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재현

Search Result 96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ystem Evaluation for Office Sound Environment (사무실 소음 음환경 재현시스템 구축)

  • 황재호;조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728-730
    • /
    • 2002
  • 사무실 환경을 재현하는 챔버를 제작하고 사무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소음을 재현하는 음향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소음원 확보를 위해 다양한 공간 조건하에서 발생하는 실제음을 녹취하였고, 이를 소음원 제시용 CD로 제작하였다. 사무실 환경 챔버 내의 다채널 스피커 음향 시스템을 구축한 후, 챔버의 공간 조건과 소음원의 컨벌루션을 통해 실제 사무실 발생음을 재현시켰다. 소음 환경 안에는 시간, 주파수 및 잔향 성분을 포함하였다.

  • PDF

Urban Machine Space as (Non-)Place: Interpreting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비-)장소로서 도시 기계 공간 -대구 지하철 공간의 기호적 재현에 대한 해석-)

  • Lee, Hee-S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301-322
    • /
    • 2009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semiotic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as the urban machine space of local mobility in terms of space, time and place. For this,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reviews the contours of the urban space of mobility in terms of 'machine space', 'non-place' and 'cognitive map'. The third section interprets the sings of 'spatial' and 'temporal' representations of subway space in Daegu,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semiotic representations. It is uncovered that various sign-scapes which coexist in the subway space in coordinated or contradictory ways product the space into multiple and complex techno-social spaces. That is, the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of the subway space form the space of 'non-place' on the one hand and the space of 'place' on the other hand, and involve the spatialization of 'memory' on the one hand and the spatialization of 'forgetting' on the other hand. Thus, the subway space should be regarded to be not only the space of 'mobility' which people move in and through, but also the space of 'identity' which has effects on the ways for them to see the machine space and its urban space.

Implications of Cinematic Space(House/Home) in Melodrama genre (멜로드라마 장르에서 집에 대한 재현공간의 함축들)

  • Nam, Seu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85-86
    • /
    • 2013
  • 이 연구는 더글라스 서크(Douglas Sirk) 감독의 <천국이 허락한 모든 것> (1955)과 이용주 감독의 <건축학 개론>(2012)에서 집에 대한 '재현' 공간을 고찰하였다. 두 멜로드라마 장르 영화는 등장인물들이 대사로 직접 표현한 수 없는 것들을 가구, 소품 등의 미장센, 특히 리모델링을 하는 집을 통해서 보여준다. 집은 욕망을 스타일과 형식을 통해 산출한다는 점에서 멜로드라마 장르의 공간을 특징짓는 서술적 사건과 모티프를 담고 있는 구체적 장소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멜로드라마 장르에서 집과 풍경들이 어떻게 영화적 공간(cinematic space)을 구성하고 그 재현공간이 갖는 사회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 PDF

The Realtime method of 3D Sound Rendering for Virtual Reality : Complexity Reduction of Scene and Sound Sources (장면 및 음원 복잡도 축소에 의한 3차원 사운드 재현의 실시간화 기법)

  • Seong SukJeong;Yi JeongSeon;Oh SuJin;Nam Y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50-552
    • /
    • 2005
  • 실감 재현이 중요한 가상현실 응용에서는 사용자에게 고급 그래픽 환경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서 실재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실재감, 공간감 전달을 위해 시각과 청각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가상공간의 특징을 반영한 3차원 사운도 재현 연구는 국내외 통틀어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실재감과 공간감을 반영한 3차원 사운드의 재현을 위해서는 음원의 전파, 반사, 잔향 풍의 계산이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새롭게 계산되어야한다. 그러나 사운드 전파경로와 공간을 이루는 모든 폴리곤들과의 충돌을 검사하며 반사 등을 계산하는 것은 실시간성이 중요한 가상현실응용에서는 무리가 따르므로 실 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한 계산량 축소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음원이 존재하는 복잡한 가상공간에서의 3차원 사운드를 재현하기 위하여 사운드 신과 계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가지는 오디오 씬 그라프의 공간을 재구성하고 다수의 음원을 대상으로 음원 축소 및 군집화를 적용하여 3차원 사운드효과를 실시간으로 재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The Study on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 in the Winners of Landscape Competitions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Designs and the Constructions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 Kim, Hyun-Hee;So, Hyun-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6
    • /
    • pp.138-149
    • /
    • 2015
  • In order to search for the reasonable planning directions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landscape, this study conducte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s on the panels and their constructions from both winners of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for City Infrastructure of Minlak(2) District in Uijeongbu" and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1". The representing targets and views,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representing space, the design of representing facilities and landscape planting were examined based on the text, master plans, elevations and cross sections, diagrams, images, and perspective drawings proposed from the competition panels. Then, the landscape constructions were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the representing targets and views are the agricultural landscape, as the local landscape of target area, which are divided into the life space of a traditional village, the traditional water spac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Second, as to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representing space, the traditional theme spaces are formulate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land use and the local cultural heritage. However, some spaces were changed to the exercise space or convenient facility spaces required in a neighborhood park. Third, in the case of the representing facilities, a round island in the square pond, a traditional pavilion and Hwagye(terraced flower bed) were made without the facilities designed creatively. Fourt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planting techniques was focused on planting trees in the village forest on an island in the square pond and on Hwagye. Fifth, the traditional representing work has gradually advanced with the selection of subject and experimental facility designs based on the professional references. Sixth, the choice of the realizable subject, the expertise for information analysis and the creative design of the traditional facility are required in the future.

