비하여 OVX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및 향심 200mg/ kg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대퇴골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의 해면골 감소(reduction of trabecular bone)가 Sham군에 비하여 OVX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나,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kg 및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감소가 관찰되어 향심이 해면골 감소를 억제시켜 골다공증을 어느 정도 개선 및 예방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연구는 골다공증 시험에 암컷 랫드의 난소를 적출하여 폐경을 유도한 후 향심 주정 추출물을 12주간 경구 투여하여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혈청 검사에서 progesterone은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고, interleukin- 6 및 osteocalcin은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OVX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어 향심이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신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은 OVX 대조군에 비하여 향심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경향이 관찰되었으며, 간장조직액의 과산화물제거효소 는 OVX 대조군에 비하여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어 향심은 지질과산화물의 감소 및 과산화물제거효소 활성의 증가시키며, 신장 및 간장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것으로 기대된다. 대퇴골 중량이 OVX 대조군에 비하여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증가가 관찰되고, 대퇴골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의 해면골 감소가 OVX 대조군에 비하여 RLX 1mg/ kg 및 향심 200mg/kg 투여군에서 감소가 관찰되어 향심이 해면골 감소를 억제시켜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는 난소적출 후에 일어나는 골격 대사의 이상에 향심이 골다공증 개선 관련 호르몬 변화, 면역기능 활성화, 골 교체율 억제, 항산화 신장 및 간장 기능회복, 대퇴골 중량 개선 및 해면골 감소 억제 등 유익하게 나타남으로써 임상상 폐경기에 나타나는 골다공증을 어느 정도 예방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폐경 후 여성의 골대사에 유익한 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사사

본 연구는 한의약의 과학화, 한의약 육성 및 산업진흥을 통해 국민의 건강한 삶과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국한의약진흥원의 한약재기반구축사업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Kanis, J. A.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synopsis of a WHO report. WHO Study Group Osteoporos. Int. 4: 368-381. https://doi.org/10.1007/BF01622200
  2. Archer D. F., Sturdee, D. W., Baber, R., Villiers, T. J. de., Pines, A., Freedman, R. R., Gompel, A., Hickey, M., Hunter, M. S., Lobo, R. A., Lumsden, M. A., MacLennan, A. H., Maki, P., Palacios, S., Shah, D., Villaseca P. and Warren, M. (2011) Menopausal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where are we now?. Climacteric. 14: 515-528. https://doi.org/10.3109/13697137.2011.608596
  3. Body, J. J. (2002) Calcitonin for the long-term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one 30: 75-79. https://doi.org/10.1016/S8756-3282(02)00715-9
  4. Ross, R. K., Paganini-Hill, A., Wan, P. C. and Pike, M. C. (2000)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breast cancer risk: estrogen versus estrogen plus progestin. J. Natl. Cancer Inst. 92: 328-332. https://doi.org/10.1093/jnci/92.4.328
  5. Ziel H. K. (1982) Estrogen's role in endometrial cancer. Obstet. Gynecol. 60: 509-515.
  6. Nelson, H. D., Humphrey L. L., Nygren, P., Teutsch, S. M. and Allan, J. D. (2002)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scientific review. JAMA. 288: 872-881. https://doi.org/10.1001/jama.288.7.872
  7. Kang, M. J., Cho, J. Y., Shim, B. H., Kim, D. K. and Lee, J. H. (2009) Bioavailability enhancing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J. Med. Plant. Res. 13: 1204-1211.
  8. Shiomi, S., Masaki, K., Habu, D. and Takeda1, T., Nishiguchi1, S., Kuroki1, T. and Ochi, H. (1999) Calcitriol for bone loss in patients with primary biliary cirrhosis. J. Gastroenterol. 34: 241-245. https://doi.org/10.1007/s005350050250
  9. Chung, Y. S., Yoo, B. W., Oh, J. E., Lee, D. C., Lee, H. S. and Cho, C. 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chronic diseases. Korean J. Clin. Geri. 11: 154-169.
