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특수아동교육연구)
- Volume 21 Issue 3
- /
- Pages.291-319
- /
- 2019
- /
- 1229-8301(pISSN)
- /
- 2733-8398(eISSN)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Stress on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부모 양육스트레스가 청각장애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 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stress o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Method :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88 mothers of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106 hearing infants living in Busan,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which had purposive or judgmental sampling.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by the SPSS 23.0. Results: First, the hearing impaired infant group showed low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lower parent-child interaction, and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ose of the hearing infant group. Second,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stress influence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hearing impaired infants and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parental parenting stress influence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of hearing impaired infants.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caregiver to enha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It is expected that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 will be able to socialize with their peers, adapt well to social discipline, and be able to properly control various emotional stimuli.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부모 양육스트레스가 청각장애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부산시, 경상도, 충청도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유아 88명의 어머니와 건청유아 106명의 어머니를 목적 표집하여 정서조절 체크리스트, 한국판 부모자녀관계검사,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을 통해 자료를 추출하여 spss 23.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유아 집단은 건청유아 집단보다 낮은 정서조절 능력, 낮은 부모-자녀 상호작용, 높은 부모 양육스트레스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부모 양육스트레스는 청각장애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고, 부모 양육스트레스만 청각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함양을 위해 양육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유아가 또래와 어울리고 사회적 규율에 잘 적응하며 다양한 정서적 자극에 올바르게 조절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