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troducing Frac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법에 대한 고찰: 단위 조정 단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7.22
  • Accepted : 2019.08.2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he thir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 activitie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fractions. As results, the sessions of introduction units in textbooks was well organized to allow students to construct more extensive fraction schemes (i.e., Part-whole fraction scheme → Partitive unit fraction scheme → Partitive fraction scheme). However, most of the activities in textbooks were related to stages 1 and 2 of units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operations and partitioning schemes (i.e., equi-partitioning and splitting schemes), which are key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fraction knowledge, were not explicitly revealed. Fraction schemes also did not extend to the Iterative fraction scheme, which is central to the construction of improper fra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to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본 연구에서는 분수 학습에서 단위 조정 단계를 강조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3학년 수학 교과서의 분수 도입 단원을 고찰하고, 교사가 교과서를 활용하여 분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자연스럽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는 발문 및 추가 활동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의 분수 도입 단원은 단위 조정 단계와 관련하여 더 확장된 분수 스킴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들이 잘 배열되어 있었다(즉, 부분-전체 분수 스킴 → 분할 단위분수 스킴 → 분할 분수 스킴). 그러나 각각의 활동들은 단위 조정의 각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발달하는 데 핵심이 되는 조작을 더욱 명시적으로 강조하여 등분할 스킴과 스플리팅 스킴을 구성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가분수를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반복 분수 스킴을 구성하도록 돕는 활동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단위 조정 단계와 관련하여 교사가 각 차시에서 무엇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를 정리하였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발문이나 활동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및 교과용도서 개발자에게 단위 조정 단계를 중심으로 분수를 도입하는 것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2014). 분수 개념 지도 내용과 방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3), 467-480.
  2. 강흥규(2005). 분수 개념과 알고리듬 지도 양상 비교: McLellan, MiC, 한국의 교재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375-399.
  3. 교육부(2018a).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2018b). 교사용 지도서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2019a).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2019b). 교사용 지도서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7. 김유경, 방정숙(2012). 3학년 학생들의 전체-부분으로서의 분수에 대한 이해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3), 311-329.
  8. 김태은, 오상철, 우연경, 권서경(2018). 초중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성장 과정에 대한 연구(II) (연구보고 RRI 2018-4).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신재홍, 이수진(2019). 비례 관계를 이용한 미지값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개념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9(2), 227-250.
  10. 이지영, 방정숙(2014). 분수의 다양한 의미에서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실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4(1), 83-102.
  11. 이지영, 방정숙(2016a).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 교육 재고. 학교수학, 18(3), 625-645.
  12. 이지영, 방정숙(2016b). 이분모분수 덧셈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학교수학, 18(4), 793-818.
  13. 정은실(2009). 싱가포르와 우리나라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한 분수 개념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9(1), 25-43.
  14. 조형미, 강완(2015). 한국, 대만, 중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분수 개념 지도 방법. 학교수학, 17(4), 571-591.
  15. Barnett-Clarke, C., Fisher, W., Marks, R., & Ross, S. (2010).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rational numbers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Reston, VA: NCTM.
  16. Boyce, S., & Norton, A. (2017). Dylan's units coordinating across contexts.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45, 121-136. https://doi.org/10.1016/j.jmathb.2016.12.009
  17. Hackenberg, A. J. (2007). Units coordin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improper fractions: A revision of the splitting hypothesis.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26, 27-47. https://doi.org/10.1016/j.jmathb.2007.03.002
  18. Hackenberg, A. J. (2010). Students' reasoning with reversible multiplicative relationships. Cognition and Instruction, 28(4), 383-432. https://doi.org/10.1080/07370008.2010.511565
  19. Hackenberg, A. J. (2013). The fractional knowledge and algebraic reasoning of students with the first multiplicative concept.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32, 538-563. https://doi.org/10.1016/j.jmathb.2013.06.007
  20. Hackenberg, A. J., Norton, A., & Wright, R. J. (2016). Developing fractions knowledge. Thousand Oaks: Sage.
  21. Hackenberg, A. J., & Tillema, E. S. (2009). Students' whole number multiplicative concepts: A critical constructive resource for fraction composition schemes.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28, 1-18. https://doi.org/10.1016/j.jmathb.2009.04.004
  22. Lamon, S. J. (2012). Teaching fractions and ratios for understanding: Essenti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ers (3th ed.). New York: Routledge.
  23. Norton, A., Boyce, S., Ulrich, C., & Phillips, N. (2015). Students' units coordination activity: A cross-sectional analysis. Journal of Mathematics Behavior, 39, 51-66. https://doi.org/10.1016/j.jmathb.2015.05.001
  24. Steffe, L. P. (2002). A new hypothesis concerning children's fractional knowledg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0, 267-307. https://doi.org/10.1016/S0732-3123(02)00075-5
  25. Steffe, L. P., & Olive, J. (2010). Children's fractional knowledge. New York: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