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ent Trends in Clinical Research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norexia in Children - Focused on Chines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소아의 식욕부진에 대한 한약치료의 최신 임상연구 동향 - 중국 RCT 연구를 중심으로 -

  • Shin, Hye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Park, Yong 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Lee, Jihong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Chang, Gyu Ta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신혜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소아과) ;
  • 박용석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소아과) ;
  • 이지홍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소아과) ;
  • 장규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소아과)
  • Received : 2019.10.22
  • Accepted : 2019.11.18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Chinese clinical research in the last 5 years of Chinese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norexia in children, and to find ways to utilize the diagnostic criteria and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children who have anorexia in Korea. Methods The authors searched literatures using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published from January 1, 2015 to June 18, 2019. Selected literatures were collected in order of recent publication year. And then, demographic data, duration of illness, intervention, treatment period, outcome, and adverse event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norexia in children are categorized and presented in chart. Results A total of 50 pape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the selected studies, the most commonly used diagnostic criteria for anorexia in children were ${\ll}$Zhu Futang Practice of Pediatrics${\gg}$ in Western medicine and ${\ll}$Diagnostic and therapeutic criteria for TCM syndromes${\gg}$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s a result, in all the studies reporting total efficacy, the total effective rate of the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appetite recovery rate and weight gain were significantly higher, gastric emptying time and appetite recovery time were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erbal medicine treatment can help improve anorexia in children. In Korea, diagnostic criteria for anorexia in children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Keywords

Ⅰ.Introduction

식욕부진 (食慾不振)은 6세 미만의 소아에서 흔한 증상이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부모들이 직면하는 문제 상황이다. 유병률은 연구마다 차이가 있으나 학령 기 전 소아의 경우 약 14~50%, 학령기 이후 소아의 경 우 약 7~27%로 알려져 있다1) . 식욕부진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장기간의 식욕감퇴와 식사량 감소로 나타나는 데, 개인마다 증상의 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2). 3)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7차 개정>에 의하면, 식욕부진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포함한 섭식장애 (질병 분류기호 F50.0)와 별도로 분류되고 있으며, ‘달리 분류 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 (질병 분류기호 R00-R99)’에서 소화계통 이외의 ‘음식 및 수 액 섭취에 관계된 증상 및 징후’에 해당한다 (질병분류 기호 R63.0).

한편, 한의학에서 식욕부진은 ‘不嗜食’, ‘不思食’, ‘惡食’ 등으로 기재되어 있으며4), 특히 중의학 서적인 ≪中醫兒科學≫5) 등의 의서에서는 ‘小兒厭食症’이라 는 용어를 사용하여 소아의 식욕부진을 신경성 식욕부 진증인 ‘거식증 (拒食症)’과 구별되는 소화기 질환으로 진단한다.

비록 식욕부진을 겪는 환아 스스로는 크게 불편감 을 느끼지 않을 수 있지만, 불충분한 영양 섭취는 소아 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의 면 역 기능을 저하시키며, 영양 불균형 및 빈혈 등을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필요하다6).

현재 임상에서 통상적인 치료방법으로 아연보충요 법이나 유산균, 비타민, 철분제 섭취 등이 제시되고 있 으나, 아직까지 치료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고7), 국내 소아과학 전문 서적8)에서도 식욕부진의 치료에 관한 내용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국내에서 소아의 식욕부진을 진단하는 데 활용할 만한 진단기준이 부재 하며, 기질적 원인이 없는 경우 반드시 검사가 필요하 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되기 때문에 치료 의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이다9).

그러나 많은 부모들은 여전히 자신의 자녀가 잘 먹 지 못한다고 생각하며10), 한 연구11)에서는 자녀의 식욕 부진으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가 응답자의 76.2%에서 심한 편으로 보고된 바 있다. 국내에서 발표된 최 등12) 의 연구에 따르면, 식욕부진은 한방소아과에 내원하는 소화기 계통 질환 중 가장 높은 내원 비율인 70.9%를 차지하고 있었고, 그 중 1~3세의 비율이 과반인 50.7% 로 나타났다. 이는 후속 연구13)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 는데, 식욕부진이 소화기 계통 질환 중 72.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높은 내원 비율에도 불구하고 소아의 식욕 부진에 대한 국내 한의학 연구는 저조한 편이며, 특히 식욕부진 환아를 치료하는 데 주로 활용되는 한약치료 를 중점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전무했다. 한편 중국 의 학 저널에서는 소아의 식욕부진에 대한 한약치료와 관 련된 논문이 매년 수십 편 이상 출판되고 있으며, 2000 년대 이후부터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연구에서 식욕부진의 진단기준 및 치료기준을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식욕부진에 대한 한 약치료의 최근 5년간 중국 임상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에서 소아의 식욕부진의 진단기준 및 한약치료에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문헌 검색

