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 후기

Search Result 61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 Evaluation on the Old Literatures in the Late Yi Dynasty - Focusing on the Literatures of the Political Arguments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 and King Kyeungjong - (조선후기 고문헌 평가를 위한 연구 -숙종ㆍ경종 양조의 당쟁관계문헌을 중심으로-)

  • 최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5.08a
    • /
    • pp.153-156
    • /
    • 1995
  • 본 연구는 조선후기문헌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당쟁관계문헌의 1차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한국학 분야의 주제전문사서에게 조선후기자료에 대한 평가와 이용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함이 목적이다. 역사적 사건별로 동일사건에 대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문헌의 서술태도와 관점을 분석한 결과, 각 문헌이 저자의 소속당파에 따라 편파적으로 기술됐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조선후기의 당쟁관계문헌은 도서의 일반적인 평가기준에 선행해 저자의 당파적성향고찰을 1차적인 평가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 PDF

표지 인터뷰-"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펴낸 정옥자 교수

  • Lee, Hyeon-J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9
    • /
    • pp.2-3
    • /
    • 1998
  • 오직 조선후기 문화연구에만 매달려온 정옥자 교수의 이번 저서는 '조선중화'를 화두로 삼는다. 우리 민족의 독창성을 확인시켜주는 사상사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정교수의 연구는 국가 양란을 극복하고 조선 고유의 문예부흥을 이끌어낸 정신의 힘이 '조선중화'에 있었음을 밝혀내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Early Modern Era in Korea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 Won, Suk-Kyoung;Yoon, Young-Ta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59
    • /
    • pp.92-115
    • /
    • 2012
  • The author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based on three dimensions: historical, ideological, and analytical.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was a lively communicative sphere where the common people, who resisted the premodern ideas and foreign power, tried to overcome the oppressing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lthough the counter public sphere did not continue to grow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it provided a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deological ground for the democratic movement today.

  • PDF

Fertility,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18th and 19th Century Korea: Evidence from Genealogies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sim$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 Cha, Myung-So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1
    • /
    • pp.113-137
    • /
    • 2009
  • This article uses genealogical information to estimate fertility, morta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Korea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Upper class males' probability of dying as estimated from genealogies was converted into that for the whole male population drawing upon information on colonial mortality and model life tables, which indicated male life expectancy at birth was 23 years. Age-specific marital fertility rates for upper class females as calculated from genealogies were combined with estimates of age at first marriage and information on colonial fertility to derive age-specific fertility rate for the whole female population, which implied a total fertility rate of 6.81. Finally, the estimated indices of mortality and fertility were inserted into equations describing stable populations to find that the Korean population grew 0.62% p.a.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조선후기 천통책표지 문양 능화판 12책 출품

  • Kim, Sang-Ho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11
    • /
    • pp.112-113
    • /
    • 2011
  •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했던가, 고활자 특별전문가 각자 장인 이창석씨의 아들인 이운천씨가 제36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운천씨는 조선후기 능화판을 출품, 문화재청장상을 수상하여 첫 출품의 첫 수상으로, 그것도 본상에 드는 영예를 안았다. 그가 출품한 작품은 조선시대에 많이 사용한 길상화문판 등 12가지 문양을 선별하여 조각한 것이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굶어 죽었다"는 조선조 후기 수학자, 천문학자 김영(1721~1803년)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6 s.397
    • /
    • pp.40-42
    • /
    • 2002
  • '굶어서 죽었다'는 기록을 남긴 조선조 후기의 수학자이며 천문학자인 김영은 조선시대의 천문학사로 보는 "국조역상고"와 "신법중성기", "신법누주통의"등 천문학 책을 남겼다. 또 그는 손재주가 비상하여 적도경위의와 지평일구 등 천문기구도 제작한 과학자이다.

  • PDF

교서관의 서적인쇄에 대한 소고 - 정조조를 중심으로

  • 현영아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1
    • /
    • pp.241-257
    • /
    • 1984
  • 우리나라의 인쇄문화를 꽃피웠던 조선조에 있어서 교서관은 전기 및 후기 즉 전대를 통하여 서적의 인출을 관장하던 기관으로 조선조 문화창달의 산실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어서 인출된 서적에 관한 연구는 즉 조선조의 관판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서 이를 통해 당시의 시대 사상 및 문화의 특징을 알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서관 자체의 변천 과정 및 그 기능과 함께 조선왕조 후기에 있어서 가장 문운이 진작되었던 정조조을 중심으로 당시 교서관을 통해 간행되었던 서적들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PDF

최완수 외 지음 "진경시대"

  • Kim, Ji-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4
    • /
    • pp.15-15
    • /
    • 1998
  • 조선 특유의 문화를 꽃피운 황금기, '진경시대'를 집중탐구한 이 책은 조선시대를 당쟁으로 얼룩진 역사로만 알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조선 후기의 사상적 바탕인 조선성리학과 그것을 뿌리 삼아 가꾸어낸 조선 고유의 진경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