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UX 디자인 평가 접근 방법

UX Design Evaluation and its Approach to Mobile Applications for Smart Appliances

  • 류시천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
  • 최진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
  • 심미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 투고 : 2019.08.01
  • 심사 : 2019.08.24
  • 발행 : 2019.09.30

초록

사용자 기대에 부응하는 UX 디자인 구현 여부가 스마트 가전의 차별화를 결정짓는 중요 변수가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가전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과정에서 UX 디자인 평가 문제를 다루었다.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 레인지 후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UX 디자인 평가 내용을 실험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은 스마트 가전 애플리케이션의 UX 디자인 사용자 평가 방법의 의의를 탐색하고 더불어 정량적 정성적 평가 방법의 혼용이 UX 디자인 개발 과정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평가를 통해 UX 디자인 개선 방향이 구체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UX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 평가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UX 디자인 평가에서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의 혼용이 상호 보완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UX 디자인 평가 과정에서 정량평가와 정성평가의 역할을 구분하여 접근하면 효율적이다. 예컨대, '허니콤 모델' 등의 정량평가를 통해 <사용자 경험 촉진/저해 발생 속성>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사용자 심층 인터뷰' 등의 정성평가를 통해 <사용자 경험촉진/저해 발생 속성 가운데 구체적인 서비스 기능 문제 요소>를 '측정'하고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Implementing UX design that meets user expectations has become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prominence of smart home appliances. This study addresses the UX design evaluation issues in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of smart home appliance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subject, the UX design evaluation contents were set up for the mobile application of , the demand of which is surg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UX design user evaluation method in smart home applications, and to suggest how to achieve the mixing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user evaluation can positively impact the direction of UX design. Secondly, we found that the mixing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orks complementarily to UX design evaluation.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UX design evalu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s long as we distinguish between the roles of quantitative evalu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For example,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such as 'Honeycomb model',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exploratory', and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such as 'in-depth user interview', can be identified in terms of 'assessment' and 'valid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완, "웹 개발자의 웹 접근성지침 준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1. 5
  2. 문재승 외, "사용자경험과 서비스 변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황이판, 김형우, "Interface Assessment를 통한 액티브 시니어의 사용자 경험 분석," 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4호, 79-87쪽, 2017년 12월
  4. Marcus, A., Schieder, T.K., and Cantoni, L., "The Travel Machine: Mobile UX Design That Combines Information Design with Persuasion Desig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1, no. 8015, 2013
  5. 박지영, "사용자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에 관한 연구: 스마트 tv 리모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6. 류시천, 이건표,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소고: 디자인 평가기법의 분류와 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인쇄물, ID KAIST, 304-353쪽, 1993
  7. 김수연, "휴리스틱 평가에 의한 인터넷 쇼핑몰의 웹 유저빌리티 향상을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8. McDonald, S., McGarry, K., and Willis, L.M., "Thinking-Aloud About Web Nav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Aloud Instructions, Task Difficulty and Performance," CA;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vol. 57, 2013.
  9. Carusi, A. and Mont'Alvao, C., "Co-discovery Method and Its Application with Children as Research Subjects," Communications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vol.-, no. 173, 2011.
  10.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11. P. Morville, "Ambient Findabilit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54, no. 6, pp. 623-626, 2006. https://doi.org/10.1007/s11423-006-06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