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cept of Tao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Lee, Jee-young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Korean Philosophy and Culture) ;
  • Lee, Gyung-won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19.10.31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Dao'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as it is the main term for 'ultimate reality' in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o' is essential to reach the state of 'Perfected Unification with Dao,' the ultimate aspiration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Dao' can vary such as 'Dao' meaning 'w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Jinwen. There is also the 'Dao' of yin and yang, and Dao used to mean human obligation, or Dao meaning the way of Heaven.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and the Dao of Sangsaeng. Every natural phenomenon of birth, growth, and death in the universe operates under the patterns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Constant Dao in Daesoon Thought is the ultimate pattern underlying human action and the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 These apply not only to the natural and the divine world but also to the human world.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natural law or moral symbol of the world, 'Heavenly Dao' means the great Dao that saves the world through the Daesoon Truth of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Divine Dao can be said to be 'the Dao by which man must complete his work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will of God,' that is, 'the Dao by which God and man are united together by Sangje's heavenly order and teaching, which aims for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en the world is in a state of calamity and crisis, the request for the saint's Dao can symbolized by the kings, Yao and Sh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The saint's Dao saves the dying world and people's lives and is called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濟生醫世)'. It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Dao in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human obligation to follow Sangje's order, the great Dao to save the world. The Dao of Sangsaeng is the true dharma that rectifies the world full of mutual conflict through the ethics of the Later World, which is to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 and to practice the human Dao that saves the world and rebuilds the Constant Dao. Thus, The concept of Dao in Daesoon Thought is Daesoon Truth which applies to and operates throughout all realms of Heaven, Earth, Humanity, and the Divine world. Dao in Daesoon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and this can be seen in its ideological features. It embr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ao, which refers to the Chinese classics and represents the main schools of thought in East Asia: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it is unique in that it implies the will of Sangje as a religious object, a supreme being. It can be seen that Daesoon Thought h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the concept of Dao by harmonizing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Korean religious thought.

'도(道)'는 동아시아 종교 사상의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를 나타내는 주요한 용어이다. 대순사상이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道)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경(典經)』에는 금문(金文)에 처음 등장하는 '길'로서의 도에서부터 음양(陰陽)의 도, 인도(人道), 천도(天道) 등 각기 다양한 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상도(常道), 천도(天道), 신도(神道), 인도(人道), 상생(相生)의 도 다섯 가지 '도'로 분류하였다. 우주만물의 생성과 성장, 소멸하는 모든 자연현상은 천지자연의 이치이다. 따라서 대순사상에서의 상도는 자연계와 신계뿐만 아니라 인간계에도 적용되는 영원불변의 진리이자 천지의 운행 법칙으로 인간의 행위에도 궁극적인 준칙이 된다. 천도(天道)는 천을 주재하고 통제 관장한다는 관점에서 구천상제의 '대순진리'이자 세상을 구제하는 '제세대도'라고 본다. 신도는 모사재천 성사재인에 의해 '신의 법칙과 뜻에 따라 인간이 일을 완성해야 하는 도' 즉 '상제의 천명에 의해 신과 인간이 인의예지를 지향점으로 함께 신인합일을 이루는 도'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이 우환과 위기에 빠졌을 때 요청되는 성인의 도를 『전경』에서는 요순의 도로 상징하고 있다. 진멸해 가는 세상에서 천하를 구하고 창생을 구제하는 대순사상의 성인의 도는 '제생 의세(濟生醫世)'라 한다. 제생의세는 구천상제의 천명인 제세대도를 따르는 인간의 도리라 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의 인도(人道)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상생의 도는 '상도를 다시 세우고 제생의세의 인도를 펼치는 도'이며 남을 잘되게 해야 내가 사는 후천의 윤리로 상극적 세상을 바로 잡는 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천계와 지계, 신계와 인간계 모든 곳에 치우침 없이 적용되고 작동되는 구천상제의 제세대도로서 대순진리라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도는 그것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을 담고 있다. 중국 고전에서 말하는 도와 동아시아의 사상을 대표하는 유·불·도에서 전개하는 도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특별히 신앙대상으로서의 상제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보인다. 대순사상은 도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근대의 민족종교사상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갈래를 조화하고 발전시키면서 전개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노자지략』
  5. 『이정유서』
  6. 『전습록』
  7. 『주역계사』
  8. 『주자어류』
  9. 『한비자』
  10. 『논어』
  11. 『도덕경』
  12. 『맹자』
  13. 『순자』
  14. 『역경』
  15. 『역전』
  16. 『중용』
  17. 『사기』
  18. 『서경』
  19. 『장자』
  20. 『춘추좌전』
  21. 『사마천 사기』
  22. 『서경』
  23. 동아출판 편집부, 『동아 새 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 2018.
  24. 민중서림편집국, 『한한대자전』, 파주: 민중서림, 2013.
  25.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대사전』, 익산: 원불교출판사, 2013.
  26. 김학목, 『노자도덕경과 왕필의 주』, 서울: 홍익출판사, 2014.
  27.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음양합덕의 원리」, 『대순사상논총』 2,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2..015
  28.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서울: 광륵사, 2015.
  29.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30. 김방룡, 「도통진경과 그에 이르는 길」,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1. 김충열, 『노자강의』, 서울: 예문서원, 2004.
  32. 김홍철, 「도통진경의 원리와 실상」, 『대순진리학술논총』 5 , 2009.
  33. 박광수, 「도통진경의 이상적 세계관」,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4. 박기봉, 『한자정해』, 서울: 비봉출판사, 1996.
  35. 박승식, 「도통진경의 종교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5
  36. 박용철, 「도통진경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4
  37. 손흥철. 박용석, 『노자와 공자의 도 개념과 사회정의 고찰』, 『동양고전연구』 66, 2017. https://doi.org/10.16880/SEC.2017.66.08.227
  38. 신철균, 「도통진경의 이해와 그 실현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9.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3
  40.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41. 유승종, 「도통진경의 연원과 사상적 특징」,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10
  42. 유재갑, 「도통진경의 실현: 천지인의 합일」,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43.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4
  44.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9
  45. 이경원,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 도서출판 문사철, 2010.
  46. 張立文, 『도(道)』,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
  47.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서울: 예문서원, 2018.
  48. 주현철, 「도통진경의 실천적 배경」,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17
  49. 최동희, 「도를 통한 참된 경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2
  50. 최동희, 「도통진경의 종교적인 의미」,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51. 최상용, 『도덕경: 노자도덕경 하상공장구』, 고양: 일상이상, 2018.
  52. 한동균, 「왕양명 심학에서 '심'의 의미 연구」, 「양명학」 23, 2009. https://doi.org/10.17088/tksyms.2009..23.003
  53. 《전경용어사전》http://www.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