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xplore ways to create internal motivation to enhance the job dis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ould like to select parameters that may trigger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l motivations for interest in recent years: perceived organisational support, perceived provider support, and perceived peer support, and to explore the impact on job embeddedness.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embodiedness on involved beauty. The process also seeks to verify that China and South Korea are different.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of this research, we will use a questionnaire to researchers of automotive companies using VR technology in Gyeonggi-do, Korea and Hadong-seong, China, and conducted a survey. A total of 200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y subjects, 195 of which were retrieved, 191 of which eliminated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Embeddedness. Second, Job Embeddednes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ve Beehivior.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ill have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formation process and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of corporate employees in Korea and China are partly different, the report showed.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조직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 내적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내적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변수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을 선정하고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고 직무배태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은 중국과 한국은 차이가 있는 지롤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 경기도와 중국 하복성에 있는 VR기술을 활용한 자동차 기업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할 것이며,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들에게 총 200 쌍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195쌍이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191쌍이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직무배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배태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혁신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한국과 중국에 있는 기업 직원의 직무배태성의 형성과정과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