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연구의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 투고 : 2019.10.17
  • 심사 : 2019.11.14
  • 발행 : 2019.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초등수학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총 37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논문에 포함된 총 1140개의 키워드들에 대하여 Krkwic 프로그램과 NodeX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빈도분석 결과 최소 5회 이상 출현하여 나타난 키워드는 48개로 수학과교육과정,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문제해결, 수학영재 등이 있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서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 키워드는 수학교과서, 학교수학, 수학과교육과정, 수학문제해결, 수학적의사소통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학술지의 연구의 주요한 연구 주제어를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제언을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keywords in the journal and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the Krkwic program and NodeX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74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keyword cleansing process and 48 keywords, including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etc. appeared more than five times. Secondly,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keywords-mathematics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s-have high connection centrality. Finally, we provi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경 (2018).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전문성.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연보 초등수학수업전문성 (pp. 7-18). 서울: 경문사.
  2. 교육부 (2015). 초.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3. 권나영, 김래영, 김구연 (2011).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A-수학교육, 50(4), 507-520
  4. 김상아, 강정배, 변찬석 (2015).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국내 학습장애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449-471.
  5. 김유경, 방정숙 (2017).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C-초등수학교육, 20(1). 19-36.
  6. 김종훈, 최우식, 정미라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유아교육연구, 37(3), 269-288.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3.013
  7.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8. 박선영, 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89-310
  9. 박지순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장애인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6(2). 107-126
  10. 박한우, Leydesdorff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한국자료분석학회지, 6(5), 1377-1387
  11. 선우진, 방정숙 (2019).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수학교육, 58(1). 121-138
  12. 연준모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유아특수교육연구, 19(2), 173-204.
  13. 이성용, 김진호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지적장애연구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지적장애연구, 19(1), 1-19.
  14.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15. 임수진, 박형신 (2019).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놀이'의 의미구조 탐색: 유아교육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9(2), 385-407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6
  16. 정은주 (2017).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과용 도서의 적합성 분석:학습부진학생 지도 관점에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3), 135-153.
  17. 조남옥, 조규락 (2017).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상담학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탐색. 상담학연구, 18(2), 1-19. https://doi.org/10.15703/KJC.18.2.201704.1
  18. 조은혜, 홍성두 (2018). 초등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중재연구 동향분석. 교육연구, 71, 133-154.
  19. 조혜정, 김인수 (2016).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E-수학교육 논문집, 30(1). 67-83
  20. 진영수, 강홍재 (2014). 일본의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41-355.
  21. 최지은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605-626.
  22.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A-수학교육, 49(1). 67-83
  23. 한채린, 권오남 (2018). 국내 초기 대수 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초등 수학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2), 115-142.
  24. Conneted Action (2019). https://www.connectedaction.net/nodexl-clusters-components-and-groups-creating-and-managing-collections-of-vertices/ 에서 2019년 10월 인출.
  25. Danowski, J. (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 Commun Sci.. 12. 198-221.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2411253_Network_analysis_of_message_content/link/5cd8be16458515712ea67b4b/download 에서 2019년 10월 인출.
  26. NodeXL Korea (2015). 노드엑셀따라잡기. 서울: 패러다임북
  27. Stein, M. K., Remillard, J. T., & Smith, M. S. (2007). How curriculum influences student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19-370). Charlotte, NC: Information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