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의 소득수준이 계층인식 불일치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준거집단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s of Regional Income Level on Subjective Income Status, and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 Focused on Reference Group Effects -

  • 안아림 (한국주택관리연구원) ;
  • 마강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투고 : 2019.06.03
  • 심사 : 2019.06.28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사람들이 생활을 영위하는 최소 공간단위라 할 수 있는 읍면동 수준에서 지역의 소득수준이 계층인식의 불일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소득 분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주어진다고 가정할 때, 개인의 삶의 만족감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객관적 소득수준보다 계층인식은 낮아지는 하향불일치 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이 높은 지역보다 낮은 지역에서 저소득층의 삶의 만족감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정책결정자의 입장에서 정책의 대상이 되는 이들의 요구는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셋째, 계층인식 불일치 감소에 의한 삶의 만족감 변화는 지역의 소득수준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평균적인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삶의 만족감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 수준과 다른 상황에서 나타나는 정책적 요구는 그들의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에 의의가 있다.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studies that show huge discrepancies between individuals' perceptions of relative economic position and the economic position based on the reported income in the survey. If this is the case, it is expected that the impact of perceived income status on individual happiness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objective income status based on the reported incom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crepancies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with respect to relative income status, focusing on the 'Reference group theory'. This study also tries to extend existing knowledge of the relative status on the happiness level of individuals, by examining how individual's happiness can be changed by providing th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ir objective income level. There are systematic biases in perceived income status. A majority of people who actually rank in the lower part of income ladder place themselves in higher positions, while a significant portion of rich individuals underestimate their actual income status. Secondly, the misperception about the income distribution is affected by a variety of individual,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reference group income. Thirdly, providing individuals with accurate information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their happiness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진, 2010,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경제학연구, 58(1), pp. 5-36.
  2. 강은택.홍석동.마강래, 2016, 지역의 소득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 관계 분석, 대한부동산학회지, 33(2), pp. 117-130.
  3. 권오규, 2016,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금현섭.백승주, 2011, 사회보험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변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 pp. 61-86.
  5. 김영모, 1990, 현대사회계층론, 서울: 한국복지정책연구소출판부.
  6. 김유경, 2012, 중산층의 주관적 귀속의식 및 복지인식,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은희, 2015, 주관적 계층과 객관적 계층의 불일치에 따른 여가와 노동에 대한 인식 차이,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식.박세훈, 2005, 삶의 질이 도시의 질이다, 국토정책 Brief, 85, pp. 1-4.
  9. 박지은.권순만, 2015,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의 불일치와 건강 간의 연관성, 보건과 사회과학, 38, pp. 95-121.
  10. 송한나.이명진.최샛별, 2013, 한국 사회의 객관적 계급위치와 주관적 계층의식간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6(3), pp. 97-119.
  11. 오준범.이준협, 2014,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12. 이소라.홍기석, 2012,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의 검정, 사회과학연구, 38(3), pp. 1-27.
  13. 이현송, 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pp. 91-117.
  14. 임근식, 2012,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0(1), pp. 47-89.
  15. 임보영.마강래, 2015, 지역 내 준거집단과 비교한 경제적 격차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50(3), pp. 213-224. https://doi.org/10.17208/jkpa.2015.04.50.3.213
  16. 정희옥, 2016, 계층과 탈북자에 대한 태도: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인식의 격차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5(4), pp.167-196.
  17. 조동기, 2006,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 의식, 한국인구학, 29(3), pp. 89-109.
  18. 한준.김석호.하상응.신인철, 2014, 사회적 관계의 양면성과 삶의 만족, 한국사회학, 48(5), pp. 1-24.
  19. Cruces, G., Perez-Truglia, R., and Tetaz, M., 2013, Biased Perceptions of Income Distribution and Preferences for Redistribution: Evidence from a Survey Experi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8, pp. 100-112. https://doi.org/10.1016/j.jpubeco.2012.10.009
  20. Evans, M. D. R., and Kelley, J., 2004, Subjective Social Location: Data from 21 N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6(1), pp. 3-38. https://doi.org/10.1093/ijpor/16.1.3
  21. Evans, M. D., Kelley, J., and Kolosi, T., 1992, Images of Class: Public Perceptions in Hungary and Australi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7(4), pp. 461-482. https://doi.org/10.2307/2096095
  22.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pp. 117-140.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23. Graham, C., and Felton, A., 2006, Inequality and Happiness: Insights from Latin America, Journal of Economic Inequality, 4(1), pp. 107-122. https://doi.org/10.1007/s10888-005-9009-1
  24. Hyman, H. H., 1942, The Psychology of Status. Archives of Psychology.
  25. Hyman, H. H., 1960, Reflections on Reference Groups, Public Opinion Quarterly, 24(3), pp. 383-396. https://doi.org/10.1086/266959
  26. Johnson, W., and Krueger, R. F., 2006, How Money Buys Happiness: Genetic and Environmental Processes Linking Finance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4), pp. 680-691. https://doi.org/10.1037/0022-3514.90.4.680
  27. Kelley, H., 1952, Two Functions of Feference Groups, Readings in social psychology, 2, pp. 410-414.
  28. Knight, J., Song, L. and Gunatilaka, R., 2009, Subjective Well-being and Its Determinants in Rural China, China economic review, 20(4), pp. 635-649. https://doi.org/10.1016/j.chieco.2008.09.003
  29. Lora, E. and Fajardo, J., 2013, Latin American Middle Classes: The Distance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Economia, 14(1), pp. 33-60.
  30. Lora, E., 2015, The Distance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in the Social Domains of Life, in Mariano Rojas(eds.), Springer, pp. 531-555.
  31. McBride, M., 2001, Relative-Income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ross-section,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45(3), pp. 251-278. https://doi.org/10.1016/S0167-2681(01)00145-7
  32. Merton, R. K., and Kitt, A. S., 1950,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Reference Group Behavior in Merton, R. K. and Lazarsfeld P. F. (eds.), Studies in the scope and method of "The American Soldier, Free Press, pp. 40-105.
  33. Powdthavee, N., 2007, Feeling Richer or Poorer than Others: A Cross-section and Panel Analysis of Subjective Economic Status in Indonesia, Asian Economic Journal, 21(2), pp. 169-194. https://doi.org/10.1111/j.1467-8381.2007.00253.x
  34. Ravallion, M., and Lokshin, M., 2002, Self-rated Economic Welfare in Russia, European Economic Review, 46(8), pp. 1453-1473. https://doi.org/10.1016/S0014-2921(01)00151-9
  35. Shibutani, T., 1955, Reference Groups as Perspectiv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0(6), pp. 562-569. https://doi.org/10.1086/221630
  36. Sosnaud, B., Brady, D., and Frenk, S., 2013, Class in Name Only: Subjective Class Identity, Objective Class Position, and Vote Choice in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s, Social Problems, 60(1), pp. 81-99. https://doi.org/10.1525/sp.2013.60.1.81
  37. Stouffer, S. A., Suchman, E. A., DeVinney, L. C., Star, S. A., and Williams Jr, R. M., 1949, The American Soldier: Adjustment During Army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Yadav, Y., 2009, Democracy and Poverty in India, Indian Democracy: Problems and Prospects, pp. 26-38.
  39. Zhou, M., 2016, A Study about How Reference Groups Were Determined, Association of Benefit Economics and Finance, Conference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