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 성동구와 은평구의 사회혁신클러스터 형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Innovation Cluster Formation in Seongdong-gu and Eunpyeong-gu, Seoul, Korea

  • 노경란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
  • 주성재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투고 : 2019.06.24
  • 발행 : 2019.06.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최근 경제체제의 한 축을 구성하는 사회적 경제조직이 정부, 투자기관, 중간지원조직, 비영리기구 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것을 사회혁신클러스터라 보고, 이 클러스터가 한국적 상황에서 어떤 특징을 갖고 성장하는지를 서울 성동구와 은평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클러스터 내부 행위자들과 그들의 관계를 확인하고 클러스터의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경제조직들의 협력관계 사회연결망분석의 결과, 성동구는 대학, 글로벌 네트워크, 투자기관 등 네트워크 참여 유형이 은평구보다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민간 주도 중추조직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클러스터 내부 관계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에서도 확인되었다. 두 지역 모두 아직 초기 단계의 모습이지만 사회혁신클러스터의 모습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클러스터의 성숙단계에서 발견되는 산업의 연계, 타 클러스터와의 융합은 발견되지 않았다. 지속적인 사회혁신클러스터의 성장을 위해서는 두 지역의 정보와 발전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된다.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cluster in which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s one of the emerging axes of economic systems operate in collaboration with government agencies, investment institutions, intermediate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nd investigates how the clusters of this kind grow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ocio-economic situation for the cases of Seongdong-gu and Eunpyeong-gu in Seoul, Korea. For this purpose, it has identified the actors of the clusters and their internal relations, and analyzed the process of cluster formation.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partnerships between the actors has shown that Seongdong-gu has more diversified types of the network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global networks and investment institutions than Eunpyeong-gu. It is interpreted that this pattern has resulted from the domin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in the former area, which is also confirm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persons involved in the clusters. Although the facets of social innovation clusters are manifested in both areas, even in their initial stage, such factors as linkages between industrial actors and convergence with other clusters, which appear in the maturing stage of cluster formation, has yet to be found. It is suggested that the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innovation clusters should be accompanied by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reas on the future orientation of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강예원, 2013, "'사회적기업 생태계' 접근을 통한 연구경향 분석," 사회적기업연구 6(2), pp.93-139.
  2. 권오혁, 2014, "부산 신발산업의 집적화와 쇠락 요인: 산업클러스터 모형의 재구성과 적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88-701. https://doi.org/10.23841/EGSK.2014.17.4.688
  3. 김용학, 2016, 사회 연결망 분석 제4판, 서울:박영사.
  4. 노경란, 2018, 사회혁신클러스터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 은평구와 성동구의 사례,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5. 민경세.이인구.박종찬, 2008, "경영자원의 효율적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벤처기업의 사회적네트워크 특성 분석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1(6), pp.2523-2547.
  6. 박치성, 2006, "사회서비스 비영리조직들의 협력 패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40(4), pp.353-376.
  7. 변장섭.나주몽, 2016, "사회혁신과 사회적 경제 생태계의 활성화," 나주몽 등, 사회적 경제와 지역혁신,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pp.127-181.
  8. 안영진, 2014, "독일 혁신클러스터의 구조와 발전: 뮌헨 바이오테크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585-599.
  9. 임업.김동현, 2013,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파주:집문당.
  10. 이원호, 2013, "사회적 혁신과 지역발전 주체로서 공공기관의 새로운 역할: 광역단위 도시, 개발공사 사례를 통한 시론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310-321. https://doi.org/10.23841/EGSK.2013.16.2.310
  11. 이유리.이명훈, 2017, "사회적 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역사회 영향 분석: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pp. 161-188.
  12. 이은애, 2013, "지역사회복지실천으로서 사회적 기업의 육성 및 실천 사례,"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pp.31.
  13. 이해진, 2010,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지역사회학회 11(2), pp.219-241.
  14. 이현주.조성숙, 2012, "지역사회복지 역할 제고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과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2, pp. 211-229.
  15. 이재희, 2015,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특성과 조직성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전지혜.이철우, 2017,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89-213.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189
  17. 정경희, 2008, 한국과 일본의 혁신클러스터 육성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8. 주성재, 2001, "산업집적지 조성의 필요성과 과제," 지리학총 29, pp.1-10.
  19. 주성재.노경란, 2018,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73-191. https://doi.org/10.23841/egsk.2018.21.1.173
  20. 홍성범.임덕순.이명진.이정협.장승권, 2001, "해외 신흥혁신클러스터의 특성 및 성장요인," 정책연구 pp.1-344.
  21. Amin, A., Cameron, A., Hudson, R. and Cameron, A., 2002, Placing the social economy, London: Routledge.
  22. Buckingham, H., Pinch, S. and Sunley, P., 2012, "The enigmatic regional geography of social enterprise in the UK: a conceptual framework and synthesis of the evidence," Area 44(1), pp.83-91. https://doi.org/10.1111/j.1475-4762.2011.01043.x
  23. Brenner, T. and Schlump, C., 2011, "Policy measures and their effects in the different phases of the cluster life cycle," Regional Studies 45(10), pp.1363-1386. https://doi.org/10.1080/00343404.2010.529116
  24. European Commission, 2013, Annual Report.
  25. Haugh, H., 2007, "Community‐led social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2), pp.161-182.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7.00168.x
  26. Ko, K., Lee, K. J. and Park, C., 2008, "Rethinking preferential attachment scheme: degree centrality versus closeness centrality," Connections 28(1), pp.4-15.
  27. Lee, I. J. and Hwang, J. H., 2013,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1), pp.137-161.
  28. Meyskens, M., Carsrud, A. L. and Cardozo, R. N., 2010, "The symbiosis of entities in the social engagement network: The role of social ventures,"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22(5), pp.425-455. https://doi.org/10.1080/08985620903168299
  29. Moulaert, F., 2016, "Social innovation: Institutionally embedded, territorially (re) produced," Social innovation and territorial development, pp.27-40.
  30. Reader, D. and Watkins, D., 2006. "The social and collaborative nature of entrepreneurship scholarship: a cocitation and perceptual analysi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0(3), pp.417-441.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6.00127.x
  31. Schumpeter, J. A., 1934,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32. Sharir, M. and Lerner, M., 2006,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41(1),pp.6-20. https://doi.org/10.1016/j.jwb.2005.09.004
  33. Tanimoto, K. and Doi, M., 2007, "Social innovation cluster in action: a case study of the San Francisco Bay Area," Hitotsubashi journal of commerce and management, pp.1-17.
  34. Van Klink, A. and De Langen, P., 2001, "Cycles in industrial clusters: the cas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Northern Netherlands,"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2(4), pp.449-463. https://doi.org/10.1111/1467-9663.00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