  10. De-Jong, A., Plat, J. and Mensink. R. P. (2003) Metabolic effects of plant sterols and stanols. J. Nutr. Biochem. 14: 362-369. https://doi.org/10.1016/S0955-2863(03)00002-0
  11. Lagarda, M. J., Garcia-Llatas, G. and Farre, R. (2006) Analysis of phytosterols in foods. J. Pharm. Biomed. Anal. 41: 1486-1496. https://doi.org/10.1016/j.jpba.2006.02.052
  12. Bak, W. C., Yoon, G. H., Ka, K. H., Park, H. and Lee, B. H. (2006) Shiitake Cultivation and Pest Control Techniques (Research Report 258), pp. 196.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13. Lee. K. W., Jeon, J. O., Kim, M. J., Kim, I. J., Jang, M. J. and Park, H. S. (2018) Effects of difference in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Lentinula edodes. J. Mushroom 16: 267-271. https://doi.org/10.14480/JM.2018.16.4.267
  14. Hong, J. S., Lee, K. R., Kim, Y. H., Kim, D. H., Kim, M. K., Kim, Y. S. and Yeo, K. Y. (198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606-615.
  15. Lee, J. S. (2007) Effect of UV-B irradiation on vitamin D2 contents, color value and flavor pattern in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9-106.
  16. Manzi, P. and Pizzoferrato, L. (2000) Beta-glucans in edible mushrooms. Food Chem. 68: 315-318. https://doi.org/10.1016/S0308-8146(99)00197-1
  17. Oba, K., Kobayashi, M., Matsui, T., Kodera, Y. and Sakamoto, J. (2009) Individual patient based meta-analysis of lentinan for unresectable/recurrent gastric cancer. Anticancer Res. 29: 2739-2745.
  18. Rop, O., Mlcek, J. and Jurikova, T. (2009) Beta-glucans in higher fungi and their health effects. Nutr. Rev. 67: 624-631. https://doi.org/10.1111/j.1753-4887.2009.00230.x
  19. Melhus, H., Miichaelsson, K., Holmberg, L., Wolk, A. and Ljunghall, S. (1999) Smoking, antioxidant, vitamins, and the risk of hip fracture. J. Bone Miner. Res. 14: 129-135. https://doi.org/10.1359/jbmr.1999.14.1.129
  20. Ershier, W. B., Harman, S. M. and Keller, E. T. (1997) Immunologic aspects of osteoporosis. Dev. Comp. Immunol. 21: 487-499. https://doi.org/10.1016/S0145-305X(97)00029-3
  21. Sanders, J., Tarjan, G., Foster, S. A. and Stern, P. H. (1998) Alendronate/ interleukin-1b cotreatment increases interleukin-6 in bone and UMR-106 cells: Dose dependence and relationship to the antiresoptive effect of alendronate. J. Bone Miner. Res. 13: 786-792. https://doi.org/10.1359/jbmr.1998.13.5.786
  22. Scheidt-Nave, C., Bismar, H., Leidig-Bruckner, G., Woitge, H., Seibel, M. J., Ziegler, R. and Pfeilschifter, J. (2001) Serum interleukin 6 is a major predictor of bone loss in women specific to the first decade past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86: 2032-2042. https://doi.org/10.1210/jc.86.5.2032
  23. Akesson, K., Lau, K. H. W. and Baylink, D. J. (1997) Rationale for active vitamin D analog therapy in senile osteoporosis. Calcif. Tissue Int. 60: 100-105. https://doi.org/10.1007/s002239900195
  24. Black, L. J., Sato, M., Rowley, E. R., Magee, D. E., Bekele, A., Williams, D. C., Cullinan, G. J., Bendele, R., Kauffman, R. F., Bensch, W. R., Frolik, C. A., Termine, J. D. and Bryant, H. U. (1994) Raloxifene (LY139481 HCI) prevents bone loss and reduces serum cholesterol without causing uterine hypertrophy in ovariectomized rats. J. Clin. Invest. 93: 63-69. https://doi.org/10.1172/JCI116985
  25. Watts, N. B. (1999) Clinical utility of biochemical markers of bone remodeling. Clin. Chem. 45: 1359-1368. https://doi.org/10.1093/clinchem/45.8.1359
  26. Riggs, B. L., Khosla, S. and Melton, L. J. (2002) Sex steroids and the construction and conservation of the adult skeleton. Endocr. Rev. 23: 279-302. https://doi.org/10.1210/edrv.23.3.0465
  27. Abrahamsen, B. (2010) Bisphosphonate adverse effects, lessons from large databases. Curr. Opin. Rheumatol. 22: 404-409. https://doi.org/10.1097/BOR.0b013e32833ad677
  28. Shane E., Burr, D., Abrahamsen, B., Adler, R. A., Brown, T. D., Cheung, A. M., Cosman, F., Curtis, J. R., Dell, R., Dempster, D. W., Ebeling, P. R., Einhorn, T. A., Genant, H. K., Geusens, P., Klaushofer, K., Lane, J. M., McKiernan, F., McKinney, R., Ng, A., Nieves, J., O'Keefe, R., Papapoulos, S., Howe, T. S., Meulen, M. C., Weinstein, R. S. and Whyte, M. P. (2010) Atypical subtrochanteric and diaphyseal femoral fractures: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J. Bone Miner. Res. 25: 2267-2294. https://doi.org/10.1002/jbmr.253
  29. Jung, I. K., Han, G. J., Choe, J. S. and Lee, J. W.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nutrient database by portion commonly used. Rural Life Sci. 24: 175-193.