검색원으로는 중국의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사 이트인 중국학술정보원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을 이용하였다. 검색범위는 醫藥 衛生科技에서 中醫學, 中藥學, 中西醫結合에 한정하 였으며, 검색어는 ‘小儿厌食症’ and ‘中药’ or ‘中医药’ or ‘颗粒’ or ‘胶囊’ or ‘自拟’ or ‘汤’ or ‘丸’ or ‘散’ or ‘方’으로 설정한 후, 중영문 교차 검색 및 결과 내 검색 을 시행하였다. 출판연도는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 기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검색일 이전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최종 검색일은 2019년 6월 19일이었다.

2. 문헌 선정 및 제외 기준

식욕부진이 있는 소아에게 한약치료를 시행하고 치료효과를 평가한 중국의 임상연구 중에서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만을 선별하였다. 한약은 경구 복용 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한약 이외에 鍼, 灸, 貼敷, 推拿, 耳壓法 등 다른 한의학적 치료를 병행한 경우 제외하였다. 또한 사용한 한약의 구성 약재를 명시하지 않은 연구도 제외되었다. 대조군은 양약을 경구 복 용하는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 한 경우 치료군도 동일하게 시행하도록 설계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성별 및 연령에 제한을 두지 않았으 며, 결과 지표는 연구에 활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포함하였다.

3. 자료수집 및 추출항목

선정된 문헌은 최신 출판연도 순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각 문헌별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유 병기간, 치료방법, 치료기간, 평가 지표 및 평가 결과, 안전성 평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Table 1, 2). 한약치료에 사용된 한약 처방의 구성은 도표로 제시하 였으며 (Table 3), 그 중 빈용된 한약재를 별도로 제시 하였다 (Table 4). 또한, 각 문헌에서 소아의 식욕부진 을 진단한 기준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Table 5, 6).

Table 1. Demographic In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Included Studies

Table 2.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Table 3. Constituent of Herbal Medicine

Table 4. List of The 10 Most Used Medical Herbs

Table 5. Western Medical Diagnostic Criteria for Anorexia in Children

Ⅲ. Results

1. 검색 결과

검색 결과 총 1189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229편의 중복 문헌이 제외되었고, 연구자가 수기로 검 색하여 9편의 문헌을 추가하였다. 한방소아과학에 전 문 지식이 있는 저자들이 1차로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 여 869편의 문헌이 제외되었고, 최종적으로 100편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이 문헌들에 대하여 전문 검토를 시행한 결과, 선정기준에 맞지 않는 50편의 문헌이 제 외되어 최종적으로 50편의 문헌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 으로 선정되었다 (Fig. 1).


2. 연도별 분포

2015년에 12편, 2016년에 13편, 2017년에 12편, 2018년에 8편, 2019년에 5편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3. 연구 설계

선정된 연구14-63)는 1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치 료군과 대조군의 양 군으로 이루어졌으며, 세 군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1편17)이었다. 이 중 한약치료군과 양 약치료군을 비교한 연구가 20편18,22-24,27,31,33,34,38,43,48,51-54, 56,57,60,62,63), 한약치료 및 양약치료 병용군과 양약치료군을 비교한 연구가 16편14,16,19,28,30,32,35,37,41,45-47,49,50,55,61), 한약 치료 및 생활습관 교정군과 양약치료 및 생활습관 교 정군을 비교한 연구가 6편21,26,29,40,44,59), 한약치료 및 양 약치료 및 생활습관 교정군과 양약치료 및 생활습관 교정군을 비교한 연구가 6편15,17,20,39,42,58)이었으며, 그 외 통상치료법으로 철분제, 비타민 섭취 등을 포함하 여 한약치료 및 양약치료를 병용한 치료군과 통상치료 법 및 양약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연구가 1편36), 통상치 료법과 생활습관 교정을 포함하여 한약치료 및 양약치 료를 병용한 치료군과 통상치료법 및 생활습관 교정 및 양약치료군을 비교한 연구는 1편25)이었다.

