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os at Gwangyang Bay, Korea

남해안 광양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계절별 분포 특성

  • 이희갑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환경연구센터) ;
  • 강태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연구센터) ;
  • 노현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환경연구센터) ;
  • 김동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태연구센터)
  • Received : 2019.05.03
  • Accepted : 2019.07.26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eas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eiobenthic communities to understand the benthic ecosystem of Gwangyang Bay, one of the representative bay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faunal sampling was conducted eight times seasonally at 20 stations from 2010 to 2011. Among the meiobenthic fauna that appear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ematodes and harpacticoids were the most dominant. In the summer of 2011, the lowest density ($13ind.10m^{-2}$) was seen at station 10 on the inner part of the bay. In the winter of 2011, the highest density ($3,109ind.10m^{-2}$) was seen at station 4 on the inner part of the bay. Although the trend of seasonal changes in density was not clear, the meiobenthic community was seen to be affected mor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season. Particularly, while the density of the harpacticoids, a dominant faunal group,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organic content and average particle size in the summer sediments (p<0.05, p<0.01), the density of the nematod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except with the winter average particle size and the bottom layer's water temperature. The density change of meiobenthos showed irregular changes in Gwangyang Bay, instead of a general trend showing a low density in winter due to low water temperature but an increased density in spring and summ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and a decreased one again in fall. Considering such a seasonal trend, it seems that the benthic ecosystem of Gwangyang Bay is affected more by artifi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n by natural environmental ones.

본 연구는 남해안의 대표 만 중에 하나인 광양만에서 저서생태계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2010 ~ 2011년까지 20개 정점에서 계절별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저서동물 분류군 중 선충류와 저서성 요각류가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011년 여름에 만 내측 정점 10에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냈으며($13ind.10m^{-2}$), 2011년 겨울에 만 내측 정점 4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3,109ind.10m^{-2}$). 서식밀도의 계절적 변동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조성은 계절별로 환경요인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 분류군인 저서성 요각류의 서식밀도는 여름철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 및 평균 입도와 음의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p<0.05, p<0.01), 선충류의 서식밀도는 겨울철 평균 입도와 저층 수온을 제외하고 환경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형저서동물의 일반적인 서식밀도 변동 경향은 겨울철 낮은 수온에 의해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다 수온이 높아지는 봄철과 여름철에 증가하고 가을에 감소하는 경향과는 다르게 광양만은 일정한 경향 없이 불규칙한 변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계절적 변동 경향으로 미루어 광양만의 저서생태계는 자연적인 환경요인 보다는 인위적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욱, 김동성, 민원기, 노현수, 홍재상, 2011. 서해 장봉도 인근 사질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Oce. Pol. Rea., 33(3): 193-209. https://doi.org/10.4217/OPR.2011.33.3.193
  2. 김동성, 제종길, 신상호, 2000. 가막만의 중형저서생물을 활용한 오염모니터링. 한국수산과학회지, 33: 307-319.
  3. 신현출, 고철환, 1990. 광양만 다모류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5: 205-216.
  4. 유진호, 조현서, 유영석, 박정채, 김용옥, 2008. 2007년 광양만의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 변동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전남대학교둔덕 캠퍼스. 여수. 2008년 5월 22일, 133-136.
  5. 이희갑, 민원기, 노현수, 오제혁, 김동성, 2016. 남해안 여수 가막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34(2): 79-90.
  6. 임현식, 최진우, 최상덕, 2012. 광양만 북부 수어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7(2): 76-86.
  7.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5. 광양만 조하대의 두 다모류 군집구조의 시간에 따른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0(5): 390-402.
  8. 정래홍, 홍재상, 이재학, 1997.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 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0(5): 730-743.
  9. 조은섭, 황재동, 한인성, 서영상, 2013. 광양만의 장기 모니터링에 따른 연간 수질 변동. Kor. J. Nat. Con, 7(2): 83-98. https://doi.org/10.11624/KJNC.2013.7.2.83
  10. 최진우, 유옥환, 이우진, 2003.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1): 14-28.
  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0. 남해 특별관리해역 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1단계 1차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BSPE 98463-2251-3, 27 pp.
  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2. 남해 특별관리해역 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1단계 2차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BSPE 98582-10041-3, 33 pp.
  13. 한국해양연구원, 2003. 남해 특별관리 해역의 환경오염 관리 모델 연구. (1) 광양만 중심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PE83600, 85 pp.
  14. Bruce, C.C., 1985. Long-term variability of estuarine meiobenthos: an 11 year study. Mar. Ecol. Prog. Ser., 24: 205-218. https://doi.org/10.3354/meps024205
  15. Choi, J.W. and C.H. Koh, 1984.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19: 153-162.
  16. Coull, B.C. and G.T. Chandler, 1992. Pollution and meiofauna: field, laboratory and mesocosm studies. Oceanogra. Mar. Biol., 30: 191-271.
  17. Danovaro, R., A. Dinet, G. Duneveld and A. Tselepides, 1999. Benthic response to particulate fluxes in different tropic environments: a comparison between the gulf of Lions Catalan Sea (Western Mediterranean) and the Cretan Sea (Eastern Mediterranean). Prog. Oceanogr., 44: 287-312. https://doi.org/10.1016/S0079-6611(99)00030-0
  18. Grove, S.L., P.K. Probert, K. Berkenbusch and S.D. Nodder, 2006. Distribution of bathyal meiofauna in the region of the subtropical front, Chatham Rise, south-west Pacific. J. Exp. Mar. Biol. Ecol., 330(1): 342-355. https://doi.org/10.1016/j.jembe.2005.12.038
  19. Heip, C., 1980. Meiobenthos as a tool in the assessment of marine environmental quality. Rapp. P. -V. Reun. Cons. Int. Explor. Mer., 179: 182-187.
  20. Higgins, R.P. and J.W. Fleeger, 1980. Seasonal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Echinoderes coulii (Kinorhyncha). Est. Coast. Mar. Sci., 10: 495-505. https://doi.org/10.1016/S0302-3524(80)80071-5
  21. James, W.N. and Mark, D.B., 2004.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Per. Edu. Inc., 592 p.
  22. McIntyre, A.D., 1969. Ecology of marine meiobenthos. Biol. Rev., 44: 245-290. https://doi.org/10.1111/j.1469-185X.1969.tb00828.x
  23. Moore, C.G. and B.J. Bett, 1989. The use of meiofauna in marine pollution impact assessment. Zool. J. Linn. Soc., 96: 263-280. https://doi.org/10.1111/j.1096-3642.1989.tb02260.x
  24. Raffaelli, D., 1987. The behaviour of the nematode/copepod ratio in organic pollution studies. Mar. Env. Res., 23: 135-152. https://doi.org/10.1016/0141-1136(87)90042-0
  25. Robert, B., 2001. An improved protocol for separating meiofauna from sediments using colloidal silica sols. Mar. Ecol. Prog. Series, 214: 161-165. https://doi.org/10.3354/meps214161
  26. Sandulli, R. and M. De Nicola, 1990. Pollution effects on the structure of meiofauna communities in the bay of Naples. Mar. Pollut. Bull., 21: 144-153. https://doi.org/10.1016/0025-326X(90)90550-R
  27.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onis. Press. Urban., 177 p.
  28. Shirayama, Y., 1983. Size structure of deep-sea meio- and macrobenthos on the western Pacific. Int. Revue. Ges. Hydrobiologia, 68: 799-810. https://doi.org/10.1002/iroh.3510680605
  29. Shirayama, Y., 1984. The abundance of deep-sea meiobenthos in the western Pacific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Oeanologica. Acta, 7: 11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