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과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for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투고 : 2019.03.08
  • 심사 : 2019.06.12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 9종의 <수학>교과서는 4999개의 수학 과제를 포함하였고 그 중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는 703개였다. Stein, Smith, Henningsen, & Silver(2000)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703개의 교과 역량 함양 과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높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 비율은 61.5%, 학생들의 낮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 비율은 38.5%였고 그에 따른 과제유형의 비율은 Low-M 1.0%, Low-P 37.5%, High-P 57.8%, High-D 3.7%로 나타나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의 대부분이 절차적 과정을 따라 수학적 개념, 원리, 과정 등을 이해하도록 유도하는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he tasks for developing t he mathematical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y ear of high school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 included 4999 mathematics tasks, of which 703 were task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al competency. Analysis of 703 mathematical tasks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Stein, Smith, Henningsen, and Silver (2000) showed that 61.5% of students required high cognitive levels, 38.5% required low cognitive levels, and the types of tasks were as follows: Low-M 1.0%, Low-P 37.5%, High-P 57.8%, High-D 3.7%. It w as found that most of the tasks for the purpose were tasks that led to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processes along procedural proce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김미희, 김구연 (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3. 김민혁 (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4. 방정숙, 황현미 (2012).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1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1(3), 247-263.
  5. 임해미 (2016). 동아시아 상위 성취국의 PISA 2012 수학 결과 비교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4), 441-456
  6. 장혜원, 김동원, 이환철 (201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학교수학, 15(4), 759-783.
  7. 전영주, 이은경 (2018). 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내용 영역과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1), 1-18. https://doi.org/10.30807/KSMS.2018.21.1.001
  8. 조명현, 김부미 (2013).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 1321-1341.
  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연구보고서 BD15120005.
  10. 홍창준, 김구연 (2012).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4(2), 213-232.
  11. Cai, J., Moyer, J. C., Nie, B., & Wang, N. (2010). Learning mathematics from classroom instruction using standards-based and traditional curricula: An analysis of instructional tasks.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Denver, CO (3-20).
  12. Charalambous, C. Y. (2010).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ask unfolding: An exploratory study.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0(3), 247-278. https://doi.org/10.1086/648978
  13. Doyle, W. (1983). Academic wor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2), 159-199. https://doi.org/10.3102/00346543053002159
  14. Garrison, D. R. (2011).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Commission on Teaching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7.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455-488. https://doi.org/10.3102/00028312033002455
  18.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https://doi.org/10.5951/MTMS.3.4.0268
  19.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Edward, A. Silver. (2000).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Press.
  20. Tyson-Bernstein, H., & Woodward, A. (1991). Nineteenth century policies for twenty-first century practice: The textbook reform dilemma. Textbooks in American society, 91-104.
  21. Shield, M., & Dole, S. (2013). Assessing the potential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mote deep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2), 183-199. https://doi.org/10.1007/s10649-012-9415-9

피인용 문헌

  1. '확률과 통계' 교과서에 제시된 맥락 기반 과제의 학습기회 분석 vol.22, pp.3, 2019, https://doi.org/10.30807/ksms.2019.22.3.004
  2.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분석 vol.59, pp.2, 2019,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2.147
  3. 수학 교과 역량 과제 비교 분석 : 2015 개정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중심으로 vol.20, pp.6,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531
  4.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vol.59, pp.3, 2019,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