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ddhist Images in Myeongbujeon at Magoksa Temple in Gongju

공주 마곡사 명부전 불상 연구

  • Choi, Sun-il (Cultural Heritage Appraisal Committe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Received : 2020.09.09
  • Accepted : 2020.11.18
  • Published : 2020.12.20

Abstract

Using stylistic analysis and historical docu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details of image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the Underworld) at Magoksa Temple in Gongju, focusing o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he stone Ten Kings of Hell. Inside Myeongbujeo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placed at the center, flanked by standing images of Mudokgwiwang and Domyeong-jonja, with images of the Ten Kings and their attendants along the walls. All of these images were transferred to Magoksa Te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came from Jeonghyesa Temple in Cheongyang, the other sculptures came from Sinheungsa Temple in Imsil, and a painting of the Ten Kings came from Jeongtosa Temple in Nonsa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1677, around the same time as the stone sculptures of the Ten Kings. A close analysis of the details of the bodhisattva sculpture-including the facial features, body proportions, and drapery characteristics-strongly suggests that it was produced in the 1620s or 1630s by the monk sculptor Suyeon (who was active in the early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or his disciples. In particular, the rendering of the drapery on the lower half of the body closely resembles Buddhist sculptures produced by Suyeon that are now enshrined at Bongseosa Temple in Seocheon (produced in 1619) and at Sungnimsa Temple in Iksan (produced at Bocheonsa Temple in Okgu in 1634).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stone sculptures of the Ten Kings and their attendants were produced in 1677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onk sculptor Seongil. However, these are the only known Buddhist images produced under Seongil, and no details about other monks involved in the production have ever been found, making it difficult to speculate about their lineage. Historical records do suggest that Seongil worked on other projects to produce or repair sculptures with disciples of the monk sculptors Hyehi or Unhye, indicating amicable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Unlike most such images in the Honam or Yeongseo regions, the Ten Kings at Magoksa Temple are made from stone, rather than wood or clay. Also, the overall form and the drapery conform to statues of the Ten Kings that were popularly produced in the Yeongnam region. Thus, the images are believed to be the work of monks who were primarily active in Yeongnam, rather than Honam. In the future,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mages and stone Ten Kings of Hell images produced in the Chungnam region could illuminate more details about the production of the images at Magoksa Temple, and perhaps shed light on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production of stone Buddhist sculptures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본 논문은 공주 마곡사 명부전에 봉안된 불상에 관한 문헌 검토와 양식적인 접근을 통하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석조시왕상의 제작 시기 및 조각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명부전 내에는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석조무독귀왕과 도명존자가 서 있고, 벽면을 따라 시왕상 및 권속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 불상들은 1930년대 후반에 목조지장보살좌상은 청양 정혜사에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및 시왕상 등은 임실 신흥사에서, 시왕도는 논산 정토사에서 옮겨온 것이다. 