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경』 「행록」편 연구

Research on the Chapter Titled "Hangnok" from The Jeon-gyeong

  • Ko, Nam-sik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투고 : 2019.04.30
  • 심사 : 2019.06.15
  • 발행 : 2019.06.30

초록

이상호는 구천상제에 대한 기록으로 최초로 1926년 『증산천사공사기』를 발간했으며, 3년 뒤 다시 자료를 보완 증보하여 경전의 형태를 띤 『대순전경』을 발간하였다. 이후 『대순전경』은 1965년 6판까지 증보 간행되었다. 『전경』의 「행록」편(編)은 상제의 강세와 화천까지를 기록한 부분이다. 「행록」은 연도별로 되어있으며 5개 장(章)이다. 「행록」은 상제의 전 생애를 기록한 것으로 그 구절은 『전경』의 다른 편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다. 이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 하에 기술되었다. 첫째 상제의 전 생애가 축약되어 기록된 「행록」 구절의 내용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둘째로 「행록」 구절이 『전경』의 다른 6개 장(章)과 그 내용상의 상관성이 어떠한가를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행록」 구절의 변이를 『대순전경』 (1965)과 비교하여 논의해 보았다. 「행록」의 내용을 『대순전경』과 비교해 보면 「행록」에만 있는 구절들이 있는데, 먼저 그것은 강씨성의 유래에서 강신농으로부터 상제께서 강세한 고부에 강씨가 어떻게 살게 되었는가를 설명한 부분이다. 이는 상제께서 인간 세상에 강(姜)씨로 오고 신격위에 강성(姜聖)이 있는 면에서 기술되어야 할 중요한 기록이다. 또 상제께서 강세한 지역에 삼신산(三神山)이 있고 강세지의 명칭이 변천한 것은 신이한 면이 있지만 두 기록은 대순사상과 깊은 상관성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시루산 공부에 관한 기록이다. 『대순전경』에는 시루산 공부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다. 따라서 3년간의 주유(周遊) 이후 천지공사 이전 상제의 행적에 있어 시루산 공부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주는 전승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경』의 기록만이 상제의 시루산 공부에 대해 유일하게 비중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백의군왕 백의장군 도수, 상제의 화천 등에서도 『전경』의 내용은 『대순전경』과 다른 면모에서 변이상 차이점을 보여준다.

Lee Sang-ho published Jeungsan Cheonsa Gongsagi (Records of the Holy Works of Celestial Master Jeungsan) in 1926. Then, after complementing the book with additional materials, he published Daesoon Jeon-gyeong in the form of a religious scripture. Since then, Daesoon Jeon-gyeong has been expanded to a sixth edition which was published in 1965. The Haengnok of Daesoon Jinrihoe's The Jeon-gyeong, which was published decades later than Daesoon Jeon-gyeong describes Sangje's whole life year by year in five chapters starting from his descent to the human world all the way to his passing into heaven. It comprehensively contains the essential contents of other chapters from The Jeon-gyeong. This paper was written for the following three goals: first, to study the contents of Haengnok that summarize Sangje's life. Second, to see how its contents are related to descriptions from the other six chapters. Lastly, to discuss how certain verses have been changed from the way they appeared Daesoon Jeon-gyeong. When we compare these two scriptures, there are some verses that are found only in the Haengnok section of The Jeon-gyeong. For example, the verse that explains how Sangje's family name 'Kang' originated and how his ancestors came to live in Gobu area is described only in The Jeon-gyeong. The origin of the family name Kang is considered important because he descended into the world as a human bearing the family name Kang, and it is included in his official name that represents his divine position. Also, unique to The Jeon-gyeong are verses such as those describing "Samsin San (the three holy mountains) in the area where Sangje descended to and verses about the historical change of place names in the areas where Sangje lived. These verses have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ir mystical aspects within Daesoon Thought. Secondly, the record about Sangje's Holy Works at Siru Mountain in The Jeon-gyeong is not found in Daesoon Jeon-gyeong. The Holy Works at Siru Mountain are important because they provide proof of Sangje's major activities during the period between his 3-year travel around the country and his Cheonji-gongsa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Next to be observed are some changes in verses that can be seen when comparing The Jeon-gyeong to Daesoon Jeon-gyeong. Of particular impostance here are the story of Sangje's Holy Work called 'King in White Cloth and General in White Cloth' and the description of Sangje's passing into heaven. Both records contain key changes that distinguish The Jeon-gyeong from Daesoon Jeon-gyeong.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2.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 상생사, 1926.
  3. 이상호, 『대순전경』 6판, 서울: 동도교증산교회본부, 1965.
  4.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5. 고남식, 「천지공사를 중심으로 본 『전경』과 증산 관련 경전의 경향」, 『신종교연구』 16, 2007.
  6.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http://doi.org/10.21457/kars..50.200803.247
  7. 고남식, 「『전경』 「교법」편 연구」,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doi.org/10.25050/jdaos.2016.26.0.1
  8. 고남식, 「『전경』 「공사」편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doi.org/10.25050/jdaos.2018.30.0.163
  9. 김 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 성남: 정신문화연구원, 1986.
  10. 양은용, 「증산교의 성립과 증산천사공사기」, 『한국종교』 30, 2006.
  11.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