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y of Allegory in the 1970s - Focusing on Lee Kang-baek's Early Works -

1970년대 알레고리극 희곡 연구 - 이강백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

  • Lee, Jong-Rak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from the Korea University)
  • 이종락 (고려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Received : 2019.07.20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In the 1970s, under the tyrannical regulation and censorship of the Yushin regime, realistic dramatization techniques were forced to reveal their limitations. Choosing the 'allegory' technique, a double-meaning narrative structure, Lee Kang-baek sets up virtual spaces or unrealistic figures, both of which lack 'realism'. Lee Kang-baek has allergic the illusion of detadiscourse, the diaspora character, and the universality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So it's linked to the perception of history in the 1960s. This creates a semantic network of public and casual perception of history. This was a 'bypass' strategy which more clearly disclose the violent politics. Therefore Lee Kang-baek's play shows the desperate situation of the diaspora character being oppressed by detadiscourse, and the desire of the author who can never give up on freedom of expression, though under that oppression. Furthermore, it was an attempt to acquire a timeless universality and symbolism about human freedom and liberation through the Allegory play technique.

1970년대는 유신정권의 폭압적 규제와 검열 아래서 사실주의적 극작 기법은 한계가 드러날 수밖에 없었다. 이강백은 리얼리즘이 결여된 가상의 공간이나 비현실적인 인물을 설정하여 이중적 의미의 서사 구조인 알레고리 기법을 선택하게 된다. 이강백은 거대담론의 허상과 디아스포라적 인물, 그리고 '정치적무의식'의 보편성을 알레고리화 하여 1960년대의 역사 인식과도 연결시켜, 공시적이면서도 통시적인 역사 인식의 의미망을 형성한다. 이것은 유신정권이라는 폭압적 권력 체제를 우회하여 현실을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기법이었으며, 표현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당하는 작가 자신의 욕망, 그리고 거대담론에 억압당하는 디아스포라적 개인의 절망적인 상황 자체를 투영하는 기법이었다. 나아가 알레고리 극작 기법을 통해 인간의 자유와 해방에 대해 시대를 뛰어넘는 보편성과 상징성을 획득하려는 시도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