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orm of Modal Music used in K-Pop

K-Pop에서 사용된 선법음악 형태에 관한 연구

  • Kim, Jin-Seon (Dept. of Music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
  • Chung, Jae-Youn (Dept. of Music Technology,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 김진선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 정재윤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Received : 2019.07.20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According to a recent KOFICE survey, K-Pop's popularity factor is divided into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and the importance of hearing elements is found. Among the various types of singers, idol groups led K-Pop and Black Pink, which topped the list of favorite K-Pop singers in 2018, was selected as the study target. In addition, Twice's music, which is similar to Black Pink's period of activity, has been set as a comparative research scope. The common features in the music of the two groups are the chorus and rhythm structure implemented around melody and Harmony rhythm, and the frequency of use of Major and Minor is greatly different. Through this method and modal interchange, K-Pop from 2016 to 2018 is analyzed. Research shows that first, more than one mode is used as a main melody. When more than one mode is used, different lines in the same line will vary depending on the functional form of the song. Second, the rhythm of the melody expressed with vocals and instruments is repeated based on a two-bar pattern. Finally, when using less chord and slowly expressing the igneous rhythms, there is a way to omit or modify the third notes that determine chord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usage patterns of the mode and modal interchange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major and minor.

최근 KOFICE의 조사결과에 따라 K-Pop의 인기요인을 추리면 시각요소와 청각요소로 나뉘며 청각요소의 비중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가수형태 중에서 아이돌이 K-Pop을 주도하고 있으며, 연구 대상으로 2018년 선호하는 K-Pop 가수에서 여자그룹부문 1위를 차지한 블랙핑크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블랙핑크의 활동기간과 비슷한 트와이스의 음악을 비교 연구범위로 정했다. 두 그룹의 음악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선율과 화성리듬을 중심으로 구현된 후렴구와 리듬구조가 있으며, 장조와 단조의 사용빈도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이를 선법과 모달 인터체인지를 통해, 2016년에서 2018년까지 발매된 상위권의 K-Pop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 번째, 한 개 이상의 선법이 중심선율로 사용된다. 두 개 이상 선법이 사용될 시 같은 계열의 다른 선법이 노래의 기능적 형식에 따라 변한다. 두 번째, 보컬과 악기로 표현한 선율의 리듬은 2마디 패턴을 기준으로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화음을 적게 사용하고, 화성리듬을 느리게 표현할 때 화음 성질을 결정짓는 3음을 생략하거나 변형하는 방식이 나타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장조와 단조에 따라 선법과 모달 인터체인지의 사용형태가 나뉘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