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f K-pop in China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 진성 (경희대학교 응용예술학과) ;
  • 홍성규 (경희대학교 응용예술학과)
  • Received : 2019.08.19
  • Accepted : 2019.10.10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K-pop has gone through ups and downs for 30 years since it was introduced to China in the 1990s. As the trigger for the 'Korean wave', K-pop has become a business card of Korean pop culture, which is another popular culture that has culminated in China after the 'Western wave', 'Japanese wave' and 'Hong Kong.Taiwan's wave'. Its wide range of influences and long time are rare in the world, so it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example of moder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paper takes 1988-2018 as the time interval, combs the process of K-pop'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hina. Based on this theory, it can make an objective evalu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pop in China.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K-pop culture on the curren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puts forward some developmental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people.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and enlightenment for the study of K-pop in China.

K-pop은 1990년대 중국으로 유입된 후에 부침을 거듭하며 30년에 접어들었다. '한류' 현상을 일으킨 도화선으로서의 K-pop은 한국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한 장의 명함이 되었고, '서양풍', '일본풍', '홍콩 대만 풍(港台 風)'에 이어 중국에서 열풍을 일으킨 하나의 대중문화로서 자리매김 하였다. 해외문화가 중국에 영향을 미친 영역이 넓고, 긴 시간 지속된 것은 지극히 드물어서 현대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전형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88-2018년의 기간 동안 K-pop이 중국에 전파된 본말을 상세히 정리한 것을 이론적 기반으로, K-pop의 중국 내 전파 현황 전반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K-pop 문화가 중국 대학생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중국인들의 시각에서 발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것으로 중국 내 K-pop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이론적 기초와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eng Huat Chua and Koichi Iwabuchi, East Asian Pop Culture: Analysing the Korean Wav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8.
  2. Gunjoo Jang and Won K. Paik, "Korean Wave as Tool for Korea's New Cultural Diplomacy," Scientific Research, Vol.2, No.3, pp.196-202, Sep. 2012.
  3. 김유경, 이창현, 손산산, "국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6권, 제2호, pp.35-56, 2008.
  4.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47-45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447
  5.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2019 해외한류실태 조사 결과보고서, 2019(2).
  6. 한국 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17년 글로벌 한류실태조사, 2017.
  7. 장금, 안외순, "한국과 중국의 문화 교류현황과 소프트파워 - '한풍(漢風)' '한류(韓流)' 현상을 중심으로," 동방학, 제24집, pp.289-322, 2012(8).
  8. 김소홍, 付琨, "浅谈韩国流行音乐在中国青少年中的传播," 青春岁月, pp.23-26, 2015(8).
  9. 滕青, "流行音乐中'韩流'现象之反思", 哈尔滨工业大学学报(社会科学版), pp.148-152, 2010(1).
  10. 智研咨询集团, 2019-2025年中国在线音乐市场专项调查及发展趋势分析报告, 2018(10).
  11.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CNNIC), 第43次<<中国互联网络发展状况统计报告>>(제43회 '중국인터넷발전상황통계보고'), 2019.2.28.
  12. 徐娜, 华家蔚, "版权保护背景下大学生数字音乐消费市场研究-基于南昌市高校的调查研究," 东南传播, pp.84-86, 2018(2).
  13. CNSA, 2019中国网络视听发展研究报告(2019중국인터넷시청발전연구보고), 2019.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