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Genome for Asian Health":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the Korean Genome Projects

"아시아인 건강을 위한 한국인 게놈" : 한국인 유전체 프로젝트의 상업화 전략

  • 현재환 (독일 막스플랑크과학사연구소)
  • Received : 2019.05.13
  • Accepted : 2019.07.11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Since a working draft sequence mapping of the human genome was published in 2001, the variety of the national genome projects has been initiated in South Korea. One of the rationales for such projects is that "the Korean genome database" will be used for "the personalized medicine for Asians."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human genomics in this country,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course has emerged as a strategy for commercializing the national genome. The paper argues that Korean genomicists developed this strategy under the influences of the global "genome sovereignty" policy and local "Asian regionalist" science policy. It will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f the "Asian" race and genomic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Pan-Asi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PASNP) consortium beyond the Singaporean experience.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의 초안 발표 이후 여러 한국인 유전체 프로젝트들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등장한 한국인 유전체를 둘러싼 흥미로운 담론 중 하나는 "한국인 유전체" 서열 분석을 통해 "아시아인 맞춤의학"을 구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본 논문은 이를 한국 유전체 학자들이 자국민에 대한 유전체 자료를 상업화하려는 노력 가운데 발전시킨 전략으로 인지하고, 이 "아시아인 건강을 위한 한국인 게놈" 전략이 출현하게 된 배경을 역사적으로 검토한다. 이 글은 한국 유전체 프로젝트들의 전략이 탈식민 국가들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유전체 주권"(genome sovereignty) 정책이 2000년대 초반 이후 한국에서 주요 정책 의제로 부상한 아시아 지역주의와 결합하여 등장한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그간 범아시아 SNP 컨소시엄(Pan-Asi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Consortium)을 중심으로 논의된 유전체학과 아시아인의 구성에 관한 과학기술학 연구가 국소적인 아시아인 관념과 아시아 지역주의를 가진 싱가포르의 경험을 지나치게 일반화해왔음을 지적한다. 이와 함께 한국 유전체학 거버넌스에서 과학기술학자들이 맡을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도 고민해 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원 (1990), Human Genome Project와 우리, 한국인체유전자연구회 엮음, 인체 게놈 연구 (I), 1-5쪽.
  2. 경향신문 (1995. 1. 10), 21세기를 연다 (1) 인체 게놈 유전공학연구소.
  3. 경향신문 (2008. 12. 5), 한국인 유전체 서열...국내서 첫 완전해독.
  4. 과학기술부 (2005), 2004 과학기술연감, 서울: 과학기술부.
  5. 과학기술부 (2007), 2007 생명공학백서, 서울: 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0), 21C 프론티어 사업, 10년을 말하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기술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2006), BioVision 2016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 서울: 과학기술부.
  8. 김근배 (2008), 과학기술 입국의 해부도: 1960년대 과학기술 지형, 역사비평, 85호, 236-261쪽.
  9. 김석관, 정세권, 신광수, 송창현, 황상연, 송다운, 이주량, 박찬수, 이정규, 임재혁 (2013), 한국 바이오벤처 20년: 역사, 현황, 발전 과제,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김양희 (2008), 노무현 정부의 동북아시아시대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동향과 전망 74호, 44-80쪽.
  11. 김홍재, 이영완, 최향아 (2002), 한국인 유전자가 쏟아진다: 코리안 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11월호, 62-83쪽.
  12. 뉴스1 (2016. 12. 19), [BIO톡톡]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는 나왔지만.... 유전체분석기반산업은 취약...국산화 마중물 필요.
  13. 대한민국정부 (1997. 8. 28), 법률 제5,400호: 생명공학육성법중개정법률, 대한민국정부 관보 13695호.
  14. 동아일보 (2001. 7. 6), 인물 포커스: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작성 서정선 교수.
  15. 마크로젠 (2016), 보도자료: 마크로젠, 1,200억원 규모 지놈아시아 100K 프로젝트 참여.
  16. 매일경제 (1997. 8. 20), 태평양 게놈회의 개최.
