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노인

Search Result 7,54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Housing in Korea : In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Among Korea , Japan and the U.S.A.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 최정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7 no.2
    • /
    • pp.45-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Housing Expenditures of Elderly Households and Implication for Economic Well-Being (노인가계의 주거비지출과 경제복지)

  • Shim, Young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 no.1
    • /
    • pp.57-68
    • /
    • 1992
  • 1970년대 이래로 노인들의 평균적인 경제상태가 향상되어 왔지만, 상당한 수의 노인들이 여전히 빈곤할 뿐만 아니라 노인들 각자가 경험하는 경제복지는 다르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경제복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이한 노인가계들간의 복지상태를 비교하였다. 경제복지는 주거비가 차지하는 가계소득에 대한 비로 측정하였다. 노인가계는 노부부가계, 노인남성가계, 노인여성가계로 구분하였다. 미국의 3,449 노인가계들이 연구분석에 사용되었다. 노인가계들간의 경제복지를 비교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어졌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이한 노인가계들간에 경제복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노인여성인 경우 경제복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ypology and the Casual factors of Elderly-abuse (노인학대 유형화 및 유형결정요인 연구)

  • Lee, Yun-Kyung;Kim, Mee-Hye
    • 한국노년학
    • /
    • v.28 no.4
    • /
    • pp.1165-1178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developing the new types of elderly abuse and find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ew elderly abuse type. And This is at suggesting the intervention strategies preventing the elderly abuse. The 350 cases of elderly abuse reported in Elder Protection Agency was analysed. Data is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cluster analysis and logit-regression. New type of elderly abuse is "violent elderly abuse" and "avoiding elderly abuse". Violent elderly abuse is very connected with directly violence speech and behavior and avoiding elderly abuse is connected with neglect and abandonment, self-neglect. The elderly's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education, the offender's sex and education and living together type of the elderly - the offender, and the offender's care burden are the casual factors of the new type of elderly abuse.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service programmes for the abused elderly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Correlates among Young-old and Old-old Elderly People with Poverty in Korean Urban Community (일 도시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관련요인)

  • Kim, Hye-Ryoung
    • 한국노년학
    • /
    • v.32 no.3
    • /
    • pp.941-95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correlates among elderly people(young-old vs old-old) with poverty. Methods: The sample was 434 of young-old elderly and 209 of old-old elderly people who were 60 and over and basic livelihood recipient in Korean urban community. Depression was measured by Geriatric Depression Scale by Yesavage et al.(1983) in Korean Ver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greater for old-old people(63.2%) compared to young-old people(53.9%).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e difference of correlates of depressi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elderly peopl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young-old people was associated with renting in housing type; bad self-rated health status; lack of regular leisure activity; lack of regular eating habit, whereas old-old people was affected by lower social support; moderate or bad self-rated health status; lack of regular leisure activity Conclusion: The finding of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correlates between young-old and old-old people is expected to promote the screening strategy for elderly at risk of depression in Korean community elderly with poverty.

The Concept and Types of Elderly Playground for the Senior (시니어를 위한 노인놀이터의 개념과 유형)

  • Ko, Minjeong;Lee, Gunwoongg;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7-148
    • /
    • 2018
  • 21세기 초고령화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와 필요가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노인복지관과 노인문화복지관은 급변하는 노인들의 욕구를 채워 주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니즈를 충족하는 새로운 개념의 노인놀이터가 필요하다. 노인놀이터는 실내형 노인놀이터와 실외형 노인놀이터가 있으며, 노인전용놀이터와 다세대놀이터 등으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노인놀이터는 처음 중국에서 개발해 설치되었으며, 미국, 일본, 캐나다,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한국형 노인놀이터의 개발을 위한 개념과 유형 등을 분석해 본다.

