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중도탈락 예측지수에 관한 사후검증 연구

Post-Examination Analysis on the Student Dropout Prediction Index

  • 이지은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정보.AI비즈니스학과)
  • 투고 : 2019.12.01
  • 심사 : 2019.12.31
  • 발행 : 2019.12.30

초록

학습자 중도탈락은 사이버대학이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2019년도 기준으로 사이버대학의 전체 학생 수는 13만여 명에 달하고 있으나, 중도탈락 비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중도탈락율을 낮추기 위해 사이버대학은 학습 분석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일부 사이버대학에서는 중도탈락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중도탈락이 우려되는 학생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도탈락 예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데이터를 규명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수강 차시(진도율), 이수학점, 평점, 휴학 횟수가 중도탈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이버대학은 학생 중도탈락 예측지수에 관한 사후검증을 통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Drop-out issue is one of the challenges of cyber university. There are about 130,000 students enrolled in cyber universities, but the dropout rate is also very high. To lower the dropout rate, cyber universities invest heavily in learning analytics. Some cyber universities analyze the possibility of dropout and actively support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drop ou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learning data affecting the dropout prediction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number of lessons(progress), credits, achievement and leave of abs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ropout rat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through post-test on the student dropout prediction index.

키워드

참고문헌

  1. Carr, S.(2000). As distance education comes of age, the challenge is keeping the students.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46(23), 39-41.
  2. Elvers, G.C., Polzella, D.J. & Graetz, K.(2003). Procrastination in online courses: Performance and attitudinal differences. Teaching of Psychology, 30(2), 159-162. https://doi.org/10.1207/S15328023TOP3002_13
  3. 임연욱, 이광희(2003).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중도이탈 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30(3), 321-348.
  4. 임연욱(2007).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1(2), 205-219.
  5. Tinto, V.(1975).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1), 89-12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6. 전주성(2010). 사이버대학의 잠재적 중도탈락자 예측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1), 121-139.
  7. Hutagaol, N. & Suharjito, S.(2019). Predictive modelling of student dropout using ensemble classifier method in higher education. Advances i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Systems Journal, 4(4), 206-211. https://doi.org/10.25046/aj040425
  8. 문경호(2018). 도덕교육에서 넛지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교원교육, 34(4), 193-215.
  9. Bernard, R.M., Abrami, P.C., Borokhovski, E., Wade, A., Tamim, R., Surkes, M.A., & Bethel, E.C.(2009). A meta-analysis of three interaction treatments in distance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3), 1243-1289. https://doi.org/10.3102/0034654309333844
  10. 권영옥(2019). 교육 데이터와 분석 기법: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빅데이터학회지, 4(1), 73-81.
  11. IMS Global(2013). Learining Measurement for Analytics Whitepaper.
  12. 채재은(2011). 대학생들의 휴학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1), 295-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