  17. 문만용 (2016), 한국 과학기술 연구 체제의 형성과 발전, 한국과학사학회지, 제38권 3호, 453-482쪽.
  18. 박경수, 김규찬 (2002),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11월호. 77쪽.
  19. 박명림, 지상현 (2009), 탈냉전기 한국의 동아시아 인식과 구상: 김대중 사례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4호, 151-174쪽.
  20. 박종화, 변하나, 김진섭 (2012), 게놈 이야기: 게놈에 의한, 게놈을 위한, 게놈에 대한 이야기, 서울: 유페이퍼.
  21. 박희제 (2013), 국가주도의 과학의 상업화와 그 문화적 영향, 담론 201, 제16권 4호, 5-31쪽.
  22. 삼성종합기술원 (2000), 국내외 유전체 연구 동향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3. 서울대학교 (2003), 특정연구개발과제(신청,계획)서: 동북아 민족 기능성 게놈 사업, 서울: 서울대학교.
  24. 서울대학교 (2004), 연차실적, 계획서: 동북아 민족 기능성 게놈 사업, 서울: 서울대학교.
  25. 서정선 (2001),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 'SNP와 복합 유전체 분석'에 관한 4차 국제회의, 단일염기변이 주제 세계 석학들 참여, 과학과 기술, 제34권 12호, 76-78쪽.
  26. 서정선 (2007), 한국인 유전체형 분석사업 2006-VI: 유전체실용화사업의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서울: 보건복지부.
  27. 서정선 (2009), 맞춤형 의료 시대를 여는 아시안 게놈센터, Science & Technology: FOCUS, 53호, 6-7쪽.
  28. 시사저널 (1992. 3. 19), '인체 청사진' 게놈의 비밀: 암, 에이즈 연구 획기적 전기...'휴고' 계획, 2005년에 생명신비 푼다.
  29. 신향숙 (2013), 1980년대 한국에서 유전공학의 등장과 제도화,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안주홍 (1997), 학회참관기: The First HUGO Pacific Genome Meeting,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소식지, 17호, 275-277쪽.
  31. 연합뉴스 (2002. 3. 27), 한.몽골인 게놈 분석연구 본격화.
  32. 유전공학연구소 (1993), 게놈연구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과 우리의 대응 및 연구방향 설정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 과학기술처.
  33. 유전공학연구소, 고려대학교 (1994), 게놈분석 이용기술 개발 연구 기획보고서, 서울: 과학기술처.
  34. 윤여일 (2016), 동아시아 담론: 1990-2000년대 한국사상계의 한 단면, 서울: 돌배게.
  35. 이대실 (1990), 인체 유전자 연구, 한국인체유전자연구회엮음, 인체 게놈 연구 (I), 36-39쪽.
  36. 이대실 (2008), DNA는 보물지도였다, 서울: 한림원 출판사.
  37. 이두갑 (2012), 유전자와 생명의 사유화, 그리고 반공유재의 비극: 미국의 BRCA 인간유전자 특허 논쟁,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1호, 1-43쪽.
  38. 전국경제인연합 생명과학산업위원회 (2002), 동북아민족 지놈사업 추진에 관한 의견, 전국경제인연합.
  39. 조선비즈 (2010. 1. 2), 명실상부한 첫 아시아인(人) 유전자 지도: 서양인과 다른 '맞춤 의약' 토대 마련.
  40. 지주형 (201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서울: 책세상.
  41. 질병관리본부 (2006. 7. 24), 한국인 유전형질 데이터베이스 간행물 출간.
  42. 한겨레 (1999. 12. 13), 인터뷰: 생명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21세기 게놈전쟁 벌어진다'.
  43. 한겨레 (2008. 12. 4), 한국인 게놈지도 첫 공개 엇갈린 반응.
  44. 한겨레 (2016. 10. 13), 한국 연구진, 가장 정밀한 인간게놈 지도 작성.
  45. 한국경제 (1991. 12. 11), 인체게놈연구에 한국도 연구비 1% 부담 의견 제시돼.
  46. 한국경제 (2001. 6. 26), [한국인 유전자지도 의미와 전망] 마크로젠 전략은....