  • PDF

A Study on Older Adults' Meaning of 'Ageism'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의미화 방식에 관한 연구)

  • Lee, Ji young
    • 한국노년학
    • /
    • v.29 no.4
    • /
    • pp.1205-123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older adults give meaning of ageism with relation to their self-identi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response to daily life ageism is divided in four types: 'denial', 'evasion', 'acceptance', 'problematic proposal', and 'iso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geism in-dep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cover tension and suppression within society regarding ageism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older participants, and reveal the latent dimension which is not caught with the languag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ctims of Crime (범죄피해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Sim, Hy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5-326
    • /
    • 2022
  • 통계청에 의하면 65세 이상 인구가 2024년 1,000만명을 도래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노인치안 이슈들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노인범죄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경찰청, 2021). 치안서비스 대상에서 주요한 영역을 차지하게 될 노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범죄피해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함에 있어 연도별 노인의 범죄피해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는지를 이 연구에서는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14년, 2016년, 2018년 전국범죄피해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 중 만65세 노인대상 자료만을 추출하여 2014년 1.921명, 2016년, 2,935명, 2018년 2,707명을 각각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ver 21.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2014년에는 사회적 무질서 수준과 노인범죄피해와의 관계성이 높았다면, 2016년에는 물리적 무질서 수준과 노인범죄피해와의 관계성이 높았고, 2016년과 2018년에는 독거노인과 빈 집으로 가구가 노출되는 시간이 긴 정도가 노인범죄피해와의 관계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도별 노인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변화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추후 노인범죄예방을 위한 정책마련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ves of Senior-Only Households and Elderly Households Living with Adult Children: the case of Seoul (노인단독세대와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생활실태 비교 분석)

  • Lee, Kyung-Cheol;Kang, Young-Sik;Park, Jung-Hwan;Kim, Sun-T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01-10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 단독세대와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가족 및 거주형태, 경제적 상황, 건강 및 의료, 여가활동 등의 생활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단독세대 노인과 자녀동거세대 노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한 서비스 향상과 노인복지정책의 방향 정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로는 고령화 사회와 노인문제, 노인의 동거형태, 노인의 생활실태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노인 단독세대 75명과 자녀동거세대의 노인 75명으로, 총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노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 Son, Myeong-Dong;Park, Ch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3-374
    • /
    • 2012
  • 치료레크리에이션은 사회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레크리에이션 서비스대상은 특수대상과 일반대상으로 구분된다. 한국치료레크리에이션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상에서 특수대상으로는 발달장애아동, 물질중독청소년, 가출청소년, 정신장애인, 뇌졸중노인, 치매노인, 장애노인 등이고 일반대상으로는 인터넷 중독성향 청소년, 직장인, 일반인가족, 갱년기 주부, 건강노인, 건강노인부부 등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가족과 사회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의존적 노인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호의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치매노인의 절대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대화, 산업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가족의 노부모 부양기능은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의료 및 사회적 보호문제는 노인복지제도의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本) 고(稿)에서는 노인복지제도의 향상의 일환으로 노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실제 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해보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가족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 1995-2005

  • Yu, Jeong-Gyun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7.11a
    • /
    • pp.299-316
    • /
    • 2007
  • 이 연구는 가족의 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입지조건 가족불안정성 사회경제적 수준을 설명변수로 인과구조의 분석모형을 만들었다. 자료는 1995년, 2000년, 2005년의 사망원인통계와 시 군 구 지역단위통계를 활용하였다. 이혼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혼이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노인과 20-50대, 그리고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자살률을 분석에 같이 사용하였다. 이 논문은 GIS를 이용하여 세시점의 자살률을 제시하였고, 입지조건 및 이혼에 따른 노인자살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부 지역에서만 높은 수치를 보이던 노인자살률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져, 최근에는 남서해안을 제외한 대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인의 자살이 높은 지역이 대도시에서 농촌지역으로 변화해 농촌지역에서의 노인자살이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증한 이혼은 가족불안정성으로 이어져 자살률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노인자살률과 20-50대 자살률에 미치는 이혼의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인의 경우 더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혼이 자살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데, 여자노인보다 남자노인자살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보면 가족불안정성이 특히 남자노인자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