4. 연구의 특성

연구 대상자 수는 최소 40명58)에서 최대 240명17)으 로 다양하였다. 모든 연구는 14세 이하의 소아를 대상 으로 시행되었으며, 그 중 6세 이하의 소아만을 대상으 로 한 연구가 15편14,15,17,18,20,21,25,35,36,41,43,51,53,54,58)이었다. 한편, 변증별로 연구대상자를 모집한 연구는 총 22 편이었다. 脾失健運證 7건14,30,36,43,52,56,58), 脾胃氣虛證 3 건39,54,57), 脾胃不和證 2건31,53), 肝旺脾虛證 2건24,38), 脾胃濕熱證 2건21,40), 脾胃陰虛證 1건33), 脾胃虛弱證 1건 25), 脾虛食滯證 1건49), 脾虛證 1건62)이 있었으며, 脾失 健運證과 脾胃氣虛證, 胃陰不足證을 모두 포함한 연구가 1건45), 脾失健運으로 인한 脾氣虧虛證과 胃陰不 足證을 분류한 연구가 1건61) 있었다.

5. 진단기준

선정된 연구에서 소아의 식욕부진을 진단하는 데 활용한 진단기준은 서양의학적 진단기준과 중의학적 진단기준이 있었다. 서양의학적 진단기준에 대해 명시 한 연구는 총 26편이었으며, 그 중 16편의 연구에서는 ≪諸福棠實用兒科學≫64)의 진단기준을 활용하였고, 4 편의 연구에서는 ≪小兒厭食症的診療標準≫65)의 진 단기준을, 2편의 연구에서는 ≪小兒厭食研究進展≫66) 의 진단기준을, 2편의 연구에서는 ≪藥理學≫67)의 진 단기준을, 1편의 연구에서는 ≪兒科學≫68)의 진단기준 을, 나머지 1편의 연구에서는 69)을 활용하였다.

중의학적 진단기준에 대해 명시한 연구는 총 21편 이었으며, 그 중 11편의 연구에서는 ≪中醫病證診斷療 效標準≫70)의 진단기준을, 4편의 연구에서는 ≪中醫兒 科常見病診療指南≫71)의 진단기준을, 4편의 연구에서 는 ≪中醫兒科學≫5)의 진단기준을, 나머지 2편의 연구 에서는 ≪小兒厭食中藥新藥臨床試驗設計與評價技術 指南≫72)의 진단기준을 활용하였다 (Table 5, 6)

6. 치료기간 및 치료내용

치료기간을 언급하지 않은 1편42)의 연구를 제외하 고, 선정된 연구들의 최소 치료기간은 7일31), 최대 치 료기간은 3개월30,36)이었다. 그 중 치료기간이 1개월인 연구가 28편14-16,18,19,22-24,26-29,33,35,40,41,44,45,47,53-59,62,63)으로 가장 많았다.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연구는 총 4편 17,34,40.42)이었으며, 치료종료 후 2주34), 2개월40), 6개월 17,42) 이후 평가가 시행되었다.

소아의 식욕부진 치료에 사용된 처방은 康兒靈顆 粒, 開胃飲, 健寶靈顆粒, 健脾消積湯, 健脾湯, 健脾和 胃湯, 健脾丸, 啟脾飲, 啟脾丸, 曲麥枳朮湯加減, 肥兒 合劑, 四逆散加味, 蔘苓白朮顆粒, 蔘苓白朮散, 蔘苓白 朮散加減, 醒脾消食湯, 醒脾養兒顆粒, 小兒健脾丸, 小 兒複方鷄內金咀嚼片, 小兒扶脾顆粒, 小兒消滯顆粒, 小兒厭食顆粒, 小兒厭食方, 兒寶顆粒, 養陰運脾配方 顆粒, 溫膽枳朮湯, 運脾開胃散, 運脾開胃湯, 運脾顆粒, 運脾散, 運脾醒胃湯, 運脾消食湯, 運脾和胃湯, 異 功散加減, 異功散加味, 調肝理脾顆粒, 平胃散加減으 로, 그 중 醒脾養兒顆粒이 7편19,22,28,32,35,39,42)의 연구에 서 사용되었으며, 蔘苓白朮散加減, 蔘苓白朮顆粒을 포함한 蔘苓白朮散이 5편25,36,47,60,61)의 연구에서 사용 되어 그 다음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Table 3).

