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chisandrin, Gomisin A and Gomisin M2 From 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로부터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M2의 분리 및 함량 분석

  • Received : 2019.06.04
  • Accepted : 2019.06.24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lignan compound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Schizandraceae) has been reported to have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liver protection, neuroprotection,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schisandrin, gomisin A and gomisin $M_2$ isolated from S. chinensi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spectroscopy (HPLC-UV).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f 1H- and 13C-NMR spectroscopic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calibration curves of three compounds indicated great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schisandrin 0.9983, gomisin A 0.9982 and gomisin $M_2$ 0.9986. The limits of detection (LOD) of schisandrin, gomisin A and gomisin $M_2$ were 0.14, 0.07 and $0.05{\mu}g/ml$ and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were 0.42, 0.22 and $0.14{\mu}g/ml$.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s of schisandrin were 0.40~1.44%, 0.07~1.02% gomsin A were 0.22~0.52%, 0.10~0.63%, gomisin $M_2$ were 0.40~0.99%, 0.81~2.88%. In result, contents of schisandrin, gomisin A and gomisin $M_2$ in ethanol extract of S. chinensis were $25.95{\pm}0.15$, $2.51{\pm}0.02$ and $2.17{\pm}0.07mg/g$.

Keywords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Schizandraceae)에 속하는 오미자 나무(Schisandra chinensis Baill.)의 과실로서 주로 동부 및 남동부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형태학적으로는 지름 약 6mm의 어두운 적색~흑갈색을 띠며 구형~편구형의 모습을 하고 있다.1,2) 오미자의 추출물은 이전부터 많은 연구를 통해 간세포보호작용,3) 신경세포보호작용,4) 항산화작용,5) 당뇨개선효과6) 등에 효능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오미자의 주요 성분으로는 리그난 화합물인 schisandrin A~C, gomisins A~H와 schisandrol A와 B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7) 그 밖의 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인 wuweizidilactones G와 H, schindilactones A~G, wuwerizilactone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 특히 리그난 성분 중 schisandrin과 gomin A, gomisin M2는 dibenzocycloocatadien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 그 중 schisandrin의 경우 항염작용,10) 신경보호작용11) 등이 보고되었으며, gomisin A는 간세포보호작용,12) acetylcholinesterase억제 효능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고,13) gomisin M2는 항HIV작용,14)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오미자의 성분연구로는 HPLC-MS와 UV 검출기 분석법을 이용한 schisandrin과 schisandrol B, gomisin D 등의 정성, 정량분석 연구가 보고되었으며,15,16) 특히 오미자에 함유된 주요 성분 중 schisandrin과 gomisin A 및 다양한 리그난의 정량시험법은 보고 되어 있으나,17) gomisin M2의 정량시험법과 그 함량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에 함유된 지표성분 중 schisandrin과 gomisin A, 를 분리하여 구조를 확인하고, schisandrin, gomisin A 및 gomisin M2 함유량을 알아보기 위해 HPLC-UV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오미자는 대구약령시장에서 구입하였으며, 계명대학교 정길생 교수가 동정하였다. 그 표본은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연구실에 보관하였다(KMU-2018-1030).

기기 및 시약

본 실험에서 지표물질 분리와 분석을 위해 대정화금(Siheung, Korea)사의 ethanol, n-hexane, chloroform(CHCl3), methylene chloride(CH2Cl2), ethyl acetate(EtOAc)를 사용하였다. 함량분석을 위해 Gilson사의 HPLC-UV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Phenomenex(Torrance, CA, USA)사의 C18(4.6x300 mm) 컬럼을 사용하였고, silica gel은 Merck(Darmstadt, Germany)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MPLC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와 컬럼은 Biotage(Stockholm, Sweden)사의 Isolera one 모델과 SNAP cartridge KP-Sil 30g 컬럼을 사용하였다. 분석 용매로 사용한 methanol과 water는 Fisher(Hampton, NH, USA)사의 HPLC grade를 사용하였다. 구조 규명을 위한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은 Jeol(Tokyo, Japan)사의 JNM-ECZ400S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NMR용매는 Sigma-Aldrich(St. Louis, MO, USA)사의 deuterated chloroform(CDCl3)를 사용하였다. 선광도 측정은 JASCO(Tokyo, Japan)사의 DIP-1000 digital polarimeter 모델을 사용하였다. 화합물의 분자량은 Agilent 6400 series ESI-MS(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표성분 분리

