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ial Expression Acting in Genre Drama - with Focus on K-Drama Voice2 -

장르 드라마에서의 표정연기연구 - 드라마 '보이스2'를 중심으로 -

  • Oh, Youn-Hong (Department of Theatre & Media Performance, College of Art, Dongyang University)
  • 오윤홍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 Received : 2019.11.23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For the actors on video, facial expression acting can easily become 'forced facial expression' or 'over-acting'. Also, if self-restraint is emphasized too much, then it becomes 'flat acting' with insufficient emotions. By bringing forth questions in regard to such facial expression acting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facial expression acting of the actors in genre dramas with strong commercial aspects. In conclusion, the facial expression acting methods of the actors in genre dramas were being conducted in a typical way. This means that in visual conventions of video acting, the aesthetic standard has become the important standard in the facial expression acting of the actors. In genre drama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are often revealed in close-up shots. Within the close-up shot, the most important expressive medium in a 'zoomed-in face' is the 'pupil of the eye', and emotions are mostly expressed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eye and muscles around it. The second most important expressive medium is the 'mouth'.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e mouth convey diverse emotions along with the expression of the 'eye'. In addition, tensions in the facial muscles greatly hinder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e movement of facial muscles must be minimized to prevent excessive wrinkles from forming on the surface of the face. Facial expressions are not completed just with the movement of the muscles. Ultimately, the movement of the muscle is the result of emotions. Facial expression acting takes place after having emotional feelings. For this, the actor need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of a character, such as 'emotional memory', 'concentration' and 'relaxation' which are psychological acting techniques of Stanislavsky.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lose-up shots that visually reveal the 'inner world' should be recognized.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facial expression acting is the reaction acting that provides the important point in the unfolding of narratives, and that the method of facial expression and the size of the shots required for the acto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oles of main and supporting characters.

영상연기자들에게 표정연기는 '억지표정'이나 '오버액팅'이 되기 쉽고, 또 지나치게 절제를 강조하면 감정이 부족한 '밋밋한 연기'가 된다. 이러한 표정 연기 방법에 관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상업적 색채가 짙은 장르 드라마에서의 배우들의 표정연기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장르 드라마의 배우들의 표정연기 방법은 일종의 전형(典型)적인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이는 영상연기의 시각적 관습에서 미적 기준이 배우들의 표정연기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르 드라마에서 인물의 감정은 주로 클로즈업 숏에서 발현된다. 클로즈업 숏 안에서 '확대된 얼굴'중 가장 중요한 표현 매체는 '눈동자'이며, 눈과 눈 주변의 근육 움직임을 통한 감정 표현이 주가 된다. 그 뒤로 중요한 표현 매체는 '입'이다. 입을 벌리고 다물면서 그 정도의 차이에 따라서 다양한 감정이 '눈'의 표현과 함께 전달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얼굴 근육의 긴장은 감정표현에 크게 저해되며,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얼굴 표면의 지나친 주름을 만드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얼굴 표정은 근육 움직임으로 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근육의 움직임은 감정으로 인해서 이루어지는 결과이다. 표정을 일으키는 감정이 먼저 형성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배우의 '정서적 기억', '이완', '집중'등을 통해 '자기화'하는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심리적 연기술이 필연적이다. 또한, 표정이 발현되는 클로즈업 숏이 요구하는 시각적으로 절제된 연기술이 필요하다. 그 외에, 표정연기는 내러티브 전개에 중요한 지점을 제공하는 반응 연기(reaction acting)이며, 주연과 조연이라는 인물의 역할에 따라서 배우에게 요구되는 표정연기의 방법과 숏의 사이즈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7학년도 동양대학교의 교내연구과제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