한약치료의 처방 제형을 살펴보면, 湯劑를 사용한 연구가 25편15,18,21,23,25,27,30,31,36-38,40,43,45,49,51-56,58,60,61,63)으로 가장 많았고, 顆粒劑를 사용한 연구가 19편14,16,17,19,22,24, 28,32-35,39,41,42,47,48,50,57,62), 丸劑를 사용한 연구가 5편26,29, 44,46,59)이었다. 나머지 1편20)의 연구에서는 씹을 수 있는 錠劑를 활용하였다.

각 연구에서 활용된 처방의 구성 약재들을 빈도별 로 분석한 결과, 白朮이 33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 며, 그 다음으로 山楂가 32회, 茯苓이 31회 사용되었 다. 그 외 陳皮, 甘草가 25회, 神麯이 20회, 麥芽가 18 회, 山藥이 16회, 蒼朮, 鷄內金이 14회 사용되었다 (Table 4). 한편, 補氣劑인 黨蔘과 人蔘, 太子蔘은 각각 11회, 8회, 6회 사용되었다.

7. 평가 지표 및 평가 결과

총유효율을 평가하는 기준은 ≪中藥新藥臨床研究 指導原則≫73), ≪中醫兒科常見病診療指南≫71), ≪中 醫病證診斷療效標準≫70)에서 제시한 기준이 주로 사 용되어, 치료효과를 治愈 (痊愈), 顯效, 有效, 無效의 4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환아가 정상 식사량의 95% 이상을 회복한 경우에는 治愈 (痊愈), 환아가 정 상 식사량의 70~95%를 회복한 경우에는 顯效, 정상 식사량의 30~70%만을 회복한 경우에는 有效, 정상 식 사량의 30% 미만 혹은 현저한 개선이 없는 경우에는 無效로 하여 총유효율을 계산하였다. 총유효율은 3편 의 연구21,23,31)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평가되었고, 모 두 치료군의 총유효율이 대조군의 총유효율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

50편의 연구 중 15편14,15,21,24,33,36-38,40,49,52,53,57,58,61)의 연구에서 ‘중의증상점수’를 평가 지표로 제시하였는데, 각 연구별로 세부 항목에는 차이가 존재했으나 (Table 2), 主症은 주로 食欲不振, 食量减少, 食而無味, 形体 偏瘦로, 兼症은 面色少華, 精神常可, 口淡乏味, 時有 流涎, 噯氣呃逆, 噁心, 大便軟溏 등으로 평가되었다. 증상점수가 낮을수록 식욕부진이 개선되었음을 나타 내며, 12편의 연구14,21,24,33,36-38,49,52,53,57,61)에서는 치료군의 증상점수가 대조군의 증상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 으나, 3편의 연구15,40,58)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 외 미량원소인 아연 (Zn), 철 (Fe), 구리 (Cu), 칼슘 (Ca) 등의 체내 수치, 헤모글로빈 (Hb), 랩틴 (leptin), 그 렐린 (ghrelin), 가스트린 (gastrin), 모틸린 (motilin), 신 경펩티드 Y (neuropeptide Y) 등의 수치가 평가 지표로 활용되었으며, 체질량 증가나 신장 증가, 체중 증가 등 을 평가 지표로 활용한 연구들도 있었다.

8. 안전성

선정된 연구 50편 중 20편16-18,23-25,28,36,37,41-43,50-52,55,56, 58,61,62)의 연구에서 임상연구 중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 였고, 양 군 모두 명백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한 연구가 15편16-18,23-25,36,41-43,52,55,56,58,62)으로 대다 수였다. 그 외 4편28,50,51,61)에서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치 료군의 경우 경미한 嘔吐 3례, 惡心 1례, 腹痛 1례, 頭 脹 2례 등이 있었고, 대조군의 경우 嘔吐 6례, 惡心 1 례, 腹痛 2례, 頭脹 3례, 便秘 1례 등이 있었다. 나머지 1편37)의 연구에서는 안전성 평가에 대한 결과가 제시 되지 않았다.

