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 : 대화형 AI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s Intention to Adopt an Intelligent Service: Focusing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Necessity of Conversational A.I. Service

  • 전소원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기업보안융합전공) ;
  • 이지희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기업보안융합전공) ;
  • 이종태 (서울여자대학교)
  • 투고 : 2018.10.07
  • 심사 : 2019.03.08
  • 발행 : 2019.04.30

초록

본 연구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TAM, UTAUT 기반 연구와 같은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바 있는 쾌락적 동기, 실용적 동기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사용 안전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이들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시대적 압박, 서비스의 혁신성과 서비스의 체험 경험 등의 요인들이 주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제시된 요인들은 A.I.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다양한 연구에서 제시되어 온 TAM, UTAUT모형에서 제시되어온 편의성과 쾌락적/실용적 동기가 A.I. 스피커로 대표되는 지능형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도 유의미한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에는 소수의 연구에서만 고려되었던 시대적 압박이라는 비자발적 영향 요인이 지능형 서비스를 포함한 IT융합형 서비스의 수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보안성 인지와 지능형 서비스(A.I. 스피커)의 실제 경험 여부 또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intention to adopt an intelligent service - A.I. speaker services. Currently there can be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and the realized diffusion of IT-based intelligent servic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is gap based on the idea of diver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TAM and UTAUT studies an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diverse factors such as security issues, perceived time pressure, service innovativeness, and the experience of these IT-based intelligent services. And this study considers the expected impact of perceived time pressure factor on the user acceptance of A.I. speaker services. In analysis results, not only the traditional factors such a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hedonic/utilitarian motives but also the perceived time pressure, the perceived security issues, and the experience of the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as meaningful factors to affect the users adopting A.I. speaker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중.최성한 (2014), "사용자 중심의 인포그래픽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용자 이론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3): 13-25.
  2. 권순정.유성상.김진아.유주영 (2016), "확산이론(Theory of Diffusion)에 근거한 혁신학교 확산 의미 탐색 : 경기도 S시 혁신학교 질적 사례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3(2): 153-180.
  3. 김성수.정철호 (2017), "신규 IT서비스의 사전 기대와 지각된 성과 간의 일치도가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5): 845-825.
  4. 김태호.신예철.임삼진.박준태 (2013),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통문화지수의 영향관계 실증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8(2): 78-83. https://doi.org/10.14346/JKOSOS.2013.28.2.078
  5. 노건호.이경용.문미경 (2018), "시니어 사용자를 위한 챗봇활용 음성인식 스피커 개발 방법", 전기전자학회논문지, 22(2): 330-338. https://doi.org/10.7471/IKEEE.2018.22.2.330
  6. 노민정.최민경 (2018), "개인의 혁신성이 A.I. 스피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33(1): 195-230.
  7. 문윤지 (2016), "소비자 쇼핑가치가 온라인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 349-35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349
  8. 박예리.이정훈.이영주 (2014), "스마트워크 근로자들의 직무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스마트워크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3): 23-49. https://doi.org/10.7838/jsebs.2014.19.3.023
  9. 박일우.임규건 (2018), "인공지능 스피커의 품질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2018년 경영관련학회 통합학술대회, 460-463.
  10. 박주영.최인혁.장경숙 (2001),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3(2): 92-114.
  11. 성용준.김아연.조민하 (2018), "인공지능(AI) 스피커와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2018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85-85.
  12. 손권상.구국원.염창훈.권오병 (2018) "인공지능 융합기술의 채택에 대한 연구 및 방향", 2018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1-12.
  13. 오경임.이승신 (2012), "소비자안전 정보탐색에 따른 안전추구행동", 대한가정학회, 50(5): 253-262.
  14. 유한나.이지현 (2018), "A.I. 스피커 기반의 스마트홈에서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테스크 플로우 가시화 툴킷 제안", 한국HCI학회 2018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6-61.
  15. 이수민.박병화.주기중 (2016), "정보기술 수용모형의 확장 : 대구지역 대학생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 15(1): 109-122.
  16. 이세윤.박준기.이혜정.이정우 (2013), "SNS 지속 사용의도의 선행 요인 연구 :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79-184.
  17. 이청아.윤혜정.이충훈.이중정 (2015), "모바일 지갑의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의 영향요인 : VAM 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0(1): 117-135. https://doi.org/10.7838/jsebs.2015.20.1.117
  18. 임명성.한군희 (2013), "정보보안 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위험보상이론 관점에서",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153-168.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153
  19. 장명준.김태호 (2012), "PLS-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토지이용 유형별 개발밀도와 지가의 인과관계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 : 서울시 25개 자치구 대상으로", 도시행정학보, 25(3): 65-87.