오미자 6 kg을 ethanol로 60℃에서 3시간 환류냉각추출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883.23 g의 ethanol 추출물을 얻었다. 그 후 ethanol 추출물을 증류수로 현탁하여 n-hexane, methylene chloride(CH2Cl2), ethyl acetate(EtOAc), H2O로 계통분획하여 각각 0.17 g, 28.36 g, 24.89 g, 612.95 g의 분획물을 얻었다. 그 후 CH2Cl2 분획 28.36 g에 대해 MPLC(MeOH:H2O = 10:1→1:1)를 실시하여 6개의 소분획(Fr.4-1~Fr.4-6)를 얻었다. 그 중 소분획 Fr.4-3을 Sephadex LH-20(GE Healthcare Life Sciences) column chromatography로 용리하여 schisandrin(75.3 mg)을 얻었으며, 소분획 Fr.4-4에 서 gomisin A(42.1 mg)와 gomisin M2(32.8 mg)를 얻었다.

schisandrin

White powder; 1H-NMR (500 MHz, CDCl3) δ 6.75 (1H, s, H-11), 6.68 (1H, s, H-4), 3.88 (3H, s, OMe-12), 3.87 (3H, s, OMe-3), 3.74 (3H, s, OMe-2), 3.71 (3H, s, OMe-13), 3.58 (3H, s, OMe-14), 3.57 (3H, s, OMe-1), 2.67 (1H, dd, J=13.9 Hz, 2.1, H-9), 2.37 (1H, d,  J=13.4 Hz, H-6), 2.35 (1H, d, J=13 Hz, H-6), 2.31 (1H, d, J=13.2 Hz, H-9), 1.85 (1H, m, H-8), 1.25 (3H, s, H-17), 0.80 (3H, d, J=7.2 Hz, H-18); 13C-NMR (500 MHz, CDCl3) δ 152.5 (C-3), 152.1 (C-12), 151.9 (C-14), 151.6 (C-1), 141.2 (C-2), 140.2 (C-13), 133.9 (C-10), 131.9 (C-5), 124.3 (C-15), 122.8 (C-16), 110.5 (C-11), 110.0 (C-4), 71.9 (C-7), 61.1 (OMe-2), 60.8 (OMe-13), 60.7 (OMe-1), 60.7 (OMe-14), 56.1 (OMe-3), 56.0 (OMe-12), 41.9 (C-6), 40.9 (C-8), 34.3 (C-9), 29.9 (C-17), 16.0 (C-18); ESI-MS: m/z 433 [M+H]+.

gomisin A

White powder; 1H-NMR (500 MHz, CDCl3) δ 6.61 (1H, s, H-4), 6.47 (1H, s, H-11), 5.96, 5.95 (2H, d, J=1.5 Hz, OCH2O), 3.89, 3.86, 3.83, 3.51 (each 3H, s, 4xOMe), 2.68 (1H, d,  J=14.2 Hz, H-6’), 2.58 (1H, d, J=14.2 Hz, H-9’), 2.36 (1H, d, J=13.4 Hz, H-6), 2.32 (1H, dd, J=14.2 Hz, H-9), 1.85 (1H, s, H-8), 1.24 (3H, s, Me-18), 0.80 (3H, d, J=7.2 Hz, Me-17); 13C-NMR (500 MHz, CDCl3) δ 152.4 (C-1), 152.1 (C-3), 148.0 (C-12), 141.2 (C-14), 140.7 (C-2), 135.0 (C-13), 132.6 (C-10), 132.1 (C-5), 124.2 (C-16), 121.9 (C-15), 110.4 (C-4), 106.1 (C-11), 100.9 (OCH2O), 71.7 (C-7), 61.1, 60.7, 59.8, 56.0 (4xOMe), 42.1 (C-8), 40.6 (C-6), 33.7 (C-9), 30.2 (C-18), 15.9 (C-17); ESI-MS: m/z 417 [M+H]+.

