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of Contents Scene as a Cultural Empathy of Cities: A case of 'Contents Tourism'

도시의 문화적 공감대로서 콘텐츠씬의 인식: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 Jang, Wonho (Department of Urban Sociology, University of Seoul) ;
  • Chung, Suhee (Center for Glocal Culture and Empathetic Society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of Konkuk Univ.)
  • 장원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 정수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Received : 2019.06.10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Empathy is the ability to feel,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emotions of others from the standpoint of others. Recently, 'sympath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emotional empathy in relation to individuals but also in 'social empathy', which sees sympathy as a basic principle for maintaining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empathy as a new driving force for modern society and focused on 'urban scene' as a spatial application for cultural empathy in the city. Urban scenes approach the city as a space of consumption, classify it according to its inherent attributes,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pproaches the existing urban scene theory in terms of empathy. In addition, as a way to consume city images reflected on contents, a concrete example of 'contents tourism'is examined, and a 'contents scene' is proposed as a new urban scene and its meaning and possibility are presented.

공감(Empathy)은 타인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통해 타인의 입장에서 그 사람의 감정을 느끼고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다. 최근, 개인 간의 관계적 측면에서의 감정적 공감뿐만 아니라 사회를 유지하는 기본 원리로서 공감을 바라보는 '사회적 공감'에 이르기까지 '공감'의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새로운 동력으로서 공감의 문제에 주목하고,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공감에 대한 공간적 적용으로서 '도시씬(urban scene)'에 주목했다. 도시씬은 도시를 소비의 공간으로 접근하며 도시공간들이 가진 고유한 속성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도시씬 이론을 공감의 관점에서 재접근하고, 새로운 도시 소비의 형태로서 콘텐츠에 반영된 도시이미지를 소비하는 방식으로서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체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새로운 도시씬으로서 '콘텐츠씬'을 제안하고 그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현.장원호, 2016, "도시씬(urban scene)과 지역발전," 지역사회학 17(1), pp.5-28.
  2. 김수정, 2018, "도시경제공간을 둘러싼 장소의 의미 변화: 로스엔젤레스 '자바시장(Jobber Market)'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2), pp.63-74.
  3. 김수정, 2019, "서울시 도시 씬의 밀집도 및 네트워크 특성 변화," 지역사회학 20(1), pp.65-90.
  4.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498-513.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498
  5. 박성희, 1996,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연구," 敎育學硏究 34(5), pp.143-166.
  6. 박성희, 2010, 공감학, 학지사.
  7. 박지희, 2015, "공감(empathy)과 동정(sympathy) - 두개념 대한 비교 고찰," 수사학 24, pp.91-116.
  8. 변미리, 2016, "도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시선: 도시 정체성과 서울의 장소성," 국토 418, pp.29-33.
  9. 변미리.장원호.이종열, 2010, 서울시 씬(Scenes) 지도작성을 통한 서울 공간 특성화 전략 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0. 유찬기.남기범, 2018, "사회과학의 공감연구 동향과 특성," 문화콘텐츠연구 13, pp.75-100.
  11. 이명호, 2017, "공감의 구조변동, 관계지향적 삶의 실천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20(4), pp.65-90.
  12.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51-67.
  13. 장경재, 2015, "콘텐츠 관광에서 코스프레의 의의와 지역발전에서의 역할," 문화콘텐츠연구 6, pp.7-46.
  14. 장원호, 2010, "도시 '씬(scene)'과 문화공동체," 지역사회학 12, pp.183-206.
  15. 장원호, 2013, "서울과 동경의 '보헤미안 씬(scene)'비교," 사회과학논총 1, pp.141-161.
  16. 장원호, 2014, "서울과 동경의 보헤미안 장소 비교," 지역사회학 15, pp.5-30.
  17. 장원호, 2019, "공감 사회와 그 적들," 2019 HK국제학술회의 - 사회적 가치 창출과 혁신 : 환동해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pp.253-260.