Ⅳ. Discussion

영아기의 독점적인 모유식 또는 분유식에서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되는 초기 이유식으로 전환되면서, 생 후 4~6개월경부터는 음식과 식사에 대한 많은 양의 학 습이 이루어진다74). 특히 소아의 식욕부진은 유아기에 접어드는 2세 전후에 심해지는데, 대부분 유아기와 학 령기가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아의 키나 체중이 또래보다 심각한 수준으 로 미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임상에서 치료의 대상으로 특별히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75). 그러나 부모들이 느끼기에 자녀의 식욕부진은 육아에 있어서 큰 어려움 중 하나이며2) , 성장과 발달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 문에76), 의료인은 소아가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서양의학에서는 소아의 식욕부진의 원인이 주로 생 활환경의 변화, 부적절한 수유 및 장내 세균총의 교란 과 연관된다고 인식한다4). 한 서양연구에서는 미량원 소 중 하나인 아연이 소아의 식욕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77). 아연은 인체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다양한 단백질의 합성과 핵종의 합성에 관여 하며 체내 소화 효소의 합성에 영향을 미친다78). 또 다 른 연구에서는 유산균 제제가 식욕부진 환아의 장내 세균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하였는데, 유산균 제제를 복용한 군에서 장내 유해 세균이 억제되었으며,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가 촉진되었고, 장 독소의 흡수 및 생성이 감소되었다79).

한의학에서는 소아의 ‘臟腑嬌嫩, 形氣未充’한 생리 적 특징 상 脾胃의 運化 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飮食 不節하고 喂養不當한 경우 脾胃의 기능이 손상되어 식욕부진이 유발된다고 보았다80). 또한 李東垣의 ≪脾 胃論·脾胃盛衰論≫81)에서는 “百病皆由脾胃衰而生也” 라 하여 脾胃 기능의 병리적인 상태가 인체의 모든 병 의 근원임을 언급하였는데, “脾不升清, 胃不降濁, 受納 失常則口不欲食, 運化失常則食入不化, 久之則成厭食 症”으로 脾胃腸病證을 설명하였다53).

