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py of Tripitaka Koreana at Otani University in Kyoto, Japan

일본 오타니대학(大谷大學)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 연구

  • Jeong, Eunwoo (Dep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Dong-A University) ;
  • Shin, Eunjae (Dept. of History, Dong-A University)
  • 정은우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신은제 (동아대학교 사학과)
  • Received : 2019.09.12
  • Accepted : 2019.11.07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At Otani University in Kyoto, Japan, there is a rubbed copy of Tripitaka Koreana, presumably printed in 1381. According to the postscript of the copy, written by Saek Lee himself, the rubbed copy was made at Haeinsa temple in 1381 and was kept at Sinluksa temple in Yeuju. The copy was delivered as a gift to Japan in 1414 and now is kept at the Library of Otani University. Although an approximate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copy was reported in the early 2000s after a basic survey, details of the copy, including the concrete format and packaging paper, are not known yet. In this paper a detailed survey of the copy is conducted on the 109 pages. The cop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wrapping and the inner pages. The wrapping paper is divided into yellow and brown color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paper. The yellow colorwrapping paper was possibly made in 1381 at the time of the rubbed printing, and the brown wrapping paper was repaired after being moved to Japan. Using funds collected in February 1380, the copy of Gyeong(經), Yul(律), and Ron(論) chapters was printed in April 1381. Binding of the copy was completed in September, and the wrapping paper with the title in gold was made in October 1380. The box for keeping Buddhist scriptures was manufactured in November 1380. The copy was moved to Sinluksa temple in April 1382 and delivered to Japan in 1414. At Otani University, the copy is stored in separate rectangular boxes 32.1×25.3cm in size with a height of 23.6cm. The rectangular plate on the four sides is red in external color but black colorinside. The box for keeping Buddhist scriptures was probably made in 1381, but a partial repair was made late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xecuting a detailed survey of the box for Buddhist scriptures, it is hard to find out its nation and period of production. We look forward to studying the copy as well as the box for Buddhist scriptures in future.

일본 교토(京都)의 오타니대학(大谷大學)에는 1381년 인경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대장경 인경본이 있다. 이색이 직접 쓴 발문(跋文)을 통해 이 인경본은 1381년 해인사에서 인경되어 여주 신륵사에 보관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신륵사에 보관되던 인경본은 1414년 일본에 사여되었고 현재 오타니대학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오타니대학 소장 인경본은 2000년대 초반 박상국의 기본조사를 통하여 목록이 작성되었고 기본적인 내용이 보고되었으나, 세부 형태와 포장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비록 109면의 제한된 수량이지만 인경본에 대한 세부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타니 인경본은 포장지와 내지로 구분된다. 포장지의 경우 재질에 따라 황색과 적갈색으로 구분되는데, 황색 포장지는 1381년 인경 당시 제작된 것으로 이해되며, 적갈색 포장지는 일본으로 이운된 이후 수리된 것으로 판단된다. 황색 포장지는 먼저 묵서로 권수의 끝 글자를 기재하고, 이어 금자로 경전명을 쓴 뒤 은으로 쌍곽을 만들어 마무리하였다. 적갈색 포장지의 경우, 일본에서 수리되었다는 가정 하에 추정해보면 금자로 쓴 부분이 온전했다면 금자를 절단하여 새 포장지 위에 붙여두었을 것이다. 금자가 없었다면 적갈색 포장지에 묵서로 글씨를 쓰거나 별도의 도장을 만들어 인쇄하였을 것이다. 내지는 표지와 속지로 구분되며 표지는 제첨을 만들어 붙였다. 속지는 3매의 종이를 절단하여 이접한 후에 인경한 경우가 다수 확인되는데, 이는 종이의 부족 때문이라기보다 다른 원인이 작용한 결과로 이해되나 현재로서는 정확한 이유를 예단하기 어렵다. '신륵사 대장각기'에 의하면, 오타니 인경본은 1380년 2월부터 기금을 모아 1381년 4월에 경·율·론 삼장을 인경하였고 9월 장정을 마쳤다. 10월에는 금자로 제목을 써 황색 포장지를 만들었으며 11월에는 함(函)을 제조하였다. 이듬해인 1382년 4월 신륵사 대장각으로 이안되었다가 1414년 신륵사에서 일본으로 이운되었다. 일본으로 이운된 이후 후코오우지(普光王寺)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그 후 1541년 오우치 요시타카(大內義隆)가 인경본을 구입하여 이쓰쿠시마 신사(嚴島神社)에 봉안하였다. 메이지유신 이후 히가시 혼간지(東本願寺)로 이운되었으며 1962년부터 오타니대학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오타니대학 인경본은 별도의 경함에 보관되어 있는데, 경함은 32.1×25.3cm 크기에 전체 높이 23.6cm로 장방형이다. 현재 경함 4면의 직사각형 판은 붉은색이지만 내면에 흑색이 보이며 내부는 붉은색 칠, 각 모서리는 다른 판으로 제작한 다음 검은색 칠로 마감하였다. 경함 역시 1381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언제인가 부분적인 보수가 이루어 졌을 가능성도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아대학교

본 연구는 2019년 2월 일본 오타니대학 소장 인경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는 해인사 중복판 보존처리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조사에 도움을 주신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특히 오타니대학 도서관 관계자 분들에게 각별한 고마움을 표한다. 본 연구는 동아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진행된 것임을 밝힌다.

References

  1. 高麗史
  2. 陶隱集
  3. 東文選
  4. 牧隱詩藁
  5. 新增東國輿地勝覽
  6. 太宗實錄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8. 법보종찰 해인사.불교문화재연구소, 2017,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보존.관리 프로그램 구축
  9. 법보종찰 해인사.불교문화재연구소, 2019, 해인사 대장경판 정밀.과학적 기록화를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10. 법보종찰 해인사.합천군, 2015a,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및 장경판전 보존관리 연구
  11. 법보종찰 해인사.합천군, 2015b,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중복판 조사용역사업 보고서
  12. 법보종찰 해인사.합천군, 2018,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중복판 보존처리 보존연구
  13. 삼성미술관 리움, 2015, 細密柯貴
  14. 남동신, 2013, 이색의 고려대장경 인출과 봉안 한국사연구 163
  15. 박상국, 1996, 대장도감과 고려대장경판 한국사 21, 국사편찬위원회
  16. 유부현 외, 2015, 고려 재조대장경과 동아시아의 대장경, 한국학중앙연구원
  17. 정은우.신은제, 2017, 고려의 성물, 불복장, 경인문화사
  18. 최영숙, 2001, 고려시대 나전칠기 연구 미술사연구 15호
  19. 최영숙, 2007, 용문사 윤장대 연구 미술사연구 21호
  20. 奈良國立博物館 편, 2009, 聖地寧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