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on Problem Drinking among Middle-aged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ang, S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ang, Sorang (Policy Research Center, Seoul50Plus Foundation) ;
  • Moon, Sangho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Sungkyunkwan University)
  • 강시온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강소랑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센터) ;
  • 문상호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08.15
  • Accepted : 2019.10.14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iddle-aged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ffects problem drinking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nd to examine the problem drinking could be mitigated by social supports. We used the 2015 Korean Adults' Psycho-Social Anxiety Survey data. To detec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we employed a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mong middle-aged adults, the higher was the likelihood of problem drinking.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and problem drinking could be moderated by social support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 to deal with middle-aged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well-being in old age should be developed and recommends that counseling and community programs for social supports to be implemented as a preventive approach.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 사회적 지지,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이론적 내용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 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평균중심화한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이 높을수록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노후불안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제음주를 낮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장년층을 위한 예방적 방안을 강조하였다.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교육 확대 및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그들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상담 및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끝으로 중장년층의 생애설계를 논하면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