References

  1. Cardona Cano S, Tiemeier H, Van Hoeken D, Tharner A, Jaddoe VW, Hofman A, Verhulst FC, Hoek HW. Trajectories of picky eating during childhood: A general population study. Int J Eat Disord. 2015;48(6):570-9. https://doi.org/10.1002/eat.22384
  2. Wright CM, Parkinson KN, Shipton D, Drewett RF. How do toddler eating problems relate to their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growth?. Pediatrics. 2007;120(4):e1069-75. https://doi.org/10.1542/peds.2006-2961
  3. Korea Informative Classification Of Diseases.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cause of death. 7th revision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koicd.kr/.
  4.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ang).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447-51.
  5. Jiang YR, Wang Y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ediatrics.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7:102-7.
  6. Han D. Progress in clinical research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Med Theory Pract. 2016;29(22):3054-5,8.
  7. Guo YW.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by acupuncture at Sifung point combined with replenishing spleen Chinese medicine. Guangming J Chin Med. 2019;34(2):271-3.
  8. Ahn HS, Shin HY. Hongchangui Pediatrics. 11th ed. Seoul: Mirae N. 2016:51-2.
  9.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dical Information. Anorexia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549&cid=51007&categoryId=51007.
  10. Kerzner B, Milano K, MacLean WC Jr, Berall G, Stuart S, Chatoor I. A practical approach to classifying and managing feeding difficulties. Pediatrics. 2015;135(2):344-53. https://doi.org/10.1542/peds.2014-1630
  11. Yu SA, Lee SY. A survey of the growth state of the children with anorexia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arents. J Pediatr Korean Med. 2014;28(1):7-13. https://doi.org/10.7778/jpkm.2014.28.1.007
  12. Choi MH, Kim DG, Lee JY. A study of the chief complaint of pediatric outpatients in the Kyung Hee oriental medicine hospital. J Pediatr Korean Med. 2010;24(3):121-37.
  13. Lee EJ, Lee BR, Lee JH, Chang GT. A study on the recent trend of chief complaint of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outpatients. J Pediatr Korean Med. 2016;30(1):45-58. https://doi.org/10.7778/jpkm.2016.30.1.045
  14. Zhan LB. Treatment of 50 children with anorexia nervosa with different treatments. Fujian Tradit Chin Med. 2019;50(2):79-80.
  15. Cai Y, Li LJ. Treating 3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with Qumai Zhishu decoction combined with five-dimensional lysine. J Shaanxi Univ Chin Med. 2019;42(2):101-4.
  16. Wang Y. Effect of Erbao granule combined with conventional therapy on infantile anorexia on blood trace element and hemoglobin level. Mod Diagn Treat. 2019;30(1):34-5.
  17. Fang XX, Wang YC, Zhu XK, Yao JW, Hu GH. Clinical efficacy of pediatric anorexia granule combined with Saccharomyces Boulardii sachets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and its effect on serum cytokines. Chin J Exp Tradit Med Formulae. 2019;25(12):115-20.
  18. Li X, Zhang W, Dai Y. Analysis of clinical efficacy and adverse reaction rate of Xingpi Xiaoshi decoction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Drug Clin. 2019;16(5):25-7.
  19. Zhang H. Evaluation of the effect of Xingpi Yanger granule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Health for everyone. 2018;22:238.
  20. Wang YJ. Clinical efficacy of pediatric compound chicken inner gold chewable tablets combined with bifidobacteria triple live bacteria powder in the treatment of anorexia in children. Med Inf. 2018;31(15):76-8.
  21. Wang AL, Yang SZ. Curative effect observation of Jianpi Hewei decoction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spleen and stomach damp-heat syndrome). J Sichuan Tradit Chin Med. 2018;36(10):115-7.
  22. Shi JF, Zhang FH. Therapeutic effect of Xingpi Yanger granule on children with anorexia. Cap Food Med. 2018;(9):103.
  23. Liu LF, Li WJ.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with Xingpi Xiaoshi decoction. Mod J Integr Tradit Chin West Med. 2018;27(35):3922-4.
  24. Deng JL, Yin D. Clinical observation on 3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treated by Tiaogan Lipi granule. Hunan J Tradit Chin Med. 2018;34(11):12-4.
  25. Kang C. To explore the effect of Shenqi Baizhu powder combined with probiotics on anorexia in children and appetite regulating factors. Mod Diagn Treat. 2018;29(17):2709-10.
  26. Jiang C. Clinical analysis of Xiaoer Jianpi pill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Inner Mongol J Tradit Chin Med. 2018;37(4):24-5.
  27. Chen YQ, Fan ZM. Analysis of curative effect of Yunpi Xingwei decoction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China Foreign Med Treat. 2017;(13):180-2.
  28. Cheng L. Analysis of clinical therapeutic effect of applying Xingpi Yanger granules in children with anorexia. Contemp Med. 2017;23(24):145-6.
  29. Jiang SH. Clinical study on Jianpi pill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Integr Chin West Med Motherland Med. 2017;21(31):4385-6.
  30. Yan XY. 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children with anorexia. J New Chin Med. 2017;49(6):96-8.