  30. Choi, S. J., Lee, Y. S., Kim, J. K., Kim, J. K. and Lim, S. 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https://doi.org/10.3746/jkfn.2010.39.8.1087
  31. Lee, H. R., Lee, K. B., Lee, S. H., Lee, J. S., Jeong, W. T., Lim, H. B., Hyun, T. K., Yi, S. J. and Kim, K. H. (2020) Ethyl acetate fraction of aqueous extract of Lentinula edodes inhibits osteoclastogenesis by suppressing NFATc1 expression. Int. J. Mol. Sci. 21: 1347. https://doi.org/10.3390/ijms21041347
  32. Lee, G. S., Byun, H. S., Yoon, K. H., Lee, J. S., Choi, K. C. and Jeung, E. B. (2009) Dietary calcium and vitamin D2 supplementation with enhanced Lentinula edodes improves osteoporosis-like symptoms and induces duodenal and renal active calcium transport gene expression in mice. Eur. J. Nutr. 48: 75-83. https://doi.org/10.1007/s00394-008-0763-2
  33. Pyo, J. S., Gu, J. Y., Kim, T. H., Lee, J. J., Hwang, M. S., Kang, J. S. and Kim, K. M. (2020) A study on increased content of vitamin D in different types of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9: 311-315. https://doi.org/10.3746/jkfn.2020.49.3.311
  34. McDonald, L. E. and Pineda, M. H. (1989) Veterinary endocrinology and reproduction, 303-354, Lea and Febiger Philadelphia, PA, USA.
  35. Heersche, J. N. M., Bellows, C. G. and Ishida, Y. (1998) The decrease in bone mass associated with aging and menopause. J. Prosthet. Dent. 79: 14-16. https://doi.org/10.1016/S0022-3913(98)70187-8
  36. Ershier, W. B., Harman, S. M. and Keller, E. T. (1997) Immunologic aspects of osteoporosis. Dev. Comp. Immunol. 21: 487-499. https://doi.org/10.1016/S0145-305X(97)00029-3
  37. Johnell, O., Oden, A, Delaet, C., Garnero, P., Delmas, P. D. and Kanis, J. A. (2002) Biochemical indices of bone turnover and the assessment of fracture probability. Osteoporos. Int. 13: 523-526. https://doi.org/10.1007/s001980200068
  38. Kim, S. J. (2003)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cause factor and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marker.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28-29.
  39. Liu, G. and Peacock, M. (1998) Age-ralated changes in serum undercarboxylated osteocalcin and its relationships with bone density, bine quality, and hip fracture. Calcif. Tissue Int. 62: 286-289. https://doi.org/10.1007/s002239900432
  40. Lee, O. H. (2004)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Korean J. Nutr. 37: 872-880.
  41. Thurman, R. G., Bradford, B. U., Limuro, Y., Keecht, K. T., Connor, H. D., Adachi, Y., Wall, C., Arteel, G. E., Releigh, J. A., Forman, D. T. and Mason, R. P. (1977) Role of kupffer cells, endotoxin and free radicals in hepatotoxicity due to prolonged alcohol consumption: studies in female and male rats. J. Nutr. 127: 903S-906S. https://doi.org/10.1093/jn/127.5.903S
  42. Morel, D. W. and Chisolm, G. M. (1989) Antioxidant treatment of diabetic rats inhibits lipoprotein oxidation and cytotoxicity. J. Lipid Res. 30: 1827-1834. https://doi.org/10.1016/S0022-2275(20)38196-7
  43. Kimmel, D. B. (1996) Animal models for in vivo experimentation in osteoporosis research, 671-690, Osteoporosis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