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동체의식이 온라인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s' Online Participation - Focused on the pilot project for Seoul Clean Apartment -

  • 한수정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 정예은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 정문기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 투고 : 2019.04.29
  • 심사 : 2019.06.24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온라인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지방정부는 소통의 채널이자 운영자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때 주민참여와 공동체의식은 일종의 해결기제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온라인투표는 주민참여를 확대시키고자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서울시 공동주택 온라인투표 시범실시단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여 온라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분석 결과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인 중 상호영향의식과 공유된 감정적 연계가 온라인 주민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유된 감정적 연계가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To solv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 localities, both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ve been getting more important. Online voting is a project that is being implemented by the city of Seoul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e surveyed residents living in the apartment complex in Seoul that was participating in with the pilot program for online voting.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sense of community was, indeed,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In particular, shared emotional connection, a compon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제상.김종래, 1996, 수질규제정책에 대한 정책대상집단의 순응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5(2), pp.90-112.
  2. 강제상.장지호, 2007, 정책결정과정의 프레이밍에 대한 담론 분석: 방사성폐기물처리입지 선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4(2), pp.23-45.
  3. 곽미정.주철현, 2013,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동기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과학연구, 24(3), pp.3-33.
  4. 곽현근.유현숙, 2009, 지역사회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요인과 집합적 효능감: 충북 청원군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pp.347-376.
  5. 김경준.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17(1), pp.45-72.
  6. 김대건, 2011, 지역공동체의식이 협력적 갈등해결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 9(1), pp.67-93.
  7. 김범수.이정.김경규, 2006, 인지된 신뢰, 위험, 유용성 및 편의성이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13(4), pp.186-202.
  8. 김석준 외, 2001, 뉴거버넌스와 사이버 거버넌스 연구, 서울: 대영문화사.
  9. 김선희, 2008, 국토관리분야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1), 국토연구원.
  10. 김정희, 2014, 주민참여조례를 통해서 본 주민참여와 거버넌스의 특징 연구, 지방정부연구, 18(1), pp.267-290.
  11. 김태룡.안희정, 2009,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분석: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 연구, 9(2), pp.197-218.
  12. 김혜정.이승종, 2006, 지역시민사회의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혁신, 한국행정학보, 40(4), pp.101-126.
  13. 박수원.김샛별, 2016,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2), pp.5-32.
  14. 박종관, 2011,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 방안, 공공행정연구, 12(2), pp.1-18.
  15. 박종관, 2012,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pp.183-19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183
  16. 박철.왕찬, 2013,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도와 공동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5(1), pp.69-89.
  17. 변동건.목진휴.정윤수.김희경.장덕희, 2012, 지방정부 Cyber-Governance 구현에 대한 평가: 홈페이지 구축.운영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2(2), pp.109-134.
  18. 서울특별시청, 2014, 아파트 입주자 대표 선출, 온라인투표 의무화, 10.30, 보도자료.
  19. 서울특별시청, 2015, 서울 아파트 관리 온라인 투표 도입, 주민참여 3배 이상 높아, 11.25, 보도자료.
  20.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pp.437-459.
  21. 심선영, 2014, 모바일 투표, 참여의 확대인가 디바이드의 양산인가?, 대학경영학회, 27(12), pp.2079-2098.
  22. 심홍진, 2012, SNS와 참여민주주의 미래,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엄 및 세미나, 2012.6, pp.305-310.
  23. 양덕순.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 pp.71-89.
  24. 오미영.차동필, 2006, 케이블TV방송국(SO)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조직 특성이 지역사회 관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0(4), pp.156-197.
  25. 우룡, 1994, 아파트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주민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6. 윤선영, 2012, 지각된 조직지원과 상사지원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항공 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국항행학회논문지, 16(5), pp.853-863. https://doi.org/10.12673/jkoni.2012.16.5.853
  27. 이동주, 2004,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20(3), pp.53-73.
  28. 이라영, 2009,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라영, 2010,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영향요인의 인과적 관계분석,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26(7), pp.193-202.
  30. 이라영.신남수, 2009,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5(3), pp.223-234.
  31. 이선우.문병기, 2000, 시민참여시대의 정책갈등에 대한 협상론적 접근: 영월 다목적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비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00(3), pp.185-202.
  32. 이순자.박형서, 2011, Q 방법론을 활용한 갈등행위자 인식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가로림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5(2), pp.271-301.
  33. 이승종, 1994, 지방화시대의 주민참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4. 이승종, 1997, 지역주민참여의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 pp.1-20.
  35. 이홍재.박성종.한경일, 2010, 전자정부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인식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8(3), pp.49-62.
  36. 임승빈, 2005, 지방자치론, 서울:법문사.
  37. 임정빈, 2005, 지역갈등, 주민참여 그리고 거버넌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8(11), pp.125-151.
  38. 정명은, 2012,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보, 46(2), pp.85-114.
  39. 정병걸.김석주.명승환, 2005,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인식 연구, 정보화정책, 12(2), pp.88-105.
  40. 정윤수.이재성, 2004, 주민설문을 통한 전자적 주민참여 분석, 사회과학논총, 22, pp.153-174.
  41. 주거실태조사, 2015, www.hnuri.go.kr.
  42. 차동필, 2006, 대학생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28(1), pp.169-183.
  43. 최문형.정문기, 2015,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2), pp.273-306.
  44. 하세헌.윤이화, 2012, 지방정치와 주민참여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제정치연구, 15(1), pp.157-182.
  45.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6,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46. 한승준, 2008,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의 활용, 서울: 대영문화사.
  47. 허훈, 2002, 행정개혁과 공공영역의 변화: 사이버 거버넌스의 사례와 교훈-강남구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2권 0호, pp.385-404.
  48. Ashford, B. E. and F. Mael, 1989, Social identity theory and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4(2), pp.41-50.
  49. Cicognani, E., Pirini, C., Keyes, C., Joshanloo, M., Rostami, R., & Nosratabadi, M., 2008, 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well being: A study on American, Italian and Iranian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9(1), pp.97-112. https://doi.org/10.1007/s11205-007-9222-3
  50. Cunningham, james. V., 1972,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fari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
  51. Davidson, W. B. & Cotter, P. R., 1989,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2), pp.119-125. https://doi.org/10.1002/1520-6629(198904)17:2<119::AID-JCOP2290170203>3.0.CO;2-C
  52. Derrett, R., 2003, Making sense of how festivals demonstrate a communitys sense of place, Event Management, 8(1), pp.49-58. https://doi.org/10.3727/152599503108751694
  53. Fischer, F., 2003, Reframing Public Policy: Discursive Politics and Deliberative Practices, Oxford University Press.
  54. Mcmillan, D. & David M. Chavis,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pp.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55. Mcmillan, D., 1976, Sense of community: An attempt at definition. Unpublished manuscript, George Peabody College for Teacher, Nashville, TN.
  56. Meal, Fred & Ashforth, Blake E., 1992, Alumni and Their Alma Mater: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 Identification, Journal of Marketing, 62, pp.87-98. https://doi.org/10.2307/1251745
  57. OECD, 2001, Citizen as Partners: OECD handbook on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58.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community psychology,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59. Schutz, A., 1967, The Phenimenology of the Sosial Worl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60. Tolman, E. C., 1943, Identification and the Postwar World, Journal of Abnormal and Socal Psychology, 38(2), pp.141-148. https://doi.org/10.1037/h0057497
  61. Verba, S., 1967, Democratic Participation,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373(2), pp.53-78. https://doi.org/10.1177/000271626737300103
  62. Zimmerman, Joseph Francis, 1986, Participatory Democracy: Populism Revived, New York:Prae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