  31. Yang C. Effect of Yunpi Hewei decoction in treating infantile spleen and stomach disorder anorexia. Inner Mongol J Tradit Chin Med. 2017;(14):7.
  32. Ma CX. Wu WX, Xu YJ.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with Xingpi Yanger granule. J China Prescription Drug. 2017;15(11):107-8.
  33. Ma HS. Clinical study on Yangyin Yunpi Formula granules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with spleen and stomach Yin deficiency. Beijing Univ Chin Med. Thesis of Master's degree. 2017.
  34. Li YW, Wu WX, Xu YJ. Clinical observation of Xiaoer Xiaozhi granule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J New Chin Med. 2017;49(12):98-101.
  35. Li GX.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with Xingpi Yanger granule. J Clin Med. 2017;4(82):16137-8.
  36. Liu HY, He HX. Efficacy of Shenqi Baizhu powder combined with Saccharomyces Boulardii sachets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and its effect on appetite regulating factors. Mod J Integr Tradit Chin West Med. 2017;26(14):1549-51.
  37. Liu JJ.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with Yunpi Kaiwei powder and compound pepsin granule. Guangming J Chin Med. 2017;32(7):930-2.
  38. Duan LJ. Therapeutic effect of Sinisan Jiawei decoction on 40 children with anorexia in children with liver and spleen deficiency. World Latest Med Inf. 2017;17(102):210-2.
  39. Hu H, Chen F.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ing 65 cases of infantile anorexia with Xingpi Yanger granule. J New Chin Med. 2016;48(2):165-7.
  40. Han DM. Clinical research of therapy of Wendan Zhizhu decoction on childhood anorexia with spleen and stomach damo-heat syndrome. Heilongjiang Univ Tradit Chin Med. Thesis of Master's degree. 2016.
  41. Zou CH, Shen SZ. Clinical observation on 4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treated by pediatric anorexia granule combined with new selenium. J Pediatr Tradit Chin Med. 2016;12(3):49-52.
  42. Chen QY. Clinical observation of the application of Xingpi Yanger granule in children with anorexia. China Prac Med. 2016;11(15):213-4.
  43. Chen ZY, Fang LM. Treating 6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with Pingwei powder. Zhejiang Tradit Chin Med Mag. 2016;51(11):820.
  44. Chen LL. Clinical analysis of Jianpi pill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Guangming J Chin Med. 2016;31(13):1851-2.
  45. Chen JZ. Clinical observation on 156 cases of infantile anorexia treated by self-made Qipi decoction and zinc sulfate tablets. Chin Community Doctors. 2016;32(21):115-6.
  46. Zhang GY, Zhang J.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with Qipi pills and zinc gluconate. Guide China Med. 2016;14(13):186-7.
  47. Sha XJ, Ma Y. 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children with anorexia. Cardiovasc Dis J Integr Tradit Chin West Med. 2016;4(19):170-2.
  48. Li YC, Li XQ. Effect of Jianbaoling granules on children with anorexia nervosa and its effects on blood trace elements and immunity. Med J Chin People's Health. 2016;28(09):57-8.
  49. Dou YF, Shi YP. Clinical study on Jianpi Xiaoji decoction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Shaanxi Tradit Chin Med. 2016;37(7):812-3.
  50. Duan JY. Observation on the effect and safety of Xiaoer Fupi granule combined with zinc sulfate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Henan Med Res. 2016;25(8):1475-6.
  51. Ke X. Clinical observation of self-made appetizer for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Chin J Mod Drug Appl. 2016;10(13):277-8.
  52. Peng Y, Xing FL, Leng L, Pang P, Wang Q. Evaluation of the effect of Yunpi powder on intervention of anorexia in children with spleen. Lishizhen Med Mater Med Res. 2015;26(5):1162-4.
  53. Zhu QH, Yao WG, Xu PH. Therapeutic effect of Feier mixture on anorexia in children with spleen and stomach disharmony. J Shandong Univ Tradit Chin Med. 2015;39(2):127-9.
  54. Chen YH. Treating 3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with different treatments. Henan Tradit Chin Med. 2015;35(1):189-90.
  55. Chen LZ, Chen YS, Wang JJ, Fu S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with Jianpi decoction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J Med Theor Prac. 2015;28(8):1043-5.
  56. Zhao W.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Yunpi Xiaoshi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anorexia in children with spleen. J Prac Tradit Chin Intern Med. 2015;29(10):107-8.
  57. Zhang ZA, Chen YH, Ling K, Gao XL. Clinical efficacy of Kangerling granule in the treatment of anorexia in children. Beijing Med. 2015;37(2):182-3.
  58. Zhang Y.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with Yunpi Kaiwei decoction combined with zinc gluconate. Hebei Med Univ. Thesis of Master's degree. 2015.
  59. Zhang XY. Clinical evaluation of Xiaoer Jianpi pill in treating anorexia in children. China Contin Med Educ. 2015;7(13):196-7.
  60. Su LG. 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children with anorexia. Cardiovasc Dis J Integr Tradit Chin West Med. 2015; 3(26):108-9.
  61. Li WF. Clinical study on Shenqi Baizhu powder combined with multi-enzyme tablets i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Henan Med Res. 2015;24(10):92-3.
