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arden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eochulji Pond Area in Gyeongju during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조선 중기 경주 서출지(書出池) 일원의 정원 조영과 경관 특성

  • Kim, Hyung-suk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Research Institute for Spiritual Environments)
  • 김형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심우경 (세계상상환경학회)
  • Received : 2018.11.19
  • Accepted : 2019.05.13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Gyeongju Seochulji Pond (world heritage, historic site No. 138), a historic pond in Sam-guk-yu-sa (三國遺事), and its landscaping period when it served as the garden of the Pungcheon Lim clan (豊川 任氏)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or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f poetry, prose, and a personal anthology, and a field survey were conducted. Changes in the landscape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landscape appearing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period with past photograp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he function and landscape at that time cannot be guessed as the objective ground from Silla to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dynasty is insufficient, it has been managed as a Byeolseo (別墅) garden as Pungcheon Lim's family resided in the area of Eastern-Namsan Mount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Seochulji Pond was recognized as a historic place. It functioned as the garden of Pungcheon Lim's family as Lim Jeok (任勣, 1612~1672) built the Yiyodang pavilion (二樂堂). Second, in the literature, the Yiyodang pavilion has been called Gaekdang (客堂), Jeongsa (精舍), Byeolgak (別閣) and Byeolseo, etc. It can be seen as Nu and Jeong (樓亭), utilized for various uses. Because of this, the name Bingheoru Pavilion (憑虛樓) has mostly been in common use. Third, Seochulji Pond was positioned where the scenery is beautiful, with Gyeongju Mt. Namsan (Mt. Geumo) in the background and with a wide field and the Namcheon River flowing in the front. This was typical of Byeolseo gardens of the Joseon dynasty, combining human environments with natural environments. Fourth, the relationship with the Byeolseo garden disappeared as the head of Pungcheon Lim's family added a temple, lotus flowers, pine trees, and a bamboo forest as described in the old poetry and prose. Currently, the landscape does not appear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s development has not occurred in the area of Seochulji Pond. Also,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which now symbolizes the Seochulji Pond, was not identified in the old poetry or past photographs and is not old enough to confirm whether it was prominent at the time.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patial meanings of the garden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not to highlight the area of Seochulji Pond as a place in the legend. This is a cultural asset in the area of Eastern-Namsan Mountain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garden history.

본 연구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등장하는 유서 깊은 연못인 경주 서출지(세계유산, 사적 제138호)가 조선 중기 풍천 임씨(豊川 任氏) 가문의 정원으로 기능하게 된 배경과 정원의 형성, 당시 경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문 시문 개인문집 등의 문헌조사와 현지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경관과 과거 사진 등을 비교하여 경관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라 이후 조선 초기까지는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해 당시의 기능과 경관에 대해 추측할 수 없지만 조선 중기 풍천 임씨가 동남산 일원에 세거하면서부터 별서정원으로 경영되었다. 당시에도 서출지를 유서 깊은 장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임적(任勣, 1612~1672)이 이요당(二樂堂)을 건립하면서부터 풍천 임씨의 정원으로 기능하였다. 둘째, 문헌 기록상 이요당은 객당 정사 별각 별서 등으로도 불렸는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 누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평소에 빙허루(憑虛樓)라는 명칭이 통용되었다. 셋째, 서출지는 뒤로는 경주 남산(금오산), 앞으로는 넓은 들판과 남천이 흐르는 풍경이 수려한 곳에 입지하였으며,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을 갖춘 전형적인 조선시대 별서정원이었다. 넷째, 현재 풍천 임씨 종가가 사찰로 변하여 별서정원과의 관계성은 사라졌지만 현재의 주요 경관 요소인 연꽃과 소나무 대나무 숲이 옛 시문에도 나타나며, 현재 서출지 일원은 개발이 거의 진행되지 않아 경관이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서출지를 상징하는 배롱나무는 옛 시문과 과거 사진에 확인되지 않고 수령이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배롱나무가 두드러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서출지 일원을 전설 속의 장소로만 부각할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 정원으로서 공간적 의미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경주 남산 일원의 문화 콘텐츠이자 조경사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東京雜記
  2. 牧齋集
  3. 二樂堂創建記
  4. 霽巖集
  5. 重修二樂堂記
  6. 淸臺日記
  7. 蒿廬集
  8. 花溪集
  9. 活山集
  10. 현종실록 1권, 현종 대왕 행장(行狀)
  11. 강은해, 1996, 사금갑 설화 연구 어문학 Vol.58, pp.1-24
  1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04, 경주 남산 정밀학술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pp.347-349
  13. 김기조 옮김, 2008, 조선총독부 발간 생활상태조사 (7) 국역 경주군, 경주문화원, p.306
  14. 김수진.정해준.심우경, 2006, 강진 백운동(白雲洞) 별서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입지와 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4 No.4, p.59
  15. 김영남, 2008, 新羅 炤知王代 射琴匣 事件의 歷史的 理解: 內殿焚修僧과 宮主의 問題를 中心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태식, 2003, 사금갑(射琴匣) 설화의 역사적 이해 민속학연구 Vol.12, pp.103-138
  17. 김형석, 2017, 사적 제138호 경주 서출지의 위치 비정 논란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신라문화유산연구 Vol.1, pp.176-193
  18. 나희라, 2010, 射琴匣 說話와 新羅의 王權儀禮 역사문화연구 Vol.37, pp.3-33
  19. 문경현 역주, 2015, 역주 삼국유사, 민속원, pp.164-165
  20. 이경희, 2005, 사금갑 설화 연구 - 제의적 의미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상필 역주, 2017, 慶州鄕賢錄 下, 경주시.경주향현록편찬위원회, p.2180, 2198
  22. 장창은, 2005, 新羅 炤知王代 對高句麗 關係와 政治變動 사학연구 Vol.78, pp.1-35
  23. 조수학, 1985, 사금갑 설화 연구 인문연구 Vol.7 No.2, pp.307-332
  24. 조철제, 1999, 경주의 院祠와 亭齋 (2) 경주문화논총 Vol.2, pp.246-296
  25. 조철제, 2003, 경주의 院祠와 亭齋 (6) 경주문화논총 Vol.6, p.107
  26. 최은주, 2009, 어느 울산부사를 통해 본 지방관 글쓰기의 실제 -청대 권상일 울산부사 시절을 중심으로- 영남학 Vol.16, p.172
  27. 황재현 역주, 1990, 국역 동경통지(東京通誌), 경주문화원, p.244
  2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http://www.museum.go.kr/dryplate/main.do
  29.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i.go.kr/kor/main/main.do?rbsIdx=1
  30. 네이버 지도 https://map.naver.com/
  31. 다음 지도 http://map.daum.net/
  3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W/main.html
  33. 한국 역대 인물 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index.a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