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re-employment attitudes of youth in their 20s dealing with an unemployment rate of more than 10%.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ttitudes for re-employment was analyzed by domain, and is based on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osed of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As a result, hope (3.64) was the highest on the scale; however, resilience (at 3.37) was the lowest. In the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university graduate group (3.89) was the highest. But, the high school graduate group (3.25) was the lowest. In the results for re-employment attitude based on education level, the university graduate group (4.93) was the highest, but the high school graduate group (3.80) was lowest.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re-employment attitude were (in order): hope, optimism,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se factors have an explanatory power for the four variables of around 25%. Overall, young adults (in their 20s) have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cause they have a higher education level. Also, higher educated re-employed applicants have hig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ttitudes for re-employmen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이 연구는 10% 이상의 실업률을 보이고 있는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로 구성된 긍정심리자본의 영역별 변인과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 방법은 일반 기술 통계량 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 4가지 영역별 변인 중 희망이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원력이 3.3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력 수준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분석에서는 대졸 초과 집단이 3.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졸 미만이 3.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학력수준에 따른 재취업 태도 분석에서는 대졸 집단의 재취업 태도가 4.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졸 미만이 3.8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재취업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희망,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복원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 4개 변인의 재취업 태도에 대한 영향력은 약 25% 정도였다. 20대 청년들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의 수치가 높아 고학력 재취업 희망자일수록 긍정심리자본과 재취업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