  62. Liu CL, Zhou LL. Clinical observation on 60 cases of infantile anorexia treated by Yunpi granule in treating spleen deficiency. Gansu Sci Technol. 2015;31(9):124-5.
  63. Rao HP, Yang XY, Yuan T. Clinical observation on treating infantile anorexia with Jianpi Xiaoji decoction. The 11th national symposium on the basic theory of integrative medicine. 2015:73-4.
  64. Hu YM, Jiang AF. Zhu Futang Practice of Pediatrics. 7th ed.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2:1275-7.
  65. Xu RQ, Yuan MF. Diagnostic criteria for anorexia in children. Chin J Clin. 1999;27(3):159.
  66. Zeng JX. Progress in research on anorexia in children. Chin J Pediatr. 2010;2(2):157-9.
  67. Liu WX. Pharmacology. Jinan: Shandong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2:158-9.
  68. Shen XM, Wang WP. Pediatrics. 7th ed.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8:78.
  69. Levine A, Bachar L, Tsangen Z, Mizrachi A, Levy A, Dalal I, Kornfeld L, Levy Y, Zadik Z, Turner D, Boaz M. Screening criteria for diagnosis of infantile feeding disorders as a cause of poor feeding or food refusal.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1;52(5):563-8. https://doi.org/10.1097/MPG.0b013e3181ff72d2
  70.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agnostic and therapeutic criteria for TCM syndromes. Beijing: 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2:290-1.
  71. Chinese Medicine Associatio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mmon diseases in Chinese medicine pediatrics. Beijing: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2012:48-50.
  72. Clinical Evaluation Group of Pediatric Branch of Chinese Medicine Association. Technical guide for clinical trial design and evaluation of new drugs for children with anorexia. Drug Eval Res. 2015;38(3):244-50.
  73. Stat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ing principles for clinical research of new drug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ijing: 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2:267.
  74. EBS Kid's Table Production Team. Kid's eating. Seoul: Knowledge Channel. 2010:44.
  75. Ammaniti M, Lucarelli L, Cimino S, D'Olimpio F, Chatoor I. Maternal psychopathology and child risk factors in infantile anorexia. Int J Eat Disord. 2010; 43(3):233-40. https://doi.org/10.1002/eat.20688
  76. Rudolf MC, Logan S. What is the long term outcome for children who fail to thrive? A systematic review. Arch Dis Child. 2005;90(9):925-31. https://doi.org/10.1136/adc.2004.050179
  77. Zuo N. Research progress on the effect of trace element zinc on immune function. Vet Guide. 2016;14(4):215.
  78. Brazilian Association of Nutrology. Zinc supplementation in the treatment of anorexia nervosa. Rev Assoc Med Bras. 2013;59(4):321-4. https://doi.org/10.1016/j.ramb.2013.06.004
  79. Li XW, Cui YL. Clinical application effect and mechanism of Clostridium butyricum. Yan Ji: 2007 National Academic Conference on Biochemical and Biotechnological Drugs. 2007.
  80.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Jeo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ang).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30-31.
  81. Li G. Spleen-stomach theory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ctext.org/wiki.pl?if=gb&chapter=193010.
  82. Chao YF. Zhu Bing Yuan Hou Lun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zysj.com.cn/lilunshuji/zhubingyuanhoulun/623-50-1.html#hi-110065.
  83. Qian Y. Key to therapeutics of children's diseases. Seoul:Yeo Gang Publishing Co. 2002:72.
  84. Ye TS. A guide to clinical practice with medical record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zysj.com.cn/lilunshuji/linzhengzhinanyian/index.html.
  85. Lindberg L, Bohlin G, Hagekull B, Palmerus K.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infants showing food refusal. Infant Ment Health J. 1996;17(4):334-47. https://doi.org/10.1002/(SICI)1097-0355(199624)17:4<334::AID-IMHJ5>3.0.CO;2-M
  86. Chatoor I, Kerzner B, Zorc I, Persinger M, Simenson R, Mrazek D. Two-year old twins refuse to ea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Infant Ment Health J. 1992;13(3):252-68. https://doi.org/10.1002/1097-0355(199223)13:3<252::AID-IMHJ2280130311>3.0.CO;2-9
  87. Chatoor I, Hirsch R, Ganiban J, Persinger M, Hamburger E. Diagnosing infantile anorexia: the observation of mother-infant interaction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8;37(9):959-67. https://doi.org/10.1097/00004583-199809000-00016
  88. Heebink DM, Sunday SR, Halmi KA.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in adolescence: effects of age and menstrual stat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3):378-82. https://doi.org/10.1097/00004583-199503000-00024
  89. Heo J. Donguibogam. Seoul: Beob In Publishing Co. 2012:1229.
  90. Song DS, Ryu BH, Park DW, Ryu KW.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icacy of Samryungbaekchulsan. J Korean Med. 1993;14(1):179-95.
  91. Kim HY, Seong WY, Kim KB. A literature study on treatment of infantile anorexia based on Chinese Medical Journals. J Pediatr Korean Med. 2013;27(4):87-98. https://doi.org/10.7778/jpkm.2013.27.4.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