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동서철학연구)
- Issue 92
- /
- Pages.421-442
- /
- 2019
- /
- 1225-1968(pISSN)
- /
- 2713-8828(eISSN)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for Overcoming the Existential Trial and Improving Resilience of Youth: Focused on Case Analysi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of Juvenile Delinquents on Probation
청소년의 실존적 시련 극복과 회복력 향상을 위한 철학상담 사례 연구: 보호소년 개인상담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What is the level of happiness that Korean teenagers feel?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the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Korean teenagers ranks 16th among the 22 OECD countries. However, the measure of satisfaction in life, which represents an individual happiness index among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subjective happiness index, still ranks last among OECD countries. This phenomenon is also seen in a study conducted on Korean teenagers by the PIL (Purpose in Life test).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reflect on teenagers' resilience in overcoming the existential hardships caused by excessive academic stress and interpersonal disability that Korean teenagers suffer. To this end,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expanded by supplementing the limit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through philosophical resilience. In other words, we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istential trials and resilience on the one hand, and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existential philosophical resilience on the other. Furthermore, we will try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to adolescents' existential trials. Finally, based on this theoretical review, we will attempt to analyze cases of personal counseling of juvenile delinquents on probation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the child care target.
한국 청소년들이 느끼는 행복 수준은 어떨까?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22개 국가 중 16위를 차지하지만 주관적 행복지수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개인 행복 지표를 나타내는 삶의 만족 척도는 여전히 OECD국가 중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삶의 목적수준 테스트(PIL)를 한국 청소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도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한국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과도한 학업스트레스나 대인관계 장애 등으로 인해 초래되는 실존적 시련을 극복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의 회복력을 성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심리학적 회복력의 한계를 철학적 회복력을 통하여 보완함으로써 회복력 개념을 확장해보고자 한다. 즉 한편으로는 청소년의 실존적 시련과 회복력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존철학적 회복력의 치료적 함의 고찰해볼 것이다. 나아가 청소년의 실존적 시련에 대한 진단·치료적 접근을 시도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보호소년 대상 회복력 향상을 위한 청소년 개인상담 사례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