gomisin M2

White powder; [α]D26 : +61.1°(c, 0.05 in CHCl3); 1H-NMR (500 MHz, CDCl3) δ 6.50 (1H, s, H-4), 6.47 (1H, s, H-11), 5.95 (1H, d, J=1.1 Hz, OCH2O), 5.95 (1H, d, J=1.1 Hz,  OCH2O), 3.84 (3H, s, OMe-12), 3.68 (3H, s, OMe-1), 3.66 (3H, s, OMe-13), 2.54 (1H, dd, J=13.4 Hz, 7.7, H-9), 2.40 (1H, dd, J=13.4 Hz, 1.9, H-9), 2.20 (1H, dd,  J=13.1 Hz, 9.3, H-6), 1.99 (1H, d, J=13.1 Hz, 1.6, H-6), 1.85 (1H, m, H-8), 1.54 (1H, m, H-7), 0.94 (3H, d, J=7.3 Hz, H-17), 0.70 (3H, d, J=7.0 Hz, H-18); 13C-NMR (500MHz, CDCl3) δ 149.6 (C-12), 147.9 (C-3), 147.5 (C-14), 139.2 (C-1), 136.9 (C-5), 134.1 (C-2), 133.6 (C-13), 133.0 (C-10), 121.0 (C-16), 114.5 (C-15), 106.1 (C-11), 103.2 (C-4), 100.7 (OCH2O), 59.7 (OMe-13), 58.2 (OMe-1), 55.1 (OMe-12), 40.8 (C-7), 38.9 (C-9), 35.4 (C-6), 33.7 (C-8), 21.8 (C-17) 12.6 (C-18); ESI-MS: m/z 387 [M+H]+.

표준용액 조제

실험에 사용된 지표물질 schisandrin, gomisin A 및 gomisin M2를 1 mg을 칭량하여 methanol로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제한 후 계열 희석하였다. 이를 표준용액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HPLC 분석조건

오미자의 schisandrin, gomisin A 및 gomisin M2의 분석을 위한 HPLC분석조건은 Table Ⅰ과 같이 설정한 다음 이 조건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HPLC분석을 위한 이동상은 water(A)과 methanol(B)를 사용하였으며, 시간대 별로 조성을 바꿔주었다. 컬럼은 Phenomenex C18 coloumn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0 ml/min, column oven temperature는 30℃로 설정하였다. UV파장은 254 nm에서 분석하였다.

 

TableⅠ. HPLC conditions for quantitative analysis.

HKSOBF_2019_v50n2_148_t0001.png 이미지

 

직선성 평가

직선성 평가를 위해 schisandrin, gomisin A 및 gomisin M2의 표준물질을 methanol에 녹여 혼합한 후 schisandrin은 10, 20, 40, 80, 100, 200 및 300 μg/ml의 농도로 계열 희석하였으며, gomisin A와 gomisin M2는 1, 2, 4, 8, 10, 20 및 30 μg/ml의 농도로 계열 희석하여 HPLC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세 가지 표준물질에 대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검량선은 y=ax+b(a : 검량선 기울기, b : y절편, x : 시료의 농도, y : peak의 면적)의 형태로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correlation coefficient(R2)을 구하였다. 직선성은 검량선의 R2값을 통해 판단하였다.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 측정

분석대상물질의 검출 가능한 최소 농도와 정량 가능한 최소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식에 따라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를 측정하였다.

LOD = 3.3×(σ/S)

LOQ = 10×(σ/S)

(σ : 표준편차, S : 검량선의 기울기)

 

