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Program on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체험중심 생태환경 초등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10.02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on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62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33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29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the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ecological self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Second, we found that access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s important in all subjects, not in education that is biased toward. Third, in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methods are more meaningful than indirect experiences trapped in textbooks. Fourth,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well as the intellectual aspect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gram should be conducted with activities of experience.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2. 강정의, 김은정(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숲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자연환경감수성 및 배려적 사고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1), 231-255.
  3. 공수경(2019). PBL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한 디자인 수업이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5.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6. 권은주, 강성희(2003). 불교 생명존중 유아교육 프로그램: 새도 나무도 우리도 부처님 품안에. 서울: 양서원.
  7. 권혁재, 강헌태, 성혜진, 전상일, 권난주, 신영준(2018). 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2(2), 182-197. https://doi.org/10.21796/jse.2018.42.2.182
  8. 김명선(2015). 숲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유철, 홍승호(2011). 제주도 오름 체험 학습이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7(3), 23-47.
  10. 김지연, 손장호(2019).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환경소양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1), 59-71.
  11. 김지홍(2018).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생태 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13. 박정순(2002). 사육-재배 현장체험을 통한 자기성취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변영호(2008).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학교 내 자연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유경희, 신영준(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16. 유민(2018). 숲 체험을 통한 자연미술 표현활동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유정길(2001). 생태적 관점에서 교육을 다시 생각한다. 제4차 국제환경교육심포지움 자료집, 19-24.
  18. 이경원, 김순자(2009).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제시된 도덕적 감정 관련 내용 분석: 동정심을 중심으로. 초등도덕교육, 29, 169-202.
  19. 이승화, 이형철(2019). 과학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과학 학업성취도,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초등과학교육, 38(3), 387-394.
  20. 이은정(1999). 교육생태학의 성립가능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인천광역시교육청(2018). 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생태환경 길라잡이. 인천교육-2018-0110.
  22. 임현아(2015). 야외답사에 근거한 생태 감수성의 발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장정애(2011).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다솜(2018). 도시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 및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탁준(2004). 도덕교육방법의 동기화 제고를 위한 도덕감성에 대한 일 고찰. 도덕윤리과교육연구, 19, 185-206.
  26. 주은정(2018). 학교 안 자연 기반 생태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자연에 대한 인식 및 생태적 감수성 변화. 생물교육, 46(1), 141-153.
  27. 주은정, 김재근(2012).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1(3), 284-297.
  28. Cherif, A. H. (1992). Barriers to ecology education in North American high schools: Another alternative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3(3), 36-46. https://doi.org/10.1080/00958964.1992.9942800
  29. Greene, M. (2001). Variations on a blue guitar. NY, US: Teachers College Press.
  30. Izard, C. (1989).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emotions: Implications for cognition, motivation, and personality. In Cohen, I. S. (ed.), The G. Stanley Hall lecture series: Vol. 9. The G. Stanley Hall lecture series (pp. 39-7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Milne, I. (2010). A sense of wonder, arising from aesthetic experiences,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inquiry in primary science.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1(2), 102-115.
  32. Smith, G. A. & Williams, D. R. (1999). Ecological education in action: On weaving education, culture, and the environment. NY, U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