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sures for Detection Error from the Displacement Distortion of the RADAR Waveform

레이더 전파의 왜곡현상에서 오는 탐지 오류 저감 방안 연구

  • Kim, Jin Hieu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Graduate) ;
  • Kim, ChangEun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Graduate) ;
  • Lee, Yong-Soo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Graduate)
  • 김진희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대학원) ;
  • 김창은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대학원) ;
  • 이용수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9.04.27
  • Accepted : 2019.05.28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21^{st}$ century is digitally civilized era. Technologies such as AI, Iot, Big Data, Mobile and etc makes this era digitally advanced. These advancement of the technology greatly impacted detection range of the radar. Human's eye sight can see about 20Km and hear 20 ~ 20000 Hz. These limitations can be overcome using radar. This radar technology is used in military, aircraft, ship, vehicle and etc. to replace human eye. However, radar technology is capable of making False Alarm Rate. This document will propose the fix of these problems. Radar's distortion includes beam refraction, diffraction and reflection. These inaccurate data result in deterioration of human judgements and my cause various casualties and damages. Radar goes through annual testing to test how many false alarm is being produced. Normal radar usually makes 10 to 20 False alarms. In emergency situation, if operator were to follow this false alarm, this might result in following false object or take 12 more seconds to follow the right object. This problem can be overcome by using different radar data from different places and angles. This helps reduces False Alarm rate and track the object twice as fast.

현 시대는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 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등과 같은 기술을 토대로 한 Digital화 문명사회로써, 이와 더불어 레이더 분야 또한 탐지 범위가 날이 갈수록 장거리화 되어가고 있다. 사람은 가시거리가 최대 20Km 정도이고, 가청 주파수는 20~20000Hz이다. 이렇게 제한적인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거리를 보기 위한 것이 레이더이며, 이러한 레이더들은 모두 장비 특성상 허위 항적을 발생하고 이로 인한 탐지 오류의 과실을 범하게 된다. 레이더의 왜곡 현상은 "비임의 굴절, 회절, 반사성, 허위 항적"이라는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초래되는 인간(방공 관제사)의 판단력 저하와 인적 과실은 전투기 출격을 야기하는 등 엄청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긴박한 상황이나 중요 표적을 추적 감시할 때 가짜 항적을 추적 한다면 실질적 목표 표적을 놓칠뿐 만 아니라 재 추적을 위한 시간 지연이 불가피하다. 보완 대책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와 각도에서의 레이더 포착 자료를 서로의 레이더 자료로 전송하여 합성하면 왜곡된 자료의 분석, 교정이 가능하고 허위 항적 발생 감소와 더불어 목표물 추적의 정확도 향상이 기대되기에 본 방안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i Younghun (2015). "Construction and Experiment of an Educational Radar System."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89-102.
  2. Radar System - Concept of Operation (2015) IAI Elta System Ltd. Israel.
  3. Surface Clutter RCS Analysis for Ground-Based Radar. internet.
  4. Introduction to the Radar Technology (2009.5.11.) 홍익대 전자전기 공학부. 오이석 교수.
  5. 레이더 이론 및 원리(2000.6.30.) 광명출판사. 정재순 역(Merrill Isuolnik 저).
  6. 레이더 공학(1997.1.) 보성문화사. 이상설, 강정수 역.
  7. 작사 레이더 평가(2000. 6.) 공군 작전 사령부.
  8. 전자전/레이더 원리(2002. 4.) 공군 전투 발전단.
  9. 지면 기반 레이더에 대한 지표면 Clutter RCS 분석(2018.6.29.) 문창만, 안도진, 이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