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종민, "페이스북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231-23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231
-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한국방송진흥공사, 2018.
- 김종민, 김승준, "모바일광고 유형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제27권, 제4호, pp.165-174, 2014.
- 김사라, 임수현, 김상훈, "광고 차단 기술 수용 연구," 광고PR실학연구, 제11권, 제1호, pp.9-35, 2018.
- 이정아, 류지연, "인터넷 광고회피에 대한 연구: 회피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6권, 제1호, pp.203-223, 2005.
- 홍종필, "매체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광고회피 양상과 광고회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5호, pp.181-212, 2009.
- 양윤직, 조창환,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 92호, pp.355-381, 2012.
- P. S. Speck and M. T. Elliott,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pp.61-76, 1997.
- C. H. Cho and H. J. Cheon, "Why do people avoid advertis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Advertising, Vol.33, No.4, pp.89-97, 2004. https://doi.org/10.1080/00913367.2004.10639175
- 최승우, 박보람, "인터넷 동영상 인스트림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회피에 대한 연구-유튜브 이용자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제21권, 제3호, pp.665-673, 2015.
- 임양미, "모바일 광고앱의 광고효율성 향상을 위한 광고유형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pp.219-226, 2015.
- 윤연주, 이영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유형별 프리롤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677-68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677
- http://www.iab.com/guidelines/native-advertising, 미국 온라인 광고협회, 2014.04.09.
- 최윤호, 이재원, "검색 광고 마케팅 서비스 유형 분석과 서비스 품질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456-46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456
- 박상진, "인터넷 배너광고의 유머 표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170-17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170
- 김진아, 김재우, 송지희, "배너광고의 브랜드와 배너광고를 호스트하는 웹사이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5호, pp.3-18, 2010.
-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2권, 제2호, pp.165-189, 2001.
- 김요한, "신문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통권 제64호, pp.9-33, 2004.
- D. M. Krugman and K. F. Johnson,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broadcast and VCR movie rental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5, No.2, pp.213-232, 1991. https://doi.org/10.1080/08838159109364119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보편화되는 광고 차단, 웹 비즈니스와 사용자의 관계 재정립, 2013.
- L. F. Alwitt and P. R. Prabhaker, "Identifying who dislikes television advertising: Not by demographics alon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4, No.6, pp.17-30, 1994.
- 최은영, 도선재,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 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 태도,"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171-197, 2011.
- 김요한, 광고매체별 광고회피 수준 및 광고회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최인규, 한상필, "모바일 광고회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9권, 제3호, pp.523-547, 2008.
- 이경렬, 김상훈, "모바일광고의 접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91-218, 2005.
- 소현진, 박범순,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봄호, pp.115-142, 2008.
- 이희준, "인공지능 스피커 (AI 스피커) 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138-15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138
- 양정애, 장현미, "소비자의 인터넷 접근성 및 활용능력이 상품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2호, pp.160-190, 2014.
- S. M. Edwards, Hairong Li, and Joo-Hyun Lee,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3, pp.83-95, 2002.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78
- 엄남현, "모바일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젊은 소비자들은 온라인 모바일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15-2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015
- 김성은, 전중옥,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297-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97
- 손상영, 빅데이터, 온라인 마케팅과 프라이버시 보호, KISDI Premium Report, pp.1-26, 2013.
- 한은경, 송석재, 임한나, "소셜 커머스의 이용 동기와 만족,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3호, pp.298-325, 2011.
- W. O. Bearden and Jesse E. Teel, "Selected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t repor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0, No.1, pp.21-28, 1983. https://doi.org/10.1177/002224378302000103
-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Blog@ manag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2, 1996.
- Z. Zhou and Y. Bao, "Users' attitude toward web advertising: effects of internet motivation and internet abili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9, pp.71-78, 2002.
- 이희준, 조창환, "소비자의 광고매체 수용에 대한 탐색 연구: 호의적 반응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제10권, 제3호, pp.244-270, 2017.
- 김영욱, "디지털 노동 착취와 감시의 상품화: 온라인맞춤형 광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언론과 사회, 제26권, 제1호, pp.34-78, 2018.
- 김영욱, 김혜인, 윤소영, "온라인 맞춤형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9호, pp.7-41, 2018.
- 박명진, 이경렬, 이경아, "제품관여도 및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 방법에 따른 온라인 및 모바일 동영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0권, 제4호, pp.108-118, 2017.
- 조윤진, 박범순, "제품유형과 제시유형에 따른 웹툰 PPL 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7-4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037
- 김성재, 유명길,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177-1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8.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