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Intervention and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초임 특수교사들의 행동중재 경험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

  • 석숭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특수교육학 전공) ;
  • 전혜인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특수교육학 전공)
  • Received : 2019.07.31
  • Accepted : 2019.09.28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for behavior intervention and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mong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hem, and all interview resul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ed in 4 major themes follows: 'motivation', 'a series of choice', 'regret for intervention' and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lso, 9 sub themes follows: 'educational needs', 'living needs', 'starting intervention', 'process of intervention', 'results of intervention', lack of resources', 'lack of communication', 'new attempts', 'new areas'. During a discussion, requests for behavior intervention and awar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hich had been drawn in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suggested.

초임 특수교사들이 교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장애학생의 행동중재는 교직 적응 면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는 초임 특수교사들의 행동중재 경험과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통해 초임특수교사들에 대한 지원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이 2년 이하인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계기', '선택의 연속,' '중재에 대한 아쉬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의 대주 제 4가지가 도출되었다. 또한, 9가지 하위주제로는 '교육적 필요', '생활적 필요', '중재의 시작', '중재의 과정', '중재의 결과', '자원의 부족', '소통의 부족', '새로운 분야', '새로운 시도'가 도출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초임 특수교사의 행동중재에 대한 요구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상희,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이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방안 및 사례, pp.63-78, 2008.
  2. 방명애,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동향,"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방안 및 사례, pp.3-29, 2008.
  3.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사회성 발달의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제34권, 제2호, pp.227-256, 1999.
  4. G. Sugai, B. Simonsen, C. Bradshaw, R. Horner, and T. J. Lewis, "Delivering high quality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inclusive schools," In Handbook of Effective Inclusive Schools: Research and Practice, Taylor and Francis, pp.306-321, 2014.
  5. 김준규, 박희숙, 추성경,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6. 김은혜, 이효정,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연구 최신 동향: 2012-2017년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4권, 제1호, pp.217-237, 2018.
  7. 김창호, 최미점,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제5권, 제2호, pp.21-43, 2018.
  8. 권회연, 박중휘, 김미선,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및 인식," 재활복지, 제21권, 제4호, pp.77-99, 2017. https://doi.org/10.16884/JRR.2017.21.4.77
  9. 박근필, 학급차원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0. 우정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위험유아의 주의산만 행동과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유환조,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 양명희,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행동지원, 학지사, 2016.
  13. G. Dunlap, M. Hieneman, T. Knoster, L. Fox, J. Anderson, and R. W. Albin, "Essential elements of inservice training in positive behavior support,"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Vol.2, No.1, pp.22-32, 2000. https://doi.org/10.1177/109830070000200104
  14. P. A. Alberto and A. C. Troutman,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teacher, Prentice Hall, 2005.
  15. B. K. Scheuermann and J. A. Hall,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for the Classroom, (김진호, 김미선, 김은경, 박지연 역), 시그마프레스, 2007/2009.
  16. 조광순, 이인숙, "특수유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접근방법의 최근 동향 및 향후 과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6권, 제3호, pp.69-92, 2005
  17. G. Dunlap and L. Ker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the instructional curriculum, In J. Reichle & D. Wacker (Eds.), Communicative alternatives to challenging behavior: Integrating func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 Paul H. Brookes, 1993.
  18. G. Sugai, R. H. Horner, G. Dunlap, M. Hieneman, T. J. Lewis, and C. M. Nelson,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functional behavior support in school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Vol.2, No.3, pp.131-143, 2000. https://doi.org/10.1177/109830070000200302
  19. 강옥려, 장소아, "초등학교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실태 및 지원요구," 한국초등교육, 제20권, 제1호, pp.193-211, 2009.
  20. 문병훈,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활동참여행동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1. 조연길,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 김대용,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공격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3. 김정경,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자리이탈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김주원, 행동도표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성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5. 박성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자리이탈 행동과 지시 따르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배선화, 통합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7. 이민정, 부모-교사 협력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8. 이승호,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자폐성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9. 장세영,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문제 행동중재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0. 김지수, 김예리, 박지연,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1권, 제4호, pp.51-75, 2015.
  31. 최봉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경험과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2. 송민철, 홍재영, "저경력 특수교사의 수업 멘토링 경험에 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 권, 제20호, pp.1249-1280, 2018.
  33. 김민환, "수업에 관한 저경력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과정상의 주요 문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335-358, 2016.
  34. 황순영, "초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40권, 제4호, pp.185-210, 2006.
  35. 정정진, "특수교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6권, 제2호, pp.112-145, 2002.
  36. 김만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진단.평가 및 중재수업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p.173, 2016.
  37. J. Corbin and A.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grounded theory, Sag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