정밀성(Precision) 및 정확성(Accuracy) 평가

정량분석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세 가지의 지표물질에 대해 반복실험을 진행하였다. 정밀성은 상대표준편차(RSD%)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RSD%값이 3%이내로 우수한 정밀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Intra-day test는 직선성이 확인된 3가지 농도에서 하루 이내 3회 반복 측정한 결과로 상대표준편차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Inter-day test는 위와 같은 3개의 농도로 3회씩 반복 측정한 결과를 통해 상대표준편차를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함량분석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리그난 3종에 대해 HPLC-UV를 이용해 함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준용액 chromatogram의 peak area를 구하여 schisandrin, gomisin A, gomsin M2에 대한 함량을 구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ethanol 추출물로부터 순수분리 및 정제한 schisandrin과 gomisin A, gomisin M2를 지표물질로 사용하였으며(Fig. 1), 분리 물질에 대한 1H-NMR, 13C-NMR의 기기 분석을 통해 확인된 구조와 선광도를 문헌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18-21) 지표물질과 오미자의 ethanol 추출물의 chromatogram의 retention time과 파장을 비교하여 다른 성분들의 간섭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M2 각각 20.44분, 24.10분, 36.49분에서 각각 검출되었다(Fig. 2). 지표물질의 직선성,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평가하고자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M2 1 mg을 칭량하여 methanol 1 ml에 녹인 후 7가지의 농도로 계열 희석하여 HPLC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y축은 peak area(mAU×100), x축은 표준용액의 농도(μg/ml)로 하는 각 표준물질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linear regression equation(y=ax+b)과 correlation coefficient(R2)값을 구하였다. 세 가지 지표물질의 R2값은 각각 schisandrin 0.9983, gomisin A 0.9982, gomisin M2 0.9986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schisandrin이 0.14, 0.42 μg/ml, gomisin A가 0.07, 0.22 μg/ml, gomisin M2가 0.05, 0.14 μg/ml으로 확인되었다(Table Ⅱ). 세 가지 지표물질을 분리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schisandrin과 gomisin A, gomisin M2의 함량은 각각 25.95±0.15, 2.51±0.02, 2.17±0.07 mg/g임을 확인하였다(Table Ⅳ). Intra-day test와 inter-day test는 직선성이 확인된 농도를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상대표준편차(RSD%)를 구하여 정밀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Intra-day test의 RSD (%)는 schisandrin이 0.40~1.44%, gomisin A가 0.22~0.52%, gomisin M2가 0.40~0.99%의 범위를 보였으며, Inter-day test의 RSD (%)는 schisandrin이 0.07~1.02%, gomisin A가 0.10~0.63%, gomisin M2가 0.81~2.88%의 범위를 보였다. 세 지표물질 모두 RSD (%)가 3%이내로 우수한 정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확성 평가 결과로는 intra-day test는 schisandrin이 87.75~104.32%, gomisin A가 89.52~96.00%, gomisin M2가 94.98~110.12%의 범위를 보였으며, Inter-day test는 schisandrin이 96.53~111.19%, gomisin A가 93.70~110.28%, gomisin M2가 86.16~110.85%의 범위를 보였다(Table Ⅲ).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분석법 검증을 통해 오미자의 리그난 화합물인 schisandrin과 gomisin A, gomsin M2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특히 항HIV작용14)을 가진 gomsin M2의 함량 분석법 검증은 본 연구에서 최초로 실시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이 후 오미자를 함유한 제제 또는 이들 화합물의 약리성분 분석과 오미자에서 유래된 여러 리그난 화합물의 정량분석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생각한다.

 

 

HKSOBF_2019_v50n2_148_f0001.png 이미지

Fig. 1. Chemical structures of schisandrin (A) gomisin A (B) and gomisin M2 (C).

 

 

HKSOBF_2019_v50n2_148_f0002.png 이미지

Fig. 2. HPLC Chromatogram of schisandrin (A), gomisin A (B), gomisin M2 (C) and S. chinensis ethanol extracts (D).

 

 HKSOBF_2019_v50n2_148_f0003.png 이미지

Fig.3. Calibration curve of schisandrin (A), gomisin A (B) gomisin M2 (C).

 

TableⅡ. Calibration curves, correlation coefficients, limits of detection (LOD)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of three compounds.

HKSOBF_2019_v50n2_148_t0002.png 이미지

 

TableⅢ. Precision and accuracy results of compounds schisandrin (SD), gomsin A (GA), gomisin M2 (GM).

HKSOBF_2019_v50n2_148_t0003.png 이미지

 

TableⅣ. The contents of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M2 in S. chinensis ethanol extract samples. (n=3)

HKSOBF_2019_v50n2_148_t0004.png 이미지

 

결론

 