  18. 정수희, 2017, "문화콘텐츠를 통한 도시의 지역다움 연구: 한.일 공예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20. 정수희.이병민, 2015, "영상콘텐츠를 통한 창조적 장소이미지 구축 과정에 대한 연구 : 일본 아니메 성지순례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7(1), pp. 112-128.
  21. 정수희.이병민, 2016,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8(4), pp.55-80.
  22. 제레미 리프킨, 이경남 역, 2010, 공감의 시대, 민음사 (=Jeremy, R., 2009, (The)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New York: Penguin/Tarcher)
  23. 최지연, 2014, 수원의 문화적 공간 해석을 위한 기초연구도시 씬(Urban Scene) 개념을 활용한 공간 분석, 수원시정연구원.
  24. 허순향.남승규, 2019, "공감의 구성요소와 심리적 기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3), pp.939-947.
  25. 増淵敏之, 2009, "コンテンツツ一リズムとその現状," 地域イノベーション 1, pp.33-40.
  26. 増淵敏之, 2018, ロ一カルコンテンツと地域再生-観光創出から産業振興へ, 水曜社.
  27. 山口泰弘, 2013, "地域限定アニメにおける持続的な取り組み," 地域開發 589, pp.22-26.
  28. 山村高淑, 2008, "アニメ聖地の成立とその展開に関する研究: アニメ作品 らき☆すた による埼玉県 鷲宮町の旅客誘導に関する一考察," 国際広報メディア.観光学ジャ一ナル 7, pp.145-164.
  29. 山村高淑, 2011, アニメ.マンガで地域振興 -まちのファンをうむコンテンツツ一リズム開発法-, 東京法令出版.
  30. コンテンツツ一リズム学会, 2014, コンテンツツ一リズム入門, 古今書院.
  31. Beeton, S., Yamamura, T. and Seaton, P., 2013, "The Theoty and Pratice of Contents Tourism," in Lester, J-A. and Scarles, C. (eds.), Mediating the Tourist Experience: From Brochures to Virtual Encounters, Farnham and Burlington; Ashgate, pp.8-11.
  32. Boulding, K. E., 1956, The Image: Knowledge in Life and Societ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3. Clark, T. N., Lloyd, R., Wong, K. and Jain, P., 2002, "Amenities Drive Urban Growth," Journal of Urban Affairs 24(5), pp.493-515. https://doi.org/10.1111/1467-9906.00134
  34. Clark, T. N., 2004, Urban Amenities: Lakes, Opera, and Juice Bars: Do They Drive Development?, in Clark, T. N. (ed.), The City As an Entertainment Machine, Londo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pp. 103-140.
  35. Clark, T. N., 2007, "Making Culture Into Magic: How Can it Bring Tourists and Residents?,"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12(1), pp.13-25. https://doi.org/10.1080/12294659.2007.10805088
  36. Glaser, E., Kolko, J. and Saiz, A., 2004, Consumers and Cities, in Clark, T. N. (ed.), The City As an Entertainment Machine, Londo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37. Jang, W., 2011, "Urban 'Scenes' and Local Development: The Case of Seoul," Journal of Social Sciences 14, pp.11-23.
  38. Navarro, C. J., Cristina, M. and Maria, J. R., 2014, "Cultural Scenes, the Creative Class and Development in Spanish Municipalities,"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21(3), pp.301-317. https://doi.org/10.1177/0969776412448188
  39. Silver, D. A. and Clark, T. N., 2015, "The Power of Scenes: Quantities of Amenities and Qualities of Places," Cultural Studies 29(3), pp.425-449. https://doi.org/10.1080/09502386.2014.937946
  40. Silver, D. A., Clark, T. N. and Navarro, C., 2010, "Scenes: Social Context in An Age of Contingency," Social Forces 88(5), pp.2293-2324. https://doi.org/10.1353/sof.2010.0041
  41. Wu, D., 2013, The Research on Urban Residential Choice and Housing Price's Spatial Difference in China: Based on The Theory of Scenes, Beijing, Economy & Management Publishing House.
  42. 개인블로그(いにしえのまち一避難小屋-) http://habusan. blog.jp/archives/cat_50054476.html(최종열람 2019. 05. 30.)
  43. 나무위키 <트루 티어즈> https://namu.wiki/w/%ED%8A%B8%EB%A3%A8%2%ED%8B%B0%EC%96%B4%EC%A6%88(최종열람 2019. 05. 30.)
  44. <트루 티어즈> 공식홈페이지 http://www.truetears.jp/(최종열람 2019. 05. 30.)

Cited by

  1. 한국 계층갈등의 지형과 공감사회: 코로나 시대의 극복방안 vol.23, pp.3,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3.197
  2. Attribution Model of Travel Intention to Internet Celebrity Spots: A Systematic Exploration Based on Psychological Perspective vol.12, 2019, https://doi.org/10.3389/fpsyg.2021.797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