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On-Sight Image-Based Simulation Method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Flight Test Results of a Missile

유도무기의 비행시험 결과 예측 및 분석을 위한 현장 영상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 Received : 2018.10.16
  • Accepted : 2019.09.18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In modern-war campaign, precision-guided missiles are dominantly used to minimize the collateral damage. Imaging infrared seekers are widely applied for the precise guidance. Due to the high cost of the infrared detector, the cost for the one-shot weapon's test is a burden for the development. To reduce the test cost, a simulation method including imagery tracking is required, which is so-called integrated-flight simulation(IFS). The synthetic image generation(SIG)-based simulation method is typically used, which however cannot represent various environmental and target conditions. In this paper, a new IFS method is proposed using on-sight measured imag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IG-based IFS(SIIFS). The target image acquired at the launching sight has been used only for checking the performance criteria of the image tracker and has not been tried for IFS since it has low resolution and little information. The study described in this paper, however, shows that the on-sight image-based IFS can predict the pre- and mid-course flight performance quite similarly and is very useful for the flight test analysis.

현대전에서 중시되는 부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밀타격 유도무기에는 적외선 영상탐색기가 주로 적용되는데, 고가의 적외선 센서를 탑재한 일회성 유도무기의 성능평가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게 된다. 이러한 비용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유도무기의 성능 예측을 수행하는데, 합성 적외선 영상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기법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합성영상 적용 기법은 실제 영상과의 특성 차 및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기 힘들다는 제한 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시뮬레이션 제한 사항을 보완하기 위한 계측 영상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유도탄 발사 전에 획득되는 영상은 표적의 대조비 또는 온도차 등을 확인하여 영상 추적기의 성능발휘 조건 판단 목적으로만 적용되어 왔으나, 낮은 해상도 및 정보량 부족으로 통합 비행 시뮬레이션에 적용되는 시도조차 없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 기술한 연구를 통하여 현장 계측 영상을 적용한 통합 비행 시뮬레이션은 초기, 중기 비행 간의 유도탄 비행 성능을 상당히 유사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비행시험 결과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신환, 이상욱(1988), "자동 영상 추적기 개발연구",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vol. 25, no. 4, pp. 437-446.
  2. 선선구(2002), "적외선영상에서 질감 특성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표적탐지",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vol. 47, no. 5, pp. 62-68.
  3. 정영헌 외 3명(2012), "클러터환경에서 영상특징을 이용한 표적 추적", 전자공학회논문지, vol. 49, no. 10, pp. 209-216. https://doi.org/10.5573/ieek.2012.49.10.209
  4. 박장한, 이재익(2009), "적외선 영상에서 배경 모델링 기반의 실시간 객체 탐지 시스템",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vol. 46, no. 4, pp. 102-109.
  5. 오승민(2010), "스트랩다운 탐색기를 장착한 전술유도탄의 UKF 기반 종말호밍 유도", 대한항공우주학회지, vol. 38, no. 3, pp. 221-227.
  6. 박상섭 외 4명(2013), "적외선 영상탐색기를 탑재한 대함유도탄-함정방어체계 교전모의 프로그램 개발", 대한항공우주학회지, vol. 41, no. 5, pp. 373-382.
  7. C. Bates, J. Lucas, J. Robinson, "The Javelin Integrated Flight Simulation", Int. Conference on Computational Science, pp. 507-514, 2001.
  8. 정동길 외 3명(2017), "대전차 유도무기의 형상 설계에서의 통합비행 M&S 적용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 26, No. 1, pp. 13-19.
  9. 정동길 외 2명(2018), "탑재비행시험 영상을 적용한 통합비행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 27, No. 1, pp. 111-117.
  10. A. Morin(2010), "Simulation of infrared imaging seeking missiles," in Proc. of SPIE vol. 4365, pp. 46-57.
  11. T. Sheng-jing, W. Qun-shan, W. Xian-zong, and S. Jin-feng(2007), "Missile Virtual Flight Simulation System Based on Visual C++ and Vega", Transactions of 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vol. 5.
  12. T. J. Keating, P. R. Wolf, and F. L. Scarpace (1975), "An improved method of digital image correlation," in Photogrammetric Eng. Remote Sensing, vol. 41, pp. 993-1002.
  13. Scott B. M., Jeff P. G.(2000),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HWIL) facility for development, test, and evaluation of multispectral missile systems: update", SPIE AeroSense, vol. 4027, pp. 11-21
  14. John S. C., Alexander C. J.(1996), "Hardware-inthe- loop simulation at the U.S. Army Missile Command", SPIE Aerospace/Defense Sensing and Controls, vol. 2741, pp. 14-19
  15. Edward G. H., Rebecca A. C.(1997), "Hardware-inthe- loop simulation at Wright Laboratory's Dynamic Infrared Missile Evaluator (DIME) facility", SPIE AeroSense, vol. 3084, pp.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