 본 연구는 오미자의 ethanol 추출물로부터 세 가지 성분인 schisandrin, gomisin A, gomsin M2를 분리하였으며, NMR분석을 통해 화합물들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분리한 지표성분을 이용하여 HPLC로 정량분석을 한 결과 각각의 함량이 schisandrin 25.95±0.15, gomisin A 2.51±0.02, gomsin M2 2.17±0.07 mg/g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검증된 분석법을 근거하여 오미자 유래 리그난 화합물의 정량분석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로서의 활용과 오미자의 품질 관리를 위한 연구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Jung, G. T., Ju, I. O., Choi, J. S. and Hong, J. S (2000) The antioxu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 Mok, C. 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grape juice mixture. Food Eng. Prog. 9: 226-230.
  3. Ip, S. P., Che, C. T. and Ko, K. M. (1998)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schisandrins in enhancing liver mitochondrial glutathione status in $CCl_4$-poisoned mice. Acta Pharmacol. Sin. 4: 313-316.
  4. Sowndhararajan, K., Deepa, P., Kim, M. J., Park, S. J. and Kim, S. M. (2018) An overview of neuroprotective and cognitive enhancement properties of lignans from Schisandra chinensis. Biomed. Pharmacother. 97: 958-968. https://doi.org/10.1016/j.biopha.2017.10.145
  5. Zhang, L., Chen, H., Tian, J. and Chen, S. (2013)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five compounds from Schisandra chinensis fruit. Ind. Crops Prod. 50: 690-693. https://doi.org/10.1016/j.indcrop.2013.08.044
  6. Kwon, D. Y., Kim, D. S., Yang, H. J. and Park, S. M. (2011) The lignan-rich fractions of Fructus Schisandrae improve insulin sensitivity via the PPAR-${\gamma}$ pathways in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J. Ethnopharmacol. 135: 455-462. https://doi.org/10.1016/j.jep.2011.03.037
  7. Choi, Y. W., Takamatsu, S., Khan, S. I., Srinivas, P. V., Ferreira, D., Zhao, J. and Khan, I. A. (2006) Schisandrene, a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from Schisandra chinensis: structru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J. Nat. Prod. 69: 356-359. https://doi.org/10.1021/np0503707
  8. Shi, L., He, X., Pan, Y., Han, L., Yang, X. and Zhao, Y. (2007) Chemical constituents of fruit handles from Schisandra chinensis. Zhong Yao Cai. 32: 1054-1056.
  9. Guo, L. Y., Manh, H. T., Bae, K. H., Shin, E. M., Zhou, H. Y., Hong, Y. N., Kang, S. S., Kim, H. P. and Kim, Y. S. (2008)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hisandrin isolated from the fruit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Eur. J. Pharmacol. 591: 293-299. https://doi.org/10.1016/j.ejphar.2008.06.074
  10. Huang, S. X., Han, Q. B., (200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scellaneous terpenoids of Schisandra chinensis. Tetrahedron 64: 4260-4267. https://doi.org/10.1016/j.tet.2008.02.085
  11. Xu, X., Zhou, X., Zhou, X. W., Zhang, Z., Liao, M, J., Gao, Q. and Luo, H. M. (2012) Schizandrin prevents dexamethasone-induced cognitive deficits. Neurosci. Bull. 28: 532-540. https://doi.org/10.1007/s12264-012-1258-y
  12. Hong, M., Zhang, Y., Li, S., Yue, T. H., Wang, N., Mu, S., Hao, X. and Feng, Y. (2017) A network pharmacology-based study 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Fructus Schisandrae. Molecules 22: 1617. https://doi.org/10.3390/molecules22101617
  13. Hung, T. M., Na, M. K., Min, B. S., Ngoc, T. M., Lee, I. S., Zhang, X. F. and Bae, K. H. (2007)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of lignans isola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Arch. Pharm. Res. 30: 685-690. https://doi.org/10.1007/BF02977628
  14. Chen, M., Kilgore, N., Lee, K. H. and Chen, D. F. (2006) Rubrisandrins A and B, lignans and related anti-HIV compounds from Schisandra rubriflora. J. Nat. Prod. 69: 1697-1701. https://doi.org/10.1021/np060239e
  15. Lu, T. L., Hu, J. Y., Mao, C. Q., Wu, Y., Yin, F. Z. and Cai B. C. (2012) Quality analysis of raw and processed Schisandra Chinensis Fructus by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leven bioactive lignans using RP-HPLC method. J. Food Drug Anal. 20: 922-929.
  16. Deng, X., Chen, X., Cheng, W., Shen, Z. and Bi, K. (2008) Simultaneous LC-MS quantification of 15 lignans in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Fruit. Chromatographia 67: 559-566. https://doi.org/10.1365/s10337-008-0589-3
  17. Kim, K. S., Kang, S. S. and Ryu, S. N. (2002)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from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Kor. J. Pharmacogn. 33: 272-276.
  18. Suh, W. S., Park, S. Y., Min, B. S., Kim, S. H., Song, J. H. and Shim, S. H. (2014)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ompounds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65-670. https://doi.org/10.9721/KJFST.2014.46.6.665
  19. Chu, C., Zhang, S., Tong, S., Li, X. and Yan, J. (2013). An efficient strategy for th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lignans from Schisandra chinensis by a combination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J. Sep. Sci. 36: 3958-3964. https://doi.org/10.1002/jssc.201300896
  20. Ikeya, Y., Taguchi, H., Yosioka, I. and Kobayashi, H. (1979)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 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harm. Bull. 27: 1383-1394. https://doi.org/10.1248/cpb.27.1383
  21. Ikeya, Y., Taguchi, H. and Yosioka, I. (1982)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X. The Structures of [gamma]-Schizandrin and four new lignans, (-)-gomisins L1and L2, (${\pm}$)-gomisin M1 and (+)-gomisin M2. Chem. Pharm. Bull. 30: 32-139.