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茶山)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교육주체들의 관계 고찰 - 효(孝)·제(弟)·자(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Subjects in Dasan's 『Dàxuégōngyì』 -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

  • 투고 : 2019.07.15
  • 심사 : 2019.08.12
  • 발행 : 2019.08.31

초록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나타나는 교육 주체들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가 『대학공의(大學公議)』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궁극적인 실천윤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산의 『대학공의』는 그가 53세일 때 유배지인 강진의 다산초당에서 저술한 책으로써 특히 '공의(公議)'라는 명칭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대학공의』는 『대학』에 관한 다산의 공정하고도 공평한 견해라고 볼 수 있으며, 당시 보편화된 주자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의식이 전제된 것이기도 하다. 주자는 훈고(訓詁)에서 『대학(大學)』을 대인(大人)의 학문이라 풀이하여 어린이의 학문과 대소(大小)로 대조를 이루어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배워야 하는 학문으로 그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에 반해 다산은 『대학』을 가리켜 경문(經文)에서 말한 '태학의 도[太學之道]'는 태자를 가르치는 도이지, 분명 백성을 가르치는 도가 아니며, 이를 '태학의 도'라 말할 수는 있지만 '향학의 도[鄕學之道]'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하여 『대학』을 나라의 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소로써 해석한다. 또한 『대학』에서는 유학의 이념으로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至於善)의 삼강령(三綱領)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산은 『대학』의 실천윤리는 효·제·자(孝·弟·慈)이며 효·제·자야 말로 명덕(明德)이라고 풀이한다. 또한 효·제·자를 가리켜 백성을 효도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아들된 사람은 그 부모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공경으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동생 된 사람은 그 형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어린 사람은 그 웃어른에게 친하게 하며, 백성을 자애로써 가르치면 백성 가운데 어버이 된 사람이 그 자식에게 친하게 하고 백성 가운데 웃어른 된 사람이 그 어린 사람에게 친하게 한다. 그러므로 태학의 도는 친민(親民)에 있다고 하여, 주자의 신민(新民)을 부정하고, 효·제·자를 친민(親民)의 실천윤리로 제시한다. 다산은 임금이 이러한 효·제·자를 실천하면 백성에게까지 그 가르침이 미치어 백성들에게 또한 효·제·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효·제·자라는 대학의 실천윤리가 단지 나라의 태자에게만 교육되어져야 할 것이 아닌 백성들에게도 필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즉 효·제·자(孝·弟·慈)는 인륜(人倫)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듯 다산이 유학의 실천윤리로 제시한 효·제·자(孝·弟·慈)에는 『대학』에서의 교육적 내용과 교육적 관계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제·자(孝·弟·慈)가 인륜이라고 할 경우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적 관계들은 구체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가정 안에서부터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제·자(孝·弟·慈)에 내포되어있는 교육적 관계들의 주체와 객체를 구체화 시키는 것으로부터 우리는 다산이 『대학공의』에서 주장하고자 하였던 구체적인 실천윤리를 더욱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을 통하여 다산이 풀이한 『대학공의』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ethics of practice that Dasan Jung Yak-yong(1762-1836) argued at the book,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 agents of education. "Dàxuégōngyì", the book that Dasan wrote when he was 53 years old at his exiled place, Gangjin. As the title suggested, Dàxuégōngyì, it could be recognized as the impartial view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o Zhūxǐ(朱憙)'s opinion. Zhuxi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Great Learning 大學" as a study of the Great people and argued that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all the people should learn. On the other hand, Dasan claimed that "Tàixuézhīdào太學之道" in "Great Learning" is the study for the prince, not for the normal people. And he also interpreted "Dàxué 大學" as the school for teaching prince. In addition, "Great Learning" suggested the three practical principles; to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o renovate the people; and to rest in the highest excellence. However, Dasan argued different way and emphasized three ethics of practice; filial piety(孝), admiration(弟), mercy(慈) and regarded as illustrious virtue of "Great Learning." He denied the three principle of "Great Learning" that Zhuxi reorganized and suggested including renovating the people(新民), and provided that close to the people(親民) is one of the main principles of "Great Learning." According to Dasan, if the king practices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so that the people will practice these ethics voluntarily. In other words, he indicated that the practice of three ethics is not only for the prince in the loyal family, but also for principles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nation. Thus, three ethics by Dasan including filial piety, admiration, and mercy could b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humanity. In other words, Dasan's three ethics in "Great Learning" can be recognized as the practical principles including educational issues and educational interactions. If these three ethics can be referred as the symbol of humanity as mentioned above, the implicit educational interactions are specifically constructed within the basic assump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specific ethics of practice by the indicating specific subjects and objects in the educa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three ethics of practice. Also, it helps more clear comprehension about the "Dàxuégōngyì大學公議, The Public debate of Great Learning", by Dasan.

키워드

참고문헌

  1. 大學公議
  2. 大學講義
  3. 大學章句
  4. 茶山詩文集
  5. 孝經
  6. 孟子
  7. 금장태(2004). 도와덕:다산과 오규 소라이의 <<중용>>.<<대학>> 해석. 파주: 이끌리오.
  8. 박완식(1993). 대학.대학혹문.대학강어. 서울: 이론과 실천.
  9. 박완식(2010). 다산대학. 전북: 전주대학교 출판부.
  10. 백민정(2007). 丁若鏞철학에서 '孝弟'관념이 갖는 公的의미. 한국 실학연구 23.
  11. 백민정(2009). 正祖와 茶山의 대학에 관한 철학적 입장 비교. 퇴계학보 126권.
  12. 신지연(2007). 茶山의 다산에 대한 觀點과 解釋. 한문고전연구 15.
  13. 신창호(2001). 대학의 교육론 산책. 인천: 내일을 여는 책.
  14. 신창호(2007). 大學章句 序에 담긴 敎育의 體系 探究. 동양철학연구 제49집.
  15. 신창호(2010). 대학. 유교의 지도자 교육철학. 파주: 교육과학사.
  16. 신창호(2011). 백호 윤휴의 대학해석. 퇴계학 논총 제18집.
  17. 이성춘(1993). 茶山 丁若鏞의 天命思想과 人論. 범한 철학회 8.
  18. 이성춘(1996). 茶山 經書解釋과 天觀. 한국 종교사학회 4.
  19. 이을호(1974). 정다산의 대학공의. 서울: 명문당.
  20. 임옥균(2010). 주자와 일본 고학파의 대학 해석. 동양철학연구 제61집.
  21. 임옥균(2012). 주자학과 일본고학파.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2. 임재윤(1994). 茶山 經學思想의 敎育目的論的 理解. 한국 교육사학 제16집.
  23. 임헌규(2008). 朱子와 茶山의 대학에 관한 관점 비교(1):대학과 그 편제. 한국사상과문화45.
  24. 임헌규(2009). 朱子의 大學 관에 대한 茶山의 비판(2). 퇴계학과 유교문화.
  25. 오병문(2008). 대학공의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교육개혁사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지준호(2003). 大學公議를 통해 본 茶山 丁若鏞의 大學 觀. 한국철학논집, 한국철학사연구회, 12권.
  27. 한재훈(2012). 朱子의 '新民' 해석과 '道統論'의 함수관계. 한국 공자학회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