  20. 정광섭.박규용.이주형 (2014), "PLS 회귀분석을 통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이용자 만족도 영향 요인 규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6): 3931-3943.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931
  21. 조규은.김승인 (2018), "A.I. 스피커(AI Speaker) 사례 분석을 통한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8): 127-133. https://doi.org/10.15207/JKCS.2018.9.8.127
  22. 허서정.조창환.김주연 (2015), "비콘 활용 앱 사용의도 분석을 통한 광고 산업에서의 활용 전망 연구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7(3): 179-184.
  23. 현용호 (2008), "온라인 이용동기에 따른 온라인 관광정보, 태도,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고찰 : 오락적 동기와 실용적 동기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0(1): 109-128.
  24. Abbasi, M. S., Tarhini, A., Hassouna, M. and Shah, F. (2015), "Social Organizational, Demography and Individuals' Technology Acceptance Behaviour: A Conceptual Model", European Scientific Journal, 11(9): 48-76.
  25. Agarwal, R., Ahuja, M., Carter, P. and Gans, M. (1998), "Early and Late Adopters of IT Innovations: Extensions to Innovation Diffusion Theory", https://www.semanticscholar.org/paper/Early-and-Late-Adopters-of-IT-Innovations-%3A-to-Agarwal/b5c7373ea080bc50c0dce16010f9fcfea58259f7.
  26. Ahituv, N., Igbaria, M. and Sella, A. V. (1998), "The Effects of Time Pressure and Completeness of Information on Decision Making",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5(2): 153-172. https://doi.org/10.1080/07421222.1998.11518212
  27. Babin, B., Daren, W. and Grifin, M.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https://doi.org/10.1086/209376
  28. Chang, C. C. and Chen, C. W. (2015), "Examining Hedonic and Utilitarian Bidding Motivations in Online Auctions: Impacts of Time Pressure and Compet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9(2): 39-65.
  29. Chiu, C., Wang, E., Fang, Y. and Huang, H. (2014), "Understanding Customers' Repeat Purchase Intentions in B2C e-Commerce: The Roles of Utilitarian Value, Hedonic Value and Perceived Risk", Information Systems Journal, 24(1): 85-114. https://doi.org/10.1111/j.1365-2575.2012.00407.x
  30.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31. Davis, R., Lang, B. and Gautam, N. (2013), "Modelling Utilitarian-Hedonic Dual Mediation (Uhdm) in the Purchase and Use of Games", Internet Research, 23(2): 229-256. https://doi.org/10.1108/10662241311313330
  32. Ernst, C. H. (2015),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of Social Network Site Adoption, Book Chapter in: Factors Driving Social Network Site Usage, Springer Gabler, Wiesbaden, 11-28.
  33. Fornell, C. and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34. Gelbrich, K. and Sattler, B. (2014), "Anxiety, Crowding, and Time Pressure in Public Self-service Technology Acceptance",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8(1): 82-94. https://doi.org/10.1108/JSM-02-2012-0051
  35. Hanafizadeh, P. and Khedmatgozar, H. R. (2012), "The Mediating Role of the Dimensions of the Perceived Risk in the Effect of Customers' Awareness on the Adoption of Internet Banking in Iran",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2(2): 151-175. https://doi.org/10.1007/s10660-012-9090-z
  36.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https://doi.org/10.1086/208816
  37. Hoffman, D. and Novak, T. (1996),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60: 50-68. https://doi.org/10.2307/1251841
  38. Kwon, H. S. and Chidambaram, L. (2000), "A Tes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he Case of Cellular Telephone Adoption", Proceedings of the 33rd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2000.
  39. Lee, J., Lee. D., Moon, J. and Park, M. C. (2013),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Usability of the Mobile Web Portal Services: Comparing Smplicity with Consistency",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14(1): 43-57. https://doi.org/10.1007/s10799-012-0143-8
  40. Limayem, M., Khalifa, M. and Frini, A. (2000), "What Makes Consumers Buy from Internet? A Longitudinal Study of Online Shopping",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Part A: Systems and Humans, 30(4): 421-432. https://doi.org/10.1109/3468.852436
  41. Lucas, H. C. and Spitler, V. K. (1999), "Technology Use and Performance: A Field Study of Broker Workstations", Decision Sciences, 30(2): 291-311.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9.tb01611.x
  42.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New York.
  43. Ordonez, L., Benson, L. and Pittarello, A. (2015), The Wiley Blackwell Handbook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1st Ed.), Wiley & Sons.
  44.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4th Ed.)", The Free Press, New York.
  45. Sarkar, A. (2011), "Impact of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Values on Individual's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in Online Shopping", International Management Review, 7(1): 58-65.
  46.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and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