이제까지 마곡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은 석조시왕상 조성 시기인 1677년에 함께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 신체 비례, 착의법 등을 살펴보면,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수연(守衍)이나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1620~30년대 만든 불상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하반신을 덮은 대의자락의 두 번째 주름이 수직으로 늘어지고 끝자락이 하트 모양으로 마무리된 점과 그 옷주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낮게 펼쳐진 옷주름 처리 방식은 수연이 제작한 서천 봉서사불상(1619년)이나 익산 숭림사 불상(1634년, 옥구 보천사 조성)과 유사하다. 석조시왕상과 권속 등은 1677년에 조각승 성일(性日)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것을 조성발원문을 통해 알 수 있지만, 성일이 수화승으로 만든 유일한 불상이고, 같이 제작에 참여한 작가들의 활동을 정확히 알 수 없어 새로운 자료가 공개되어야 구체적인 조각승의 계보가 밝혀질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성일이 불상 제작과 중수에 참여한 활동을 살펴보면, 혜희(慧熙) 계보 또는 운혜(雲惠)(운혜(雲慧))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과 함께 공동 작업을 하여 두 조각승 집단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곡사 시왕상은 호남이나 영서 지역에서 주로 제작되는 흙이나 나무가 아니라 돌로 제작되었으며, 영남에서 유행한 시왕상의 형태나 착의법 등과 유사하여 호남보다 영남에서 주로 활동한 조각승들의 작품으로 보인다. 앞으로 충남 지역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석조시왕상의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성 시기와 작가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에 대한 분석이 진행된다면, 17세기 후반 영남 지역 석조불상과의 비교를 통해 호남에서 제작된 석조불상을 주도적으로 만든 조각승과 활동 내용이 밝혀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마곡사 재산대장(조선총독부 관보 1932년 11월 10일)
  2. 泰華山麻谷寺事蹟立案
  3. 忠淸南道公州郡泰華山麻谷寺冥府殿創建記
  4. 공주대학교 박물관 편, 공주의 역사와 문화, 공주: 공주대학교 박물관, 1995.
  5. 국립중앙박물관, 꽃으로 전하는 가르침 - 보물 제1260호 공주 마곡사 괘불, 서울: 주자소, 2019.
  6. 국립공주박물관,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서울: 그라픽네트, 2012.
  7. 문화재청,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대광보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상), 대전: 문화재청, 2012.
  8.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마곡사 실측조사보고서, 과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9.
  9. 마곡사지 집필위원회, 공주시.마곡사.(재)한얼문화유산연구원, 泰華山 麻谷寺, 대전: KDO한국문화기획, 2012.
  10. 문화재청.문화유산발굴조사단, 한국의 사찰문화재 충청남도.대전광역시, 서울: 2004.
  11. 고경 감수/ 송천 등 편저, 韓國의 佛畫畫記集, 서울: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12. 공주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 공주의 맥, 공주문화원, 1992.
  13. 김형우 등, 전통사찰총서 12-대전·충남의 전통사찰 I, 서울: 사찰문화연구원, 1999.
  14. 문명대 외, 조선시대기록문화재 자료집 I, 서울: (사)한국미술사연구소 출판부, 2009.
  15. 안귀숙.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 서울: 양사재, 2008.
  16. 지수걸, 한국의 근대와 공주사람들, 공주: 공주문화원, 1999.
  17. 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 서울: 양사재, 2007.
  18.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2011.
  19.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 열전, 파주: 양사재, 2018.
  20. 최선일,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 선집 I, 파주: 양사재, 2018.
  21. 최선일, 조선후기 불교조각 발원문 선집 II, 파주: 양사재, 2018.
  22. 한상길.홍대한, 태화산 마곡사, 서울: 활불교문화단, 2012.
  23. 박언곤, 마곡사의 가람 배경, 마곡사실측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9.
  24. 송은석,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 운혜와 경림, 미술사와 시각문화 9, 2010.
  25. 송자민, 운혜 작 해남 서동사 목조삼세불좌상 연구, 강좌 미술사 46, 2016.
  26. 조태건, 17세기 후반 조각승 승호 작 시왕상 연구, 불교미술사학12, 2011.
  27. 최선일,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운혜, 불교미술사학 2, 2004.
  28.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양식의 변천, 미술사학연구 261, 2009.
  29. 최선일, 17세기 후반 조각승 승호의 호라동과 불상 연구, 선문화연구 8, 2010.
  30. 최선일, 배천 강서사 조성 지장보살과 조각승 영철, 선문화연구 13, 2012.
  31. 최선일, 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守衍, 인천학연구 18, 2013.
  32. 최선일.조태건, 고성 옥천사 명부전 불상과 조각승, 선학원연구 21, 2019.
  33. 허형욱, 기록과 함께 보는 마곡사의 불교조각, 꽃으로 전하는 가르침 - 보물 제1260호 공주 마곡사 괘불, 2019.
  3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문서(http://www.museum.go.kr/modern-history/main.do).
  35. 디지털공주문화재전(http://gongju.grandculture.net).
  36. 마곡사 홈페이지(http://www.magoksa.or.kr).
  37. 조선총독부관보 활용시스템(http://gb.n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