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무변화모형
그림 2. 선형변화모형
그림 3. 조건부 모형
그림 4. 동일대상의 6년 뒤 우울수준의 변화
표 1. 변수 및 변수 설명
표 2.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3. 무조건부 모형 적합도 분석 결과
표 4. 노인의 우울 수준 변화 추정치
표 5. 조건부 모형 적합도 분석 결과
표 6.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 영향요인
References
- 김진훈, 고보선, "노인 가구 소비유형별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노인복지학회, 제71권, 제4호, pp.477-502, 2016.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2019.
- 이민숙, 김나영,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1호, pp.161-176, 2007.
- P. E. Greenberg, R. C. Kessler, H. G. Birnbaum, S. A. Leong, S. W. Lowe, and P. A. Berglund, "The economic burden of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How did it change between 1990 and 2000,"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64, No.12, pp.1465-1475, 2003. https://doi.org/10.4088/JCP.v64n1211
- 최지민, 황선영, 김순은, "사회적 관계망과 고령자의 문제: 성별과 사회관계망 간 상호작용의 정책적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5권, 제4호, pp.83-114, 2013.
- 김진훈, "노인 가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339-349,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339
- Beck, Depression Inventory, Philadelphia: Center for Cognitive Therapy, 1978.
- 고민석, 서인균,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14, 2011. https://doi.org/10.22900/KPHR.2011.37.1.001
- 질병관리본부, 201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 2018.
- 전혜정, 김명용, "노년기 취업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의 성차," 韓國老年學, 제34권, 제2호, pp.315-331, 2014.
- 김봉균, 하연주, 최송식,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신체적․심리적․사회적요인을 중심으로," 韓國老年學, 제34권, 제1호, pp.115-132, 2014.
- 김진현,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3호, pp.181-201, 2015.
- 이가현, 정성창, 장승민,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제18권, 제4호, pp.25-59, 2017.
- 이난희, 방기현, 송혜숙, "종단자료를 활용한 우리나 라 노인의 우울 변화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제43권, 제3호, pp.13-25, 2017. https://doi.org/10.22900/KPHR.2017.43.3.002
- J. S. Norbeck, A. M. Lindsy, and V. L. Carrieri,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Vol.30, pp.264-269, 1981.
- 장수지,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p.75-100, 2010.
- 강소랑, 문상호,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 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3호, pp.271-298, 2012.
- 김태면,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이인정,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35-50, 1999.
- 한혜경, 이유리,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805-822, 2009.
- 정순둘, 문진영, 김성원,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145-1161, 2010.
- 임소영, 강민아, 조성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 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제1호, pp.281-308, 2013.
- 임은의, 문현정, 임세현, "사회활동을 하는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연구, 제22권, 제3호, pp.89-109, 2014. https://doi.org/10.22921/JRS.2014.22.3.005
- 박소영,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154-190, 2018.
- 이주연, 하상희, "노년기 부부관계의 질, 우울, 삶의 만족도간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과 성별다집단분석," 상담학연구, 제17권, 제1호, pp.415-435, 2016.
- 전해숙, 강상경,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韓國老年學, 제29권, 제4호, pp.1611-1628, 2009.
- 박소영,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1호, pp.154-190, 2018.
- 남기민,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제1호, pp.325-348, 2011.
- T. Duncan and S. Duncan, "An introduction to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Behavior Therapy, Vol.35, No.2, pp.333-363, 2004. https://doi.org/10.1016/S0005-7894(04)80042-X
- L. Hu and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임중철, 주경희, 임병우, "노인의 일자리참여활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7권, pp.29-50, 2012.
- T. A. Glass, C. F. M. de Leon, S. S. Bassuk, and L. F. Berkma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longitudinal finding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18, No.4, pp.604-628, 2006. https://doi.org/10.1177/0898264306291017
- D. Julien, L. Gauvin, L. Richard, Y. Kestens, and H. Payette, "The rol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walking i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VoisiNuAge Study," Canadian Journal on Aging, Vol.32, No.1, pp.1-12, 2013. https://doi.org/10.1017/S07149808130000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