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posal for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 Using Service Design : focus on the marketplaces and high school students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통일 교육 콘텐츠 제안 장마당과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고은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 김성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경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Expectations for reunification have been higher than ever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come more flexible. However, since most of the integrated education in high school is based on teachers and textbook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minimal as it fails to attract learners' interest. Therefore,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North Korean market, the market for the rainy season, and our market. Through this development, the government proposed a new content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would raise interest in unification and effectively learn how the two Koreas can be divided. The main analyses and stud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First, the current state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unification of North Korea, unification and school. (2) Based on the analyzed data, a learner-centered, participatory service concept was derived. (3) Based on the concept of service, a prototype of a unified education content based on the theme of a marketplaces. (4) Tested a prototype of the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5) Based on the prototyping test results and user analysis, a unified education content was improved and proposed. The study could replace and supplement traditional method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services to high school students.

최근 남북의 관계가 유연해짐에 따라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여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는 통일 교육은 교사, 교재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대부분이어서 학습자의 흥미를 크게 유도하지 못해 교육 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시장인 장마당과 우리의 시장을 주제로 고등학생들을 실제로 통일 교육에 참여시켰다. 이를 통해 통일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고 남한과 북한이 서로 어우러지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통일 교육 콘텐츠를 제안했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과 연구는 다음과 같다. : (1) 먼저 북한과 통일, 그리고 학교 통일 교육 자료 조사를 통해 북한에 대한 이해 정도와 현재 통일 교육의 현황을 분석했다. (2)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통일 교육에 필요한 학습자 중심, 참여형 서비스 컨셉을 도출했다. (3) 서비스 컨셉을 바탕으로 장마당을 주제로 한 통일 교육 콘텐츠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했다. (4) 제작한 통일 교육 콘텐츠 프로토타입을 실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테스트했다. (5)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결과와 사용자 분석을 바탕으로 통일 교육 콘텐츠를 개선하여 제안했다. 효과적인 통일 교육 서비스 제공을 통해 기존의 통일 교육 방법을 대체, 보완함으로써 고등학교 학생대상 통일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협. 올해 한국전쟁 끝나고 평화협정 체결된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842446.html 2018.05.02.
  2. 송민혜. 포스트 통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 연구. 17(12).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학회. pp. 515-543. 2017.
  3. Design Council. The Design Process: What is the Double Diamond?. https://www.designcouncil.org.uk/news-opinion/design-process-what-double-diamond Nov. 08. 2018.
  4. 김영철. 여성청소년 통일교육을 위한 통일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 청소년학회지. 5(2). 미래 청소년학회. pp. 147-167. 2008.
  5. 김종세. 인터넷을 통한 남북통일교육에 대한 소고 : 통일교육지원법을 근거로 하여. 法學論叢. 16(1). 朝鮮大學校 法學硏究所. pp. 327-343. 2009.
  6. 정희태.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통일전략. 10(2). 한국통일전략학회. pp. 37-92. 2010.
  7. 박광득. 통일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연구. 통일전략. 14(1). 한국통일전략학회. pp. 127-160. 2014.
  8. 정근식. 김선, 문인철, 송영훈, 정동준, 조동준, 천자현, 황정미, 김희정, 이정옥, 임수진. 2017통일의식조사. 통일의식조사.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pp. 1-440. 2017.
  9. 통일교육원. 2017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통일교육원 학교통일교육과. 2017.
  10. 통일 교육부. 창의적 체험 활동. http://tongil.moe.go.kr/edu/edu_listEdu.do 2018.06.12.
  11. 통일 교육부. 활동 중심 통일 교육. http://tongil.moe.go.kr/cmm/cmm_listBBS.do?bbsId=BBSMSTR_000000000031 2018.06.18.
  12. 전주성. 교육훈련을 Active하게 만드는 101가지 방법. 서울: 학지사. 2012.
  13. 동용승. 최근 북한 장마당의 실태와 식량난 : 불안정한 북한 시장과 시장에 의한 식량조달. 北韓. 465. 북한연구소,. pp. 134-14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