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Korean Youth (한국청소년연구)
- Volume 30 Issue 2
- /
- Pages.113-144
- /
- 2019
- /
- 1225-6366(pISSN)
- /
- 2288-8799(eISSN)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lf-reliance of runaway and homeless youths residing in youth welfare service centers
가정 밖 청소년들의 자립 모색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복지시설 청소년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9050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30 runaway and homeless youths residing in the youth welfare service centers had achieved self-reliance using grounded theory. Most interviewees ran away because they had been 'badly cared and/or abused in their families and schools(Condition)'. They had moved out of home for safety, but instead ended up getting involved in violence, debt and crime and became homeless and were 'off the normalized socialization track(Contexts)'. They were 'admitted to the youth welfare service centers(Phenomena)' and took it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lives. 'Resources and support(Intervening Conditions)' provided by the centers helped them to 'search for a strategy(Strategies)' to achieve 'self-reliance and a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Consequ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helping homeless teenagers to deal with the difficulties which they might have experienced in pursuing their goals of self-reliance.
본 연구는 전국의 청소년복지시설을 이용하거나 이곳에서 생활하는 만 15세 이상 24세 미만의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가정 밖 청소년들의 자립 모색 과정을 분석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분석결과, 이들은 '1차 사회화 환경의 붕괴(인과적 조건)'로 인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있었고 그 결과 집을 나와 길거리 생활, 아르바이트, 빚/범죄에의 연루 등 '한국사회의 통상적인 청소년 사회화 과정 밖에서의 삶(맥락적 조건)'을 살고 있었다. 이러한 생활을 하다가 '시설 생활을 시작(중심현상)'하여 신체적, 심리적 휴식 및 안정을 갖게 되면서 전환의 계기를 갖게 된다. 또한 시설을 통해 학업지도, 심리상담, 취업 관련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지원 및 지지(중재적 조건)'를 받게 되면서 청소년 자신도 '자립을 위한 노력과 시도(작용/상호작용)'를 하게 되어 자립(결과)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된다. 그러나 모든 가정 밖 청소년들이 이러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밟아 가면서 자립을 위한 기틀 마련이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갖게 되는 것은 아니었다. 각 단계마다 가정 밖 청소년들이 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없는 다양한 난관이 있으며 이에 부딪혀 좌절하고 방황하면서 자립 의지가 꺾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가정 밖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제안은 이들의 자립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 단계에 존재하는 난관과 장애물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밖 청소년들이 처한 다양한 상황을 바탕으로 이들의 자립을 지원 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