  4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7), 국가유전체 DB 및 기반기술 개발 사업, 서울: 과학기술부.
  48. 한국생화학회 뉴스지 편집위원회 (1999), 특별좌담회 (2): 휴먼 유전체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인류에 미치는 영향, 생화학뉴스, 19호, 121-128쪽.
  49. 한국인체유전자연구회 (1990), 인체 게놈 연구 (II), 대전: 한국인체유전자연구회.
  50. 한국일보 (2016. 11. 24), 또 나온 한국인 표준 유전체 지도 '헷갈려'.
  51. 헬로디디 (2008. 12. 4), '한국인 DNA 청사진' 완전 해독...'맞춤의약' 시대 성큼.
  52. 현재환, 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 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2호, 33-79쪽.
  53. Ahn, S.M., Kim, T.H., Lee, S., Kim, D., Ghang, H., Kim, D.S., Kim, B.C., Kim, S.Y., Kim, W.Y., Kim, C. and Park, D. (2009), "The First Korean Genome Sequence and Analysis: Full Genome Sequencing for a Socio-Ethnic Group", Genome Research, Vol. 19, No. 9, pp. 1622-1629. https://doi.org/10.1101/gr.092197.109
  54. Genomeweb (2014. 10. 7), "Subscribe to Clinical Sequencing Macrogen, Seoul National University Team Spells Out Upcoming Stages of Asian Genome Project", (https://www.genomeweb.com/sequencing/macrogen-seoul-national-university-team-spells-out-upcoming-stages-asiangenome).
  55. Benjamin, Ruha. (2009). "A Lab of Their Own: Genomic Sovereignty as Postcolonial Science Policy", Policy & Society, Vol. 28, No. 4, pp. 341-355. https://doi.org/10.1016/j.polsoc.2009.09.007
  56. Cho, Philip S., Nathan Bullock, and Dionna Ali. (2013), "The Bioinformatic Basis of Pan-Asianism", EAST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7, No. 2, pp. 283-309. https://doi.org/10.1215/18752160-2142980
  57. Choi, Hyungsub. (2014), "Emerging Opportunities: Nanoelectronics and Engineering Research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History and Technology, Vol. 30, No. 4, pp. 334-353. https://doi.org/10.1080/07341512.2015.1008961
  58. Cook-Deegan, Robert. (1994), The Gene Wars: Science, Politics, and the Human Genome, New York: W.W. Norton &Co.
  59. Cooper, Melinda. (2008), Life as Surplus: Biotechnology and Capitalism in the Neoliberal Er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0. Fujimura, Joan, Troy Duster, and Ramya Rajogopalan. (2008), "Introduction: Race, Genetics, and Disease: Questions of Evidence, Matters of Consequenc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38, No. 5, pp. 643-656. https://doi.org/10.1177/0306312708091926
  61. Garcia-Sancho, Miguel. (2012), Biology, Computing, and the History of Molecular Sequencing: from Proteins to DNA, 1945-2000, Basinstoke: Palgrave Macmillan.
  62. Gottweis, Herbert, and Byungsoo Kim. (2009), "Bionationalism, Stem cells, BSE, and Web 2.0 in South Korea: Toward the Reconfiguration of Biopolitics", New Genetics and Society, Vol. 28, No. 3, pp. 223-239. https://doi.org/10.1080/14636770903162437
  63. Harvey, David. (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4. Hedgecoe, Adam M. (2003), "Termi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Disciplines: The Case of Pharmacogenomic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28, No. 4, pp. 513-537. https://doi.org/10.1177/0162243903256274
  65. Kim, J.I., Ju, Y.S., Park, H., Kim, S., Lee, S., Yi, J.H., Mudge, J., Miller, N.A., Hong, D., Bell, C.J. and Kim, H.S. (2009), "A Highly Annotated Whole-Genome Sequence of a Korean Individual", Nature, Vol. 460, No. 7258, pp. 1011-1015. https://doi.org/10.1038/nature08211
  66. Kim, Sang-hyun. (2013), "The Politic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Contesting National Sociotechnical Imaginaries", Science as Culture, Vol. 23, No. 3, pp. 293-319. https://doi.org/10.1080/09505431.2013.860095
  67. Marks, Jonathan. (2014), "Human Genome Diversity Project", in Bruce Jennings ed, Bioethics, 4th ed, pp. 1578-1583, New York: Cengage Learning.