Deelopment of a Multisite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 개발)

  • So, Byung-J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수자원공학에서 일강수량 모의기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및 신뢰성 평가 및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 자료생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역 단위의 분석시 단일 지점에 대한 강수 모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의 시계열 및 통계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지만 공간적으로 발생하는 즉, 지점 간의 종속관계를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적인 전이 특성이 있는 가뭄 분석 및 유역내 유출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에 단일지점별 모의 결과를 이용할 경우 관측 자료와 상반된 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하여 잘못된 가뭄 및 유출 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강수 특성을 반영한 유역 단위의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문 분석을 위해서는 지점간의 종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다지점 강수 모의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점 모의에 있어서, Wilks 모형의 지점별 시변동 특성과 공간상관성 재현 능력, HMM 모형이 갖는 강수 사상별로 분포된 양적 분포 패턴 재현 능력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인 기계학습 기반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ML-MRS)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점별 강수량에 적용되는 확률분포모형은 Gamma 분포로 구성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단일 확률 분포 모형의 자료 적합 문제를 개선하였다. 모의를 통한 일강수량 시계열 자료는 일 강수자료의 통계량을 효과적으로 모의하였으며, 다지점 모형의 모의 결과를 적용한 가뭄 모의 결과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패턴이 재현되었다. 본 모형은 시 공간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지역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가뭄, 홍수, 기상 현상 분석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utdoor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a Resort using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as a Theme (백제정원을 주제로 한 리조트 외부 공간 계획)

  • Kim, Yun-Geum;Kim, Hai-Gyoung;Kim, Young-Mo;Chin, Yang-Ky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1-9
    • /
    • 2011
  • This study concerns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one of the open spaces in the Lotte Resort in the Baekje Historical Reappearance Complex, which is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specific areas in the Baekje cultural area.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has historic value, and its excellent garden style influenced the ancient Japanese gardens. This study dealt with three issues: (1) The context in which Lotte Buyeo Resort accepted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particularl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such; (2) The original form of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and (3) How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should be represented in the open space of the resort. Representation is accomplished in two ways: us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garden and in the borrowing of elements. For representation us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garden, Imrugak was used as the main entrance space, and Wolsunjung was represented from the Ganbuklee remains. In the rear garden are wave watercourses and other garden facilities of the Wanggungri site in Iksan. Borrowing of elements, on the other hand, was accomplished in the plant plan and detailed development. In addition, mountaintops (three mountains and five mountain summits), a clean stream between mountains, and a pine forest are visualized in the garden. This is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the Taoist hermit world that appeared in the Baekje Gilt Bronze Incense Burner and Landscape patter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is a fresh trail because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search concerning it. Second, while past research concerning traditional spaces focused on the result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is means that this research work tried to extend the study concerning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spaces from the conceptual to the practical approach. This study, however, also has its limitations. The authenticity of the represent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questioned later because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serve the original Baekje Traditional Garden. In addition, this study should seek a balance between authenticity on one hand and amusement and diversity of experience on the other, because the site is a resort.

Conversional Aspect of The Theme Space Based on Visual Image Content:A Focus on Representation through Adaptation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으로의 전환 양상:각색을 통한 재현을 중심으로)

  • Shin, Dong-Hee;Kim, Hee-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4
    • /
    • pp.186-197
    • /
    • 2012
  •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nswer the question on how the visual image content, being the original content, should be adapted to and represented as a spatial content. The thesis focuses on adaptation as the key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visual image content to a themed space. There are many published studies dealing with storytelling, adaptation from books to movies and TV shows, or from movies to games and vice versa. On the contrary, when it comes to adaptation from visual image content to spatial content, noticeably few studies were done on the method, and fewer studies view adaptation as the prior step of storytelling. This study first defines adaptation, and then applies the methods of Gianetty and Dudley which is further incorporated into the conversion of visual image content into a themed space. It then turns the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ed spaces. A case study highlights that a themed space is a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tory, image and action in the visual image content, and analyze the type of adaptation made. The study results draws two conclusions; adaptation must be carried out prior to the storytelling of the spatial content; and opposed to a third-person view of the visual image content, the main factor in a themed space is first-hand experience. Thus, the thesis suggests that conversion from visual image content to themed spaces are not merely imitative but is a full range of recreation of a new content.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ed analyses on the particulars will lead to feasible outcome on implementing various methods of adaptation and bring about effective conversions between the visual image contents and themed spaces.

A Study on Property of Light Representation based on CGI(Computer-Generated Imagery) in IBL(Image Based Lighting) (IBL(Image Based Lighting)에서 나타나는 CGI기반 빛 재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Chung, Kue-Hyung;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7
    • /
    • pp.371-378
    • /
    • 2014
  • We understand the real form with light and it make us to visualize the world. Hence, light have got a great influence on formative arts in many ways from ancient time to now. Invisible and substantial light is described by many representational tools in various way and project the illusion. Projected illusion caused the change in human and general social culture. For such a reason, the representation of light is most important issue without distinction of age, space and genre. Now we are faced with CGI light just same as real light. So we need to study about properties of CGI light representation.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 Hwang, Syewoon;Cho, Jeapil;Park, Ch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0-360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는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의 발현으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슈이다. 일반적인 기후변화 연구는 전지구 기후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료는 IPCC 5차보고서(AR5)의 과학적 기반자료로 활용되는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GCM 산출물이다. 수자원, 농업,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기간에 대한 GCM 산출물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평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모델의 신뢰성은 산출물의 실제 현상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서 가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은 동아시아 해안지역과 한반도 지역을 구분하고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재현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했을 때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