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교사의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The Need Analysis for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ourse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 투고 : 2019.08.09
  • 심사 : 2019.09.16
  • 발행 : 2019.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 시에 수행하게 되는 직무 내용을 도출하고 각각의 직무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교육 요구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직업계고 담당 교사의 직무 27개를 도출하고, 도출된 직무에 대하여 11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도출된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능력 정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는 조사도구를 작성하여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을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 예정인 직업계고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t검정, 보리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의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고, 교육 요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과정평가형 자격 과정 운영교 및 운영 예정교 교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순위 분석 결과 '자격 종목 선정 및 편성기준 확인, 교육훈련시간 편성, 교과목 편성 및 학년·학기별 능력단위 운영 계획 수립, 수업 자료 선정, 교육·훈련 실시, 평가 계획 수립, 평가 실시, 40%미만 이수자 재교육 및 재평가, 지필평가 지도, 실무평가 지도, 면접평가 지도' 직무가 최우선순위 직무로 나타났으며 '외부평가 원서 접수, 불합격자 재응시 지도'가 차우선순위 직무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 개설되는 과정평가형 자격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최우선순위의 직무 내용을 포함한다면 좀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운영 계획 단계의 직무들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과정 운영의 시작 단계부터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단순히 편성 기준에 맞추는 것에서 나아가 실제 수업이 가능토록 하는 역량 개발이 중요하다. 셋째, 외부평가 단계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므로 자격 종목별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진행 중 종목별 분반을 통한 심화 교육, 지필평가와 면접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s a basic data of establishing operating Course-bas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CNTQ) support program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operating CNTQ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and to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school settlement of CNTQ course. To achieve those purposes, this study drew 27 tasks performed by teachers operating CNTQ. Also, it surveye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ed that 'selection of qualification fields and confirmation of organization criteria, organization of educational training time by competency unit,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establishment of competency unit operating plan by grade and semester,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re-education and re-evaluation students with grades under 40%, guidance of paper evaluation, guidance of practical evaluation, guidance of interview evaluation' are the first priority tasks in the result of the need analysi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external evaluation, guidance to retake an exam for failure' are the secondary priority task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t will be more positive effects if the educational needs in the next CNTQ support program include contents of the first priority task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tasks of operating plan stages is commonly high. In particular, the highest ranking in the result means that it is completely supported from the first step on operating course.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which teachers on operating the course of similar qualification fields share each operating experience is effective. Third,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external evaluation step ranked high. External evaluation has a different level of difficulty and a form of practical evaluation output according to qualification fields, so the method of guidance has to be different. It needs the program constructed by similar field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2019). 2019년 시행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교육.훈련과정 지정 공고. 고용노동부 공고 제 2019-19호.
  2. 강순희 김안국, 박성재, 김주섭, 김승택, 김덕호, 정주연, 박충렬(2003).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3. 김상진, 조정윤, 박태준, 오혁제(2012).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안재영, 김종욱, 박동열, 백지영, 정훈섭(2017). 교육-자격을 연계한 과정평가형 자격 운영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이동임(2004). 자격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이동임(2017). NCS 기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 성과와 개선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이동임, 김덕기, 서유정, 정지운(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나 자격의 운영과 연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9. 조세형 외(2016). 과정평가형자격 운영실태 및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한국법제연구원(2018). 국가자격제도의 분류, 현황 및 문제점. 워크숍 자료집
  11. 한국산업인력공단(2017). 2018년 과정운영기관 지정을 위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설명회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
  12. 한국산업인력공단(2017). CQ-Net_운영기관 매뉴얼(과정평가형 부분을 발풰하여 제시). 한국산업인력공단.
  13. 한국산업인력공단(2017). 과정평가형 자격 국가기술자격 직무역량 강화 교육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
  14.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 2017년도 과정평가형 자격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6. Doris McGartland Rubio, Marla Berg-Weger, LCSW, Susan S. Tebb, E. Suzanne Lee, Shannon Rauch.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https://doi.org/10.1093/swr/27.2.94
  17.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