  68. McKusick, Victor A. (1989), "The Human Genome Organisation: History, Purposes and Membership", Genomics, Vol. 5, No. 2, pp. 385-387. https://doi.org/10.1016/0888-7543(89)90077-3
  69. Ong, Aihwa. (2015), "Why Singapore Trumps Iceland: Gathering Genes in the Wild", Journal of Cultural Economy, Vol. 8, No. 3, pp. 325-341. https://doi.org/10.1080/17530350.2015.1009149
  70. Reardon, Jenny. (2005), Race to the Finish: Identity and Governance in an Age of Genom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71. Reardon, Jenny. (2007), "Democratic Mis-haps: The Problem of Democratization in a Time of Biopolitics", BioSocieties, Vol. 2, No. 2, pp. 239-256. https://doi.org/10.1017/S174585520700573X
  72. Rose, Hilary. (2003), "The Commodification of virtual reality: The Icelandic Health Sector Database", in A.H. Goodman, D. Heath, and M.S. Lindee eds., Genetic Nature/culture: Anthropology and Science beyond the Two-Culture Divide, pp. 77-94,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3. Rose, Hilary and Steven Rose. (2012), Genes, Cells, and Brains: The Promethean Promises of the New Biology, London: Verso.
  74. Rose, Nicholas. (2001), "The Politics of Life Itself", Theory, Culture, and Society, Vol. 18, No. 6, pp. 1-30. https://doi.org/10.1177/02632760122052020
  75. Sleeboom-Faulkner, M. (2006), "How to Define a Population: Cultural Politics and Population Genetic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Republic of China", BioSocieties, Vol. 1, No. 4, pp. 399-419. https://doi.org/10.1017/S1745855206004030
  76. Soo-jin Lee, Sandra. (2009), "The Asian Genome: Racing in an Age of Pharmacogenomics", in Sleeboom-Faulkner, M. ed., Framework of Choice: Predictive and Genetic Testing in Asia, pp. 211-222,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77. Sun, Shirley. (2018), "Academic Regionalism and the Study of Human Genetic Variation in a Transnational Context: Asianism and the Racialization of Ethnicity", in Kazuko Suzuki and Diego A. von Vacano eds., Reconsidering Race: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Racial Categories in the Age of Genomics, pp. 223-237,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8. Sunder Rajan, Kaushik. (2006), Biocapital: The Constitution of Postgenomic Life,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79. Sung, Wen-ching. (2010), "Chinese DNA", in Aihwa Ong and Nancy Chen eds., Asian Biotech, pp. 263-292,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80. Tarkkala, Heta, and Aaro Tupasela. (2018), "Shortcut to Success? Negotiating Genetic Uniqueness in Global Biomedicin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48, No. 5, pp. 740-761. https://doi.org/10.1177/0306312718801165
  81. Tsai, Yu-yueh. (2010), "Geneticizing Ethnicity: a Study on the Taiwan Bio-Bank", EAST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4, No. 3, pp. 433-455. https://doi.org/10.1215/s12280-010-9146-x
  82. Waldby, Catherine. (2002), "Stem Cells, Tissue Cultures and the Production of Biovalue", Health: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Vol. 6, No. 3, pp. 305-323. https://doi.org/10.1177/136345930200600304
  83. Yang, Jin Ok, Sohyun Hwang, Woo-Yeon Kim, Seong-Jin Park, Sang Cheol Kim, Kiejung Park, Byungwook Lee and, the HUGO Pan-Asian SNP Consortium. (2014), "Identification of Ethnically Specific Genetic Variations in Pan-Asian Ethnos", Genomics & Informatics, Vol. 12, No. 1, pp. 42-47. https://doi.org/10.5808/GI.2014.12.1.42
  84. "HUGO Pan-Asian Population Genomics Initiative", (http://www.hugo-international.org/HUGO-PAP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