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Barriers and Resolution Priority of Sea-Rail Multimodal Logistics among Korea and Eurasia Nations

한국-유라시아간 해륙복합운송 문제점 및 해결 우선순위 분석

  • 이언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
  • 이수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
  • 김보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
  • 어승섭 (해랑기술정책연구소 경제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9.05.31
  • Accepted : 2019.06.21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anmunjom Declaration adopted by the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on April 27, 2018, has created an environment conducive for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June of last year, South Korea has joined the Organization for Cooperation between Railways (OSJD). The membership of OSJD has established a solid foundation for restoring a multimodal logistics system that connects the Korean peninsula to Eurasia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Russia.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working-level experts was conducted to find the barriers in constructing multimodal logistics that efficiently connect the port-continental railway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urasian nations. Survey item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border crossing procedures, technology, facilities, operation, and government support. As a result, among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international multimodal logistics in Eurasia that need to be solved on priority include improving transshipment facilities, eliminating inspection carried out at every country for transit, simplifying documents for customs clearance, and minimizing the changes in freight rates. In conclusion, for vital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ntinental railway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nsshipment system to facilitate the changes in tracks at the borders by making a joint effort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cond, railway and operational systems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should be standardized. Third,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is essential for simplifying customs clearance at borders, priority departure of domestic cargo,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freight rates, and so on.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measures to secure the quantity of cargo required to form block trains, while developing new business models.

2018년 남북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으로 한반도의 평화 및 협력 분위기가 조성되고, 그해 6월에는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가입으로 한반도를 포함하여 중국, 러시아 등 유라시아와 연계하는 복합물류체계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와 유라시아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복합물류 네트워크 구축하는데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대륙철도를 이용하고 있는 실무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항목은 국경통과 절차, 기술, 시설, 운영, 정부지원 측면 등 5가지로 나누어 애로정도와 해결 우선순위 점수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한국-유라시아간 국제 복합운송 문제점 중에서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환적 시설을 개선하고, 통과국마다 검사하는 것을 폐지하고 통관서류를 간소화해야 하며, 운임변동을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 등이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한반도와 대륙철도 연계 및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국경에서의 궤간 변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환적 시스템 개발을 국제 공동으로 실시해야 하고, 둘째 남 북 중 러 철도시설 및 운영시설을 표준화해야 하며, 셋째, 통관간 소화, 정기 발차, 운임 변동 정보 공유 등을 위한 남 북 중 러의 국제협력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정부 차원에서 블록트레인 구성을 위한 물량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기.이희용(2005), 항만 인입철도의 구축을 통한 국제물류네트워크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무역학회지, 제30권, 제6호, p.221-246.
  2. 국토교통부 복합운송 활성화 간담회 발표자료(2018), 현대글로비스 시베리아횡단철도(TSR) 활용현황 소개.
  3. 김기수.이성우.김아롬.서영준(2019), 극동러시아 TSR을 활용한 복합운송의 장애요인과 북방물류 활성화 방안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21권 제1호, 285-311.
  4. 김재진.이광근.조진행(2016), 북극해 항로시대와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에 관한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4호, 109-126.
  5. 나희승 외(2015), 남북 및 대륙철도 연계를 위한 화물운송시스템 및 환적최적화 기반기술 연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6. 박민철.서종원(2017), 유라시아 화물운송수단선택 특성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제20집 제5호, 683-691.
  7. 박창호.안승범.김형일(2007), 한.중간 열차페리운행에 관한 연구-수도권 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2호, 87-107.
  8. 박호신.홍승린(2014), 한반도 통합물류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세학회지, 제15집 제3호, 277-301.
  9. 서사범(2009),북한철도의실상, 대한토목학회지, 제 57권 제 1호, 112-115.
  10. 서종원.박민철.한은영.양하은(2017), 유라시아 국제운송로 물류여건 및 수요조사 분석(2차년도),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257.
  11. 신상화.노영예.양지영(2017), 주요교역국의 통관제도: 러시아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12. 신승진.노홍승.허성호(2018), 유라시아 교통물류 네트워크 기반 구축을 위한 한국적 시각에서의 정보공유 플랫폼 도입방안, 한국IT학회논문지, 제17집 제5호, 100-116.
  13. 오가영.이재은.위상우(2018), 유라시아 랜드브리지 활용을 위한 TKR 연결 전략 수립, 물류학회지, 제28권 제2호, 77-89.
  14. 이승규 외(2018), 2017년 기술수준평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5. 이언경 외(2018), 항만-대륙철도(TKR등) 연계 복합물류망 구축 위한 기반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6. 즈비그뉴 브레진스키(2017), 거대한 체스판: 21세기 미국의 세계 전략과 유라시아, 문형사.
  17. 최한별.최석범(2016), 유라시아이니셔티브에서의 철도운송 네트워크 효율화 방안, 물류학회지, 제28권 제2호, 77-89.
  18.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5), KMI 극동러시아 동향 리포트, 2015년 제1호
  19.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16년 해양수산 기술수준 분석보고서
  20. KOTRA(2016), 러시아 국가정보
  21. https://www.yna.co.kr/view/GYH20180529001400044
  22. Hisako, T.(2002). The Role of the Russian Far east in International Container Transportation Using the trans-Siberian Railway. ERINA REPORT, 48.
  23. Jakub Jakoobowski, Konrad Poplawski, and Marcin Kaczmarski(2018), The Silk Road-The EU-China Rail Connections: Background, Actors, Interests, OSW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