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ology and the Features of Films about New Religious Movements

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

  • Received : 2019.10.31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some important issues in films about new religious movements (NRMs) that express and represent NRMs in sensationalistic ways and criticize them as immoral and antisocial cults. I presented a typology to analyze films about NRMs from the perspective of marginalized religions separated from established religions and also as alternative religions that replace the established religions. In recent times, films about NRMs have changed from being social criticisms that represents NRMs as perpetrators of brainwashing and the need for deprogramming to that of faithful participation and empathetic reflection. Films about NRMs that utilize empathetic reflection, including Wild Wild Country (2018), go beyond the normative, single-perspective formula to enable insiders to conduct self-reflection and outsiders to empathize through openness, varied perspectives with multi-faceted composition and polyphony. In contrast, films about NRMs that adopt the perspective of faithful participation, including The Road to Peace (1984), present a new visual way to unravel the voices of silenced subalterns with alternative religious visions and those who needed relief from the marginalization due to alienation or exclusion from established religions. In the Korean context, these visions are expressed as 'the great transformation into the creation of a paradise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or a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이 글은 신종교운동을 비도덕적이고 반사회적인 소종파(cult)로 비판하면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방식으로 영상화하여 소비하는 신종교영화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신종교운동을 기성종교에서 벗어나려는 소극적 주변종교와 기성종교를 대체하려는 적극적 대안종교의 관점에서 신종교영화를 분석할 수 있는 유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신종교현상의 반사회적 일탈을 강조하면서 세뇌와 탈세뇌의 관점에 치우친 사회비평형 신종교영화와는 달리,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신종교영화의 새로운 유형으로 공감성찰형 신종교영화와 신앙참여형 신종교 영화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전개하였다. <오쇼 라즈니쉬의 문제적 유토피아>(2018)를 비롯한 공감성찰형 신종교영화들이 규범적인 단일 프레임을 넘어서서 다면적인 구성과 다성적인 목소리를 갖춘 열린 프레임을 통해 내부자의 자기성찰과 외부자의 타자공감이 가능하도록 한 반면, <화평의 길>(1984)을 비롯한 신앙참여형 신종교영화들은 후천개벽이나 해원상생 등의 대안종교적 비전을 통해 기성종교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되었던 주변인들의 원한을 풀고 말할 수 없었던 하위주체들의 목소리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영상적 방식을 선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회보』
  3. 강돈구, 「신종교연구서설」, 『종교학연구』 6, 1987.
  4. 김태연, 「'신종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31, 2017. http://uci.or.kr/G704-SER000003135.2017.31.31.007
  5. 마 프렘 순요, 『오쇼, 삶의 기록』, 손민규 옮김, 서울: 태일출판사, 2013.
  6. 바흐찐, 미하일,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이덕형 옮김, 서울: 아카넷, 2001.
  7. 박인규, 「일제강점기 증산계 종교운동 연구- 차월곡의 보천교와 조정산의 무극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8. 박종수, 「한국 종교영화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한국예술연구』 13, 2016.
  9. 박종천, 「영화가 종교를 만났을 때-김기덕의 <봄여름가을겨울그리고봄 (2003)>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44, 2006.
  10. 박종천,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종교문화연구』 22, 2014. http://uci.or.kr/G704-SER000002978.2014..22.006
  11. 박종천, 「현대 영화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상상력- <라이프 오브 파이>와 <셰이프 오브 워터>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1, 2018.
  12. 신광철, 「신종교와 영화 1: 임권택 감독의 영화 <개벽>의 경우」, 『신종교연구』 7, 2002.
  13. 신광철, 「한국 종교영화의 현황과 전망」, 『한국종교』 28, 2004.
  14. 신상미, 「영화 "평화의 길"이 만들어지기까지」, 『대순회보』 140, 2013.
  15. 안 신,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사상에 대한 이해-영화 <화평의 길>(1984)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109
  16. 오쇼, 『오쇼 자서전』, 김현국 옮김, 서울: 태일출판사, 2003.
  17. 우혜란, 「대순진리회 관련 미디어 담론의 분석」, 『종교연구』 78-2, 2018.
  18. 유지선. 정재형, 「소노 시온(園子温) 영화의 원적 세계와 다성성(polyphony)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 75, 2018.
  19. Baugh, Lloyd, Imaging the Divine: Jesus and Christ Figure in Film, Franklin, WI: Sheed and Ward, 1997.
  20. Dawson, Lorne L. ed., Cults and New Religious Movements: A Reader,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2003.
  21. King, Winston L., Introduction to Religi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New York: Harper & Row, 1968.
  22. Lyden, John C., Film as Religion: Myths, Morals, and Rituals,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3.
  23. Lyden John C. ed., The Routledge Companion to Religion and Film, London: Routledge, 2009.
  24. Marsh, Clive and G. W. Ortiz eds., Explorations in Theology and Film, Oxford, U.K.: Blackwell, 1997.
  25. Martin, Thomas M., Images and the Imageless: A Study in Religious Consciousness and Film, Lewisburg: Bucknell University Press, 1981.
  26. Milne, Hugh, Bhagwan: The God That Failed,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27. Richardson, James T. ed., Regulating Religion: Case Studies from Around the Globe,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04.
  28. Shepherd, David J. ed., The Silents of Jesus in the Cinema(1897-1927), New York: Routledge, 2016.
  29. Stein, Stephen J., Communities of Dissent: A History of Alternative Religions in Americ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0. Tatum, W. Barnes, Jesus at the Movie: A Guide to the First Hundred Years and Beyond, 3rd edition, Salem, Oregon: Polebridge Press, 2013.
  31. Urban, Hugh B., Zorba the Buddha: Sex, Spirituality, and Capitalism in the Global Osho Movement, Oakland,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32. Richardson, James T., "Cult/Brainwashing Cases and Freedom of Religion", Journal of Church and State 33-1, 1991.
  33. Robbins, Thomas and Dick Anthony, "Deprogramming, Brainwashing and the Medicalization of Deviant Religious Groups", Social Problems 29-2, 1982.
  34. 강대진 감독, <화평의 길>, 신한영화주식회사, 1984.
  35. 임권택 감독, <개벽>, 춘우영화사, 1991.
  36. 전주 MBC 편, <강증산: 이제는 상생이다>, MBC, 1997.
  37. Allen, Will, <거룩한 지옥(Holy Hell)>, NETFLIX, 2016.
  38. Gandhi, Vikram, <쿠마레(Kumare)>, 2011.
  39. Gibney, Alex, <정화: 사이언톨로지와 신앙의 감옥(Going Clear: Scientology and the Prison of Belief)>, NETFLIX, 2015.
  40. Way, Maclain and Chapman Way, <오쇼 라즈니쉬의 문제적 유토피아 (Wild Wild Country)>, 전6편, NETFLIX, 2018.
  41. 《쿠마레 영화상영 홈페이지》http://kumaremovie.com/ (2019. 9. 1. 접속)
  42. 《쿠마레 홍보 홈페이지》http://www.kumare.org/